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reen Size

검색결과 621건 처리시간 0.032초

미세분의 성질이 지료특성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Fines Properties on Fiber Furnish Quality)

  • 조욱연;서영범
    • 펄프종이기술
    • /
    • 제37권2호
    • /
    • pp.1-10
    • /
    • 2005
  • Removal of fines from fiber furnish by fractionation improves drainage, but decreases fiber bonding in paper. Fines can be again classified by their size such as the fines that passed 150 and 400 mesh screen, respectively. A hypothesis of different properties between these two kinds of fines was tested. Four different furnishes (SwBKP, HwBKP, KOCC, and BCTMP) were refined in two levels, and all their furnish and handsheet properties were compared in respect of their fines. KOCC fines gave the slowest drainage and least contribution to breaking length while BCTMP fines the fastest drainage and the highest contribution to breaking length. Removal of the fines that passed 400 mesh screen gave high improvement in drainage and large decrease in breaking length. Only KOCC fines removal gave more positive results where there were large improvement in drainage but only small decrease in breaking length.

FPGA 기반의 터치스크린 다중입력처리를 위한 고속 렌더링 구현 (An Implementation of High Speed Rendering to Process Touch Screen Multiple Inputs based on FPGA)

  • 윤준한;김진헌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1803-1810
    • /
    • 2017
  • A large amount of processing time is required if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touch position on the touch screen and displaying it on the display panel is performed only by softwa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output information touched on the screen using H/W method in order to improve the response speed delay. In the FPGA module designed for the HDMI signal output to the display module, the touch information is input to the serial data signal including touch coordinate information, point size, and color information. Then the module render the image using HDMI signal input to the module and the touch information. This method has a pipeline structure so it has effect of reducing the delay time that occurs in outputting the touch informatio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oftware processing method.

Fabrication Techniques for Carbon Nanotube Field Emitters by Screen Printing

  • Yi, Mann;Jung, Hyuk;Lee, Dong-Gu;Seo, Woo-Suk;Park, Jong-Won;Chun, Hyun-Tae;Koh, Nam-Je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2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655-657
    • /
    • 2002
  • The carbon nanotube emitters for field emission displays were fabricated by screen printing techniques. The pastes for screen printing are composed of organic binders, carbon nanotubes, and some additive materials. Then the pastes were printed on Cr-coated/Ag-printed soda-lime glass substrates. From the I-V characteristics, the turn-on field of SWNT was lower than that of MWNT. The decrease in the mesh size of screen masks resulted in decreasing the turn-on field and increasing the electron emission current. When the carbon nanotubes were mixed with glass frit, glass frit appeared to contribute to the vertically aligning of carbon nanotubes on glass.

  • PDF

안드로이드 기반의 다중 기기에서의 동영상 동시 재생을 위한 동기화 기법 (A Synchronization Technique for Android Multivision Applications with Multiple Smart Devices)

  • 김강현;윤준호;이법재;김대영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1호
    • /
    • pp.1-6
    • /
    • 2015
  • 스마트기기는 일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스마트기기 스크린 크기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하기에는 여전히 작다. 그래서 여러 대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해서 멀티비전을 구성하게 되면 스크린을 확장해서 볼 수는 있지만 기기 상호간에 발생하는 시간지연에 의해 영상 및 소리의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간 지연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두 가지 동기화 기법을 구현 및 검증하여 효율적인 기법을 최종안으로 제안한다. 이 기법은 Controller의 재생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Viewer 역할을 하는 기기가 자신의 재생 시간을 반복 조정하여 재생 동기화 하는 방법이다. 이 기법을 사용하면 네트워크 품질이나 단말기 제조사에 관계없이 여러 대의 스마트 기기로 멀티비전을 구성하여 확장된 크기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 of Surface Pyramids Size on Mono Silicon Solar Cell Performance

