• 제목/요약/키워드: Sea mustard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5초

다시마, 미역 및 멸치분말이 첨가된 된장의 품질 특성 (Quality of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with Sweet Tangle, Sea Mustard and Anchovy Powder)

  • 김선재;문지숙;박정욱;박인배;김정목;임종환;정순택;강성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875-879
    • /
    • 2004
  • 생된장에 다시마, 미역 및 멸치를 건조분말상태로 1% 첨가하여 90일간 숙성시킨 후 제품의 품질특성 및 관능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수분은 전반적으로 48.7∼50.8%로 큰 차이가 없었고, 숙성 후 저장중에는 해조분말 첨가된장의 수분 유지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단백질은 멸치 첨가시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해조류첨가 시 또는 다시 마와 멸치분말 혼합 첨가시에 탄수화물 함량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각 된장의 지방 함량은 멸치분말 첨가 된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회분은 15% 정도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 각 된장의 pH, 총산도는 미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환원당은 다시 마와 멸치분말 혼합 첨가 된장에서 데조구 6.0%에 비하여 9.4%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아미노산성 질소는 멸치 첨가 된장이 618.7 mg%로 대조구의 531.1 mg%보다 높게 나타났다. 색도와 관능 평가의 경우 밝기 즉 L값으로 인해 기호성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관능적으로 더 밝은 색을 띠는 다시마와 멸치분말 첨가 된장이 대조구나 미역분말 첨가 된장보다 관능적으로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전체적인 기호도는 다시마와 멸치분말 첨가 된장의 기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태종대산 5종 돌미역의 화학성분 및 항산화활성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of Sea Mustards Sourced from Different Areas in Taejongdae)

  • 김호준;야야파라 HPS;조원희;남형식;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59-567
    • /
    • 2021
  • 태종대 구역별 바람맥이, 굴통머리, 참물개, 조홍택, 고래등 구역에서 채취한 자연산 돌미역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비교한 결과 굴통머리 구역에서 채취한 돌미역의A+M 및 MeOH 추출물들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각각 1.44±0.04 mg/g 및 0.66±0.13 mg/g으로 5종 돌미역들 중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다. 지방산 조성분석 결과 굴통머리 돌미역은 30.1%의 n-6 지방산 및 10.0%의 총 n-3 지방산을 함유하였고 5종 돌미역 중 가장 높은 다가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을 함유하였다. 5종 돌미역 추출물들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했을 때 모든 돌미역 A+M 추출물에 의한 소거활성이 MeOH 추출물보다 높았고 그 중 굴통머리A+M 추출물에 의한 소거능 활성이 가장 높았다(p<0.05). 5종 돌미역A+M 및 MeOH 추출물을 0.05 및 0.025 mg/ml의 농도로 인체 섬유육종세포(HT-1080)에 처리하여 세포 내 활성산소종을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들은 측정시간 120분이 지남에 따라 높은 세포 내 활성산소종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바람맥이 및 굴통머리 구역에서 채취한 돌미역A+M 추출물에 의한 활성산소종 생성 억제효과가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굴통머리 구역의 돌미역이 높은 함량의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 함량을 나타내었고 이러한 높은 함량은 세포내 활성산소종 생성 억제효과 및 DPPH 소거능과 상관성이 있다고 여겨지며 또한 굴통머리 구역 돌미역은 높은 함량의 EPA와 DHA를 함유하고 있어 향후 해조류유래 n-3 지방산 활용 기능성 식품 혹은 지역 대표 수산식품으로 개발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Capacity of Major Seaweeds

