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reening Test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3초

Screening of New Bioactive Materials from Microbial Extracts of Soil Microorganism (I) Antimicrobial Activity from 200 Sampled Using Microdilution Assay

  • Jung, Sang-Oun;Kim, Joon;Chang, Il-Moo;Ryu, Jae-Chu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278-285
    • /
    • 1998
  • The microdilution assay recommended by NCCLS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is one of the standardized methods of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This method has been widely used clinically to obtain MIC values of antibiotics on pathogenic microorganisms. It is more convenient, rapid and simple to test many samples than other test methods such as agar diffusion assay and broth macrodilution assay. The screening of antimicrobial agents from microbial extracts is too laborious in its process. Therefore, a number of screening methods having more simple procedure have been developed. In our laboratory, we applied microdilution assay for screening the antimicrobial agents. This assay showed dose-response results and was more sensitive than disc diffusion assay in our system. We tested 200 samples of microbial extracts originated from 100 microbial strains and selected several samples as potential candidates. In this report, we show that the microdilution assay is more convenient method in screeing of antibiotic susceptibility than those previously reported.

  • PDF

Isola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from a Shih-Tzu dog with canine distemper virus infection

  • Pak, Son-il;Hwang, Cheol-yong;Youn, Hwa-young;Han, Hong-ryul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376-382
    • /
    • 1999
  • A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olate was recovered from a 9-month-old female Shih-Tzu dog with canine distemper virus infection. We performed in vitro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antimicrobial drug against the isolate and thus, to emphasize its potential clinical importance in animal practices. Isolate was confirmed MRSA by oxacillin agar screening test. The isolate was fully resistant to all $\beta$-lactam antibiotics and was susceptible to glycopeptides. Of the other antibiotics, mupirocin, TMP/SMZ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and chloramphenicol showed inhibitory effect at the concentration of 4x MIC. The MICs ranged 0.25->$128{\mu}g/ml$, and MBCs ranged 0.5->$128{\mu}g/ml$. The combined TMP/SMZ with cefamandole or novobiocin showed synergistic effect, whereas the combination of novobiocin plus cefamandole or teicoplanin resulted in antagonistic effects. Although MRSA in animals so far has been reported in the geographically limited countries, at least theoretically, it could be occurred in the future more frequently through either human or animal origin. The use of this combination may be of value in this situation. As with all antimicrobial agents, inappropriate or unnecessarily prolonged therapy may contribute to the emergence of resistance strains and loss of efficacy.

  • PDF

Patterns on the Outbreaks of Bovine Mastitis and Susceptibility to Antimicrobias of Isolated Causative Agents in a Municipal Area

  • Jung, Hee-Kon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2-53
    • /
    • 1995
  • 광주시 지역에서 사육하고 있는 젖소 1,614두중 유방염으로 의심되는 730분방 중에서 170분방을 검사분석하여 유방률, 균의 분리와 간이검사법과의 관계, 계절별 분리균의 분포, 항균 요법제에 대한 감수성 등을 검사하였다. 본 원인균은 730분방 중 134분방(18.4%)에서 분리되었으며 체세포 숫자는 평균 $1.620 imes 10^6pm 1.167 imes 10^6/ml$(C.V. 72.0%)이었다. CMT 반응치는 평균 $2.9pm 1.2$(C.V. 41.4%)이었으며 WT 반응치는 평균 $2.8pm 1.2$(C.V. 42.9%)이었다. RBVT와 CMT의 상관계수는 0.82(P<0.001)이었고 RBVT와 WT의 상관계수는 0.75 (P<0.001)이었으며 CMT와 WT의 상관계수는 0.93 (P<0.001)이었다. 체세포 숫자를 기준으로 하여 CMT 및 WT의 양성율을 비교하여 보면 원인균이 분리된 경우에는 체세포 숫자가 $0.49 imes 10^6$ 이하/ml의 경우에 반응치가 1+일때의 CMT는 72.4%, WT는 42.1%이었고 체세포 숫자가 $0.50 imes 10^6~1.00 imes 10^6/ml$의 경우에 반응치가 2+일 대의 CMT는 45.5%, WT는 48.8%이었으며, 체세포 숫자가 $3.01 imes 10^6$ 이상/ml의 경우에 반응치가 3+일 때의 CMT는 73.7%, WT는 92.3%이었다. 원인균의 월별 분리 빈도를 보면 8월 (17.9%)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9월(16.4%), 7월 (12.7%), 6월 (11.2%), 1월 (9.0%)의 순이었다. 원인균의 분리 빈도를 보면 Staphylococcus sp. (51.4%)가 가장 높았고 다음은 Escherichia coli(23.9%), Pseudomonas sp. (11.2%). Streptococcus sp. (6.7%)의 순이었다. 항균 요법제에 대한 감수성은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은 Streptococcus sp., Staphylococcus epidermidis, Proteus sp., Salmonella sp. 등에 높았고 gentamycin은 Streptococcus sp., Staphylococcus aureus, Enterobacteriaceae, Klebsiella sp., Proteus sp., Salmonella sp. 등에 높았으며 enrofloxacin은 일반적으로 거의 모든 균에서 감수성이 높았다.

  • PDF

해양 유래 미생물을 이용한 어류질병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탐색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Marine-Derived Biomaterials against Fish Pathogens)

  • 김동휘;박소현;김지현;이해리;허문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50-256
    • /
    • 2017
  • 제주도 육상 양식장에서 주로 발생하는 어류 질병세균인 Edward tarda, Streptococcus parauberis, Photobacterium phosphoreum에 대한 피해를 줄이고 치료하고자 해양유래 미생물을 이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진은 제주 지역 4개 해역에서 해양유래 미생물을 8종 분리하였다. 분리 된 해양유래 미생물을 이용하여 항생제 디스크에 대한 감수성 확인을 한 결과, Oxytetracycline과 penicillin에서만 약한 내성을 보일 뿐 나머지 항생제 디스크에 대해선 감수성을 보였다. 해양 유래 미생물을 이용하여 어류질병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한 결과 E. tarda에 대해선 MD-02, MD-04, MD-06이 각각 22 mm, 18 mm, 19 mm의 억제환이 나타났다. S. parauberis에 대해선 MD-01, MD-02, MD-04, MD-06이 각각 19 mm, 22 mm, 30 mm, 29 mm의 억제환이 나타났으며, P. Phosphoreum에 대해선 모든 해양 유래 미생물에서 항균활성을 보였다. 이 중 어류질병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이 가장 좋으며 항생제에 감수성을 보이는 B. subtilis MD-02를 최종 선정하였다. B. subtilis MD-02의 배지조성은 탄소원에서는 Dextrine, 질소원에서는 Peptone, 무기염에서는 $MgSO_4{\cdot}7H_2O$에서 생육이 가장 활발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해양에서 분리된 B. subtilis MD-02는 어류질병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동시에 향후 치료제로써의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