  • 김현호;김수민;박성은;김성탁;강병준;탁성주;김동환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0.2-100.2
    • /
    • 2012
  • Surface texturing of crystalline silicon is carried out in alkaline solutions for anisotropic etching that leads to random pyramids of about $10{\mu}m$ in size. Recently textured pyramids size gradually reduced using new solution.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at texture pyramids size had an impact on emitter property and front electrode (Ag) contact. To make small (${\sim}3{\mu}m$) and large (${\sim}10{\mu}m$) pyramids size, texturing times control and one side texturing using a silicon nitride film were carried out. Then formation and quality of POCl3-diffused n+ emitter in furnace compare with small and large pyramids by using SEM images, simulation (SILVACO, Athena module) and emitter saturation current density (J0e). After metallization, Ag contact resistance was measured by transfer length method (TLM) pattern. And surface distributions of Ag crystallites were observed by SEM images. Also, performance of cell which is fabricated by screen-printed solar cells is compared by light I-V.

  • PDF

코안다효과를 이용한 제진기 스크린의 최적설계를 위한 수치적 연구 (A Numerical Study for Optimum Design of Dust Separator Screen Based on Coanda Effect)

  • 윤성민;김용선;신희재;고상철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77-185
    • /
    • 2018
  • There is a need to study dust separator screens with good drainage efficiency while effectively filtering suspended solids and other contaminants entering the intake pumping station, the drainage pumping station and the mediation pumping station, the cooling water inlet of the power plant, and the like. In this paper, Numerical studies were conducted for the optimal design of the dust separator screen using the Coanda effect. The shape of the dust separator screen is important, such as the right curvature radius $R_1$ at the top of the dust separator screen and the left curvature radius $R_2$ at the top, h is the height difference and shape between the screen and the accelerating plate, and ${\theta}$ i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creen. A total of 4 shape factors were set and the effects of Coanda and drainage performance of each element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optimum length and size of each shape element were derived by classifying the shape elements into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Finally, it was possible to effectively filter foreign matter by narrowing the screen spacing, and the drainage performance was analyzed and optimized through numerical studies of dust separator screen.

막힘 방지 스프링 적용 스크린 운동 특성 분석을 통한 스크린 효율 개선 효과 분석 (The Screen Efficiency Improving Effect Analysis by the Screen Motion Characteristic Analysis Applying Blockage Prevention Spring)

  • 이한솔;유명렬;이훈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1권6호
    • /
    • pp.36-43
    • /
    • 2022
  • 순환골재 입도 분리를 위해 사용되는 일반적인 스크린은 막힘 현상으로 인해 함수 시료 처리가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스크린의 분리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DEM(Discrete Element Method) 기반의 모사 실험을 통해 스프링 기반의 추가 보조 진동 장치의 우수성을 판단하였다. 스프링 디자인에 따른 변위, 진폭 및 변형 각 분석을 통해 운동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스크린에 적용하여 입자의 거동을 모사하였다. 입자 모사 결과, 스프링이 적용된 스크린의 물질 흐름 및 분리 효율은 각각 9.2 kg/s, 97 %로 나타났으며, 기존 스크린과의 비교를 통해 막힘 방지 스프링의 적용은 기존 스크린을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식품분말 진동선별기 개선을 위한 구조물 효율 분석 (Efficiency Analysis of Spiral Structured Twist Screen)