  • Han, Kyung-Hee;Lee, Eun-Joo;Sung, Mi-ky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4권3호
    • /
    • pp.180-183
    • /
    • 1999
  • Seaweeds is a rich sources of dietary fibers exerting a number of physiological properties. However, the reported dietary fiber contents of seaweeds are not consistent and vary widely. Also. a limited number of studies on the biological effects of specific seaweeds have been reported. In this study, water-holding capacity, viscosity and antixidantive activity of major dietary seaweeds were measured to assess their physiological effects. Results showed that total dietary fiber contents ranged from 28 to 51% of dried weight, and large proportions of dietary fiber were insoluble fibers. Water-holding capacity was highest in sea mustard being 1310% , while laver, sea tangle, and green laver exhibited 943, 854 and 815%, respectively. The viscosity of seaweed samples was 20 to 40 cP in sea mustard and sea tangle, while laver and green laver possessed much lower values. All seaweed samples revealed a weak, albeit significant electron donating ability. Also, lipid peroxidation was reduced by 7 to 18%.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antioxidative activity among seaweeds and sample concernations used. These results imply that most commonly used seaweeds possibly exert parts of their physiological effects through their water-holding, gel-forming , and/or antioxidative activities.

  • PDF

미역과 다시마를 이용한 해조묵제조 -4. 해조묵의 저장성- (Preparation of Seaweed Muk with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and Sea Tangle(Laminaria japonica) -4. Shelf Life of Seaweed Muks-)

  • 정용현;국중렬;장수현;김종배;김건배;최선남;강영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31-337
    • /
    • 1995
  • 해조류 중 생산량이 많고 건강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높은 미역과 다시마 해조묵을 제조하여 수침저장 중 저장 온도와 시간에 따른 생균수, pH, 적정산도, 겔강도 및 TVN의 변화를 측정하여 적정저장 조건을 검토한 결과 묵 저장 중 겔강도는 약화되었으며, TVN, 생균수는 증가하였다. 조체묵의 수침저장은 $32^{\circ}C$에서는 3일, $18^{\circ}C$ 이하에서는 15일 저장까지도 가능하였으며, 두유혼합묵은 조체묵 보다는 저장 기간이 짧아서 $18^{\circ}C$ 저장시 3일까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미역의 효소추출물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 (Preparation of Jelly Using Enzyme Soluble Extracts of SeaMustard(Undaria pinnatifida))

  • 박인배;김선재;마승진;박정욱;정순택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21-425
    • /
    • 2005
  • 전처리 조건을 달리하여 얻은 추출물의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 수분은 비열처리-효소 추출구보다 열처리-효소 추출구가 다소 높았으며, 조회분과 조펙틴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상등액 추출율은 celluclast와 pectinex의 효소처리 했을때 무열처리-효소 추출구보다 열처리-효소 추출구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젤리의 adhesiveness 값은 열처리-효소 추출구 일수록 그리고 Celluclast 효소만 처리했을 때 높게 나타났다. Celluclast 효소를 첨가하여 제조한 젤리에서만 값들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나머지 Pectinex 효소나 혼합효소를 첨가하여 제조한 젤리에서는 값들이 모두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비열처리-효소 추출구에서는 Celluclast효소와 Pectinex효소를 첨가하여 제조한 젤리는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혼합효소를 첨가하여 제조한 젤리에서는 L값이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고 a값은 녹색도를 나타내는 (-)값이 더 증가하였다. 열처리-효소 추출구 젤리가 비열처리-효소 추출구 젤리보다 맛과 조직감 면에서는 약간 우수하였으나 다른 항목들에서는 보편적으로 비열처리-효소 추출구 젤리가 더 나은 결과를 나타냈다.

In Vitro 법에 의한 식이섬유의 혐기적 발효 및 수화 잔여물의 무게 (Anaerobic Fermentation and Weight of Hydrated Residue of Dietary Fibers in vitro)

  • 이경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8권9호
    • /
    • pp.834-845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stablish an in vitro method simulating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fibers along the large intestine of humans. Commercial fibers including guar gum, apple pectin, citrus pectin, CM-cellulose, alginic acid and $\alpha$-cellulose, and dietary fiber residues obtained from rice bran, barley, soybean, Korea cabbage, apple, tangerine and sea mustard were employed to determine the water-holding capacity, weight of hydrated residue and fiber content after anaerobic fermentation using human fecal inoculum for 24 hours, followed by dialysis under osmotic suction pressure. The weight of hydrated residue in commercial fibers was in the decreasing order of CM-cellulose > alginic acid, $\alpha$-cellulose > apple pectin, citrus pectin > guar gum and that in food fiber residues was in the decreasing order of rice bran, sea mustard > soybean > tangerine, Korean cabbage > barley > apple.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larger the weight of hydrated residue was, the more the weight of human stool increased. Consequently this in vitro method can be used as a preceeding test before undertaking animal or human experiment to predict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fiber residues from diverse food samples as well as commercially refined fibers.

