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 level anomaly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6초

열대 및 북태평양에서 ENSO와 관련된 표층수온과 해면고도의 경년 변동성 (Interannual Variabilities of Sea Surface Temperature and Sea Level Anomaly related to ENSO in the Tropical and North Pacific Ocean System)

  • 김응;전동철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0권3호
    • /
    • pp.313-324
    • /
    • 2008
  • In order to understand the variation of ENSO-related oceanic environments in the tropical and North Pacific Ocean,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sea surface temperature anomaly (SSTA) and sea surface height anomaly (SSHA) are analyzed from distributions of complex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s (CEOF). Correlations among warm pool variation, southern oscillation index, and ocean surface currents were also examined with respect to interannual variability of the warm pool in western tropical Pacific. Spatio-temporal distributions of the first CEOF modes for SSTA and SSHA indicate that their variabilities are associated with ENSO events, which have a variance over 30% in the North Pacific. The primary reasons for their variabilities are different; SST is predominantly influenced by the change of barrier layer thickness, while SSH fluctuates with the same phase as propagation of an ENSO episode in the zonal direction. Horizontal boundary of warm pool area, which normally centered around $149^{\circ}E$ in the tropics, seemed to be expanded to the middle and eastern tropical regions by strong zonal currents through the mature phase of an ENSO episode.

Detection of 2002-2003 El Ni${\tilde{n}}$o Using EOS and OSMI Data

  • Lee, S.H.;Lim, H.S.;Kim, J.G.;Jun, J.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1413-1414
    • /
    • 2003
  • Interannual variability in the patterns of satellitederived pigment concentrations, sea-level height anomaly, sea surface temperature anomaly, and zonal wind anomaly are observed during the 2002-2003 El Ni${\tilde{n}}$o. The largest spatial extent of the phytoplankton bloom was recovery from El Ni${\tilde{n}}$o over the equatorial Pacific. The evolution towards a warm episode (El Ni${\tilde{n}}$o) started from spring of 2002 and continued during January 2003, while equatorial Sea Surface Temperature Anomaly (SSTA) remained greater than +1$^{\circ}$C in the central equatorial Pacific. The EOS (Earth Observing System) and OSMI (Ocean Scanning Multispectral Imager) data are used for detection of dramatic changes in the patterns of pigment concentration during El Ni${\tilde{n}}$o.

  • PDF

Feasibility Study of Climatological Variability Monitoring Using OSMI and EOS Data

  • Lim, Hyo-Suk;Kim, Jeong-Yeo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317-322
    • /
    • 2002
  • Dramatic changes in the patterns of satellite-derived pigment concentrations, sea-level height anomaly, sea surface temperature anomaly, and zonal wind anomaly are observed during the 1997-1998 El Nino. By some measures, the 1997-1998 El Nino was the strongest of the 20$^{th}$ century. A very strong El Nino developed during 1997 and matured late in the year. A dramatic recovery occurred in mid-1998 and led to a La Nina conditions. The largest spatial extent of the phytoplankton bloom was followed recovery from El Nino over the equatorial Pacific. The evolution towards a warm episode (El Nino) continued in the equatorial Pacific from March 2002 and further development toward mature El Nino conditions may be possible in late 2002. The OSMI (Ocean Scanning Multispectral Imager) data can be used for detection of dramatic changes in the patterns of pigment concentration during next El Nino.

  • PDF

CLIMATIC TRENDS OF SOME PARAMETERS OF THE SOUTHERN OCEAN DERIVED FROM REMOTE SENSING DATA

  • Lebedev, S.A.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1023-1026
    • /
    • 2006
  • As it was shown recently, climate changes in Antarctica resulted in interannual trends of some climatic parameters like sea level pressure, surface air temperature, ice thickness and others. These tendencies have effect on the Southern Ocean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regime. The following remote sensing data: AVHRR MCSST data, satellite altimetry data (merged data of mission ERS-2, TOPEX/Poseidon, Jason-1, ENVISAT, GFO-1) are used to analyse the interannual and/or climatic tendency of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nd sea level anomaly (SLA). According to the obtained results, SST has negative trend $-0.02{\pm}0.003^{\circ}C/yr$ for 24-yr record (1982-2005) and SLA has positive trend $0.01{\pm}0.005$ cm/yr for 24-yr record (1982-2005) and $0.24{\pm}0.026$ cm/yr for 12-yr record (1993-2005). However in some areas (for example, Pacific-Antarctic Ridge) SST and SLA tendencies are stronger $-0.065{\pm}0.007^{\circ}C/yr$ and $-0.21{\pm}0.05$ cm/yr, respectively.