  • 박인순;나은수;장동순;백영수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2호
    • /
    • pp.85-91
    • /
    • 2010
  • 식품 산업 가공 공정에 다양하게 적용되는 진동 선별기(twist screen)의 구조를 변경하고 그 효율을 분석하기 위하여 위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료 공급 시 스크린 외곽의 프레임을 따라 선별되지 못하고 빠지는 입자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린 프레임에 dam을 설치하였으며, 스크린 중앙에서 공급되는 시료가 진동에 의하여 중앙에서 외곽으로 빠르게 이동하며 입자층을 이루어 선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크린에 나선형 구조물을 설치하였다. 진동 선별기는 직경 1,200 mm와 직경 1,500 mm를 사용하였으며 스크린은 mesh 24이고 선경 0.12 mm인 표준망을 적용하였고 진동 모터는 60 Hz로 운전하였으며 자기진동 이송기는 주파수 게이지 8과 10으로 각각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진동 선별기 직경 1,200 mm인 경우 일반형은 처리 용량 24 kg/hr, 처리 분율은 4.72%이었고 스크린 프레임에 dam을 설치하고 스크린에 나선형 구조물을 설치한 경우에는 처리 용량이 22.8 kg/hr, 처리 분율 8.05%이었다. 구조물의 설치로 처리 용량은 다소 감소하였으나 처리 분율은 1.7배 증가하여 선별 효율이 상당히 높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진동 선별기 직경 1,500 mm의 경우 일반형의 처리 용량은 43.32 kg/hr으로 직경 1,200 mm인 경우와 비교하여 처리용량은 1.8배 증가하였으나 처리 분율은 2.37%로 처리용량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처리 1의 입도를 분석한 결과 스크린에 의하여 선별될 세립의 입자가 비선별 처리물에서 발견되고 있다. 스크린의 직경이 넓어져서 처리 용량이 증가하였으나 공급 속도를 높여 공급량이 많아지므로 입자들의 망 접촉 시간이 감소하고 입자의 층 현상이 심화되어 처리 효율이 감소하고 세립의 입자 선별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선별기 직경 1,500 mm에 screen frame dam을 설치한 경우 처리 용량 43.14 kg/hr로 일반형과 비슷하며 처리 분율은 3.25%로 매우 증가되었다. 입자들의 층현상이 심화된 ${\emptyset}$1500에서 스크린의 프레임에 dam을 설치함으로써 스크린 프레임으로 빠져나가 망에 체류 시간이 단축되는 것이 방지되며 프레임을 따라 입자층이 형성되어 스크린과 접촉이 불가능하였던 입자들이 dam에 의하여 스크린 안쪽에서 이동되므로 거의 동일한 처리 용량에서도 처리 효율 증가가 뚜렷하게 구분되었다고 할 수 있다. Screen frame dam과 나선형 구조물을 모두 설치한 경우 처리 용량은 39.04 kg/hr로 다소 감소되었으나 처리 분율은 6.77%로 직경 1,500 mm의 진동 스크린에서 일반형 구조시 보다 3배, frame dam만 설치된 경우보다 2배의 증가를 보였다. 비선별 처리물인 처리 1의 시료를 입도분석한 결과 선별 처리되지 못한 세립의 입자를 전혀 발견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frame dam을 설치하여도 입자들이 빠르게 휩쓸려 스크린의 외곽으로 이동하여 망과 접촉 시간이 단축되며 층을 이루어 입자간의 간섭에 의해 선별 효과가 감소되는 것을 나선형 구조물에 의하여 방지함으로써 체류시간을 증가시키고 입자층을 분산시켜 선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나선형 구조물 설치시 처리 용량은 다소 감소되는 경향을 보이나 처리 분율이 3배까지 차이를 나타나며 이는 공급 속도가 빠를수록 처리 용량이 많을수록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구치 방법을 활용한 해머밀 분쇄공정의 최적화 연구 (Taguchi's Robust Design Method for Optimization of Grinding Condition by Hammer Mill)

  • 최홍일;김병곤;박종령;정수복;전호석;장희동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19-225
    • /
    • 2010
  • 저등급 석탄인 갈탄(lignite)을 순환 유동층 가스화기(circulating fluidized bed gasifier)의 효과적인 가스화를 위한 공급탄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모든 조건들은 동일하고 스크린의 크기만을 변경하여 목적하는 입도분포 특성을 달성하는 최적조건을 찾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가스화기 공급탄은 0.045~1 mm 크기로 85 wt% 이상이 요구되며 이러한 입도분포를 갖는 공급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이면서도 효과적인 공정 설계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산 갈탄을 해머밀로 효과적으로 분쇄하기 위하여 다구치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설계조건에 따른 실험결과 및 통계분석 결과 95% 유의수준에서 1차 스크린의 크기는 3 mm, 2차 스크린의 크기는 1.3 mm인 경우가 최적화된 조건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