  • PDF

Comparison of Metal Contents in Seaweeds Collected from the Busan Coastal Area

  • Jeong, Kap-Seop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9호
    • /
    • pp.943-947
    • /
    • 2008
  • For the purpose of safety identification,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in seaweeds collected from Busan Gijang coastal area were investigated.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metals had a level of as high as the order of manganese (2.76 ppm)>zinc(2.11 ppm)>copper(0.59 ppm)>arsenic (0.092 ppm)>lead(0.06 ppm)> mercury(0.03 ppm)>cadmium(0.026 ppm). The contents of manganese and zinc were highly detected from P. elliptica, copper and mercury from agar, cadmium from sea mustard and arsenic from wild sea mustard, respectively. The metal contents of seaweeds varied with kinds of samples, but high level for the safety can be found in these samples. Because P. elliptica had shown a clear selectivity for both manganese and zinc, this seaweed could be useful as a bioindicator for these two metal pollution.

미역 추출액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Som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queous Extracts of Sea Mustard)

  • 최희숙;김상순;김종군;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82-386
    • /
    • 1992
  • 열수출시 미역 추출액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추출액의 고형분, 단백질의 농도와 수율은 초기추출시간 동안 추출 온도 $50^{\circ}C$에서 $100^{\circ}C$로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그러나 상징액율은 $50^{\circ}C$$100^{\circ}C$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100^{\circ}C$에서 1시간 추출할 때 고형분과 단백질 수율은 각각 21.56%와 4.76%였다. 점도는 $100^{\circ}C$에서 2시간 추출할 때 가장 높았으며 다른 온도의 추출액 점도에 비해 $2.5{\sim}4.0$배 높았다. 탁도는 추출 1시간 이후 차츰 감소하였으며 고형분과 단백질의 초기 추출속도에서 계산된 활성화에너지는 1.18과 3.9 Cal/mole이었다.

  • PDF

노화된 흰쥐에서 식이섬유질원이 첨가된 식이가 혈청지질과 장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Dietary Fiber on the Serum Lipid Level and Bowel Function in Aged Rats)

  • 박은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9호
    • /
    • pp.934-942
    • /
    • 199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ietary fibers on the serum lipid level and bowel function in aged rats. Fiber sources of experimental diets were made from mugwort(M), butterbur(B), apple(A), sea mustard(S) by drying and milling. Each of fiber sources was mixed into the diet at the level of 5, 15% of diet. Sprague-Dawley strain, 13 month old male rats were divided into 9 groups by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 C, M5, B5, A5, S5, M15, B15, A15, S15. The animals were fed ad libitum each of experimental diets for 4 weeks. Control group showed lower food intake compare to the other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5% groups and 15% groups in food intake. Fecal weight, dry fecal weight and fecal water content of contro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experimental groups, and fecal water content was increased by increasing level of dietary fibber. Apple group showed the lowest values, sea mustard group showed the highest. The shorter transit time was observed in the group of higher intake of dietary fiber. At the same level of dietary fiber, transit time of sea mustard group was shorter than the other groups. With increasing age, serum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were increased and HDL-cholesterol was decreased. Fiber fed groups showed lower serum TG, TC and higher HDL-c level compare to the control group. Absorption rates of calcium, magnesium and phosphorus was tend to be lower in the group fed dietary fiber sources than control group. Mucosa weight and maltase activity in the small intestine were decreased by increasing age. As intake of dietary fiber increaed, mucosa weight in the small intestine was not different but maltase activity was decrea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