  • PDF

동해의 Topex/Poseidon 고도계로부터 추정된 해면고도이상치의 수평구조와 변동성 (Variability and Horizontal Structure of Sea Surface Height Anomaly Estimated from Topex/poseidon Altimeter in the East (Japan) Sea)

  • 김응;노영재;김창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2호
    • /
    • pp.94-110
    • /
    • 2003
  • 본 연구는 Topex/Poseidon 고도계 자료(1992∼2000년, 286 cycles)를 사용하여 동해의 해면고도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과 구조를 규명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객관적 적합보간법을 이용하여 격자구조의 해면이상치(SSHA)자료를 생성하였으며, 스펙트럼 분석과 경험직교함수 분석을 하였다. SSHA분포는 동해 극전선 해역을 중심으로 남쪽해역과 북쪽해역으로 구분이 되며, 남쪽해역은 쓰시마난류의 영향을 받아 SSHA의 변동폭이 크고, 북쪽해역은 상대적으로 작다. 동해에서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은 5개의 경험직교함수로서 특징 지워지며 총분산의 85% 이상을 설명할 수 있었다 제 1모드는 동해의 전역의 SSHA의 계절 및 년간 변동을 지배하며 총분산의 72.3%로 우세하다. 제 2-5 모드들은 상대적으로 적은 분산을 설명하고 있으며(약 14%), 주로 쓰시마난류, 동한난류와 관련된 해류의 영향에 의한 연안해역의 변동과 극전선역의 사행과 관련된 변동 및 중규모 소용돌이와 관련된 변동으로 파악되었다. 유의한 스펙트럼을 보이는 주기는 0.5년 1년, 2.5년, 3.3년 등이었다.

해면 산란효과에 의한 선박 방사소음 추정치 오차 (Error Characteristics of Ship Radiated Noise Estimation by Sea Surface Scattering Effect)

  • 박규칠;박지현;서철원;최재용;이필호;윤종락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6호
    • /
    • pp.563-573
    • /
    • 2013
  • The ship radiated noise level fluctuates by the interference between direct and reflected paths. The effect of sea surface reflection path on interference depends strongly on sea surface roughness. This paper describes error characteristics of ship acoustic signature estimation by sea surface scattering effect. The coherent reflection coefficient which explains a magnitude of sea surface scattering and its resultant interference acoustic field is analyzed quantitatively as a function of a grazing angle, effective surface height, frequency, source-receiver range and depths of source and receiver. Theoretical interference acoustic field is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 for two different sea surfaces and five different frequencies by changing source-receiver range. It is found that both matches well each other and a magnitude of interference acoustic field is decreasing by increasing a grazing angle, effective surface height, frequency, and depths of source and receiver and decreasing source-receiver range. For given experimental conditions, the transmission anomaly which is a bias error of ship acoustic signature estimation, is about a range of 1~3 dB. The bias error of an existing ship radiated noise measurement system is also analyzed considering wind speed, source depth and frequency.

위성 고도계 자료를 활용한 한반도 해수면 높이 변동 연구 (Study on Sea Level Changes in Korean Peninsula by Using Satellite Altimetry Data)

  • 황도현;윤홍주;서원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325-330
    • /
    • 2016
  • 해수면은 19세기 말부터 상승 추세에 있으며, 20세기 이후 상승률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해수면 높이는 지역적인 차이가 크기 때문에 한반도 주변 해역을 대상으로 해수면 변동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용된 자료는 해상도 $1/4^{\circ}$의 Topex/Poseidon, Jason-1, Jason-2 위성의 고도계 자료를 이용하였다. 1993년부터 2013년까지 21년간 월별 평균 해수면 아노말리는 1~4월은 음의 값을 보였으며, 5~10월까지 양의 값을 보였다. 중국 보하이만은 대륙성 기후의 영향을 받아 해수면 변동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21년 자료를 평균한 결과 중국 보하이만은 대륙성 기후 영향을 받는 것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쿠로시오 해류 및 와동류 영향을 받아 해수면 변동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onitoring of Climatological Variability Using EOS and OSMl Data

  • Lim, Hyo-Suk;Kim, Jeong-Yeon;Lee, Sang-Hee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09-216
    • /
    • 2003
  • Dramatic changes in the patterns of satellite-derived pigment concentrations, sea-level height anomaly, sea surface temperature anomaly, and zonal wind anomaly are observed during the 1997-1998 El Ni$\bar{n}$o. By some measures, the 1997-1998 El Ni$\bar{n}$o was the strongest one of the 20$^{th}$ century. A very strong El Ni$\bar{n}$o developed during 1997 and matured late in the year. A dramatic recovery occurred in mid-1998 and led to La Nina condition. The largest spatial extent of the phytoplankton bloom was fellowed recovery from El Ni$\bar{n}$o over the equatorial Pacific. The evolution towards a warm episode (El Ni$\bar{n}$o) started from spring of 2002 and continued during January 2003, while equatorial SSTA remained greater than +1$^{\circ}C$ in the central equatorial Pacific. The OSMI (Ocean Scanning Multispectral Imager) data are used for detection of dramatic changes in the patterns of pigment concentration during next El Ni$\bar{n}$o.

웨이블릿 접근을 통한 해수면 높이와 기후 지수간의 다중 스케일 상관 관계 분석 (Multi-scal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ea Level Anomaly and Climate Index through Wavelet Approach)

  • 황도현;정한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5_1호
    • /
    • pp.587-596
    • /
    • 2022
  • 기후 변화로 인하여 해수면은 상승 추세에 있으며, 이로 인해 해안가 주변 저지대는 물에 잠길 위험에 처해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성 고도계 자료(Topex/Poseidon, Jason-1/2/3) 및 Southern Oscillation Index(SOI) /Pacific Decadal Oscillation (PDO) 자료를 이용하여 해수면 높이 변화와 기후 지수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간 기반의 함수를 주파수 기반 함수 형태로 변환시킨다면 각 자료가 가지고 있는 고유 주기를 분석할 수 있다. 푸리에 변환과 웨이블릿 변환은 대표적인 주기 분석 방법이다. 푸리에 변환은 주기에 대한 정보만 획득 가능하지만, 웨이블릿 변환은 주기 및 시간 정보 둘 다 획득할 수 있다. 웨이블릿 변환은 각 자료에 대한 주기를 찾을 수 있으며, 교차 웨이블릿 변환과 웨이블릿 긴밀도는 두 자료에 대한 공통 주기나 상관 관계 및 위상을 찾을 수 있다. 교차 웨이블릿 변환 결과 해수면 높이 및 두 기후 지수(SOI, PDO)의 1년 주기에서 강한 출력이 확인되었으며, 해수면 높이와 PDO는 역위상 관계를 보였다. 웨이블릿 긴밀도 분석에서는 교차 웨이블릿 변환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1년 미만의 단주기 및 장주기에서의 상관관계가 높은 구간을 찾을 수 있었다. 웨이블릿 분석은 각 자료의 주기를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 시계열 자료가 가지고 있는 주기 및 위상관계를 찾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웨이블릿 분석을 통해 기후 자료가 가지는 고유의 주기를 분석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시계열 자료 분석에서 찾기 어려운 해양의 다양한 현상을 모니터링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016년 동아시아 해역의 MOHID 지역 해양 순환 모델 검증 (The Validation of MOHID Regional Ocean Circulation Model around the East Asian Seas in 2016)

  • 이재호;임병준;김도연;박상훈;장유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36-45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순환 모델인 MOHID (MOdelo $HIDrodin{\hat{a}}mico$) 모델을 적용하여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해역의 2016년 해황 변동을 재현하였다. 재현 결과는 객관 분석장(EN4, ARMOR3D, AVISO, SIO 자료)과 현장 관측 자료(정선 해양 자료, 부이 자료)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MOHID로 재현된 수온, 해면 고도 편차, 표층 유속 및 혼합 층 깊이 등의 전반적인 해황 구조가 동아시아 해역의 객관 분석 자료들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특히 연안의 부이 자료와 비교하였을 때, 표층 수온 및 해면 고도 편차의 상관 계수는 모두 0.8 이상이며, 표준화된 표준편차는 0.85-1.15의 값을 보였다. 그러나 여름철 동해의 수온 약층의 구조 및 황해와 남해의 강한 성층 현상 재현에 관한 추가적인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