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our Depth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19초

흐름특성과 하상특성을 동시에 고려한 교량세굴심 산정에 관한 연구 (Determination of Bridge Scour Depth Considering Flow Conditions and Bed Characteristics)

  • 최종석;여운광;김문모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6호
    • /
    • pp.893-89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하상이 단단한 지질구조로 이루어진 하상조건에서의 실제적인 세굴현상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간 교량세굴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하여 홍수시의 세굴심을 측정하였다. 또한, 홍수 전$\cdot$후의 지반구조를 측정할 수 있는 GPR(Ground Penetrating Radar)탐사를 통하여 홍수로 인한 세굴가능성을 면밀히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지질구조에 따른 세굴심 산정공식의 적용성 여부를 판단하였고 하상특성과 흐름특성이 동시에 고려된 실제적인 세굴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파랑에 의한 이중 파일 주변부 국부세굴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Local Scour Around the Double Pile in Waves)

  • 오현식;이호진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169-175
    • /
    • 2022
  • 강 하구나 천해역 등 파랑에 의해 영향을 받는 흐름장에서의 세굴은 한 방향 흐름에서의 세굴에 비해 예측이 어렵다. 해저 교량과 같은 원형 파일 주변부에서의 세굴 예측에 있어서 주요 관심사는 최대 세굴의 깊이와 발생 지점이다. 인접한 원형 파일이 2개 이상인 경우 파일 간의 간격과 정렬 방식에 따라 최대 세굴이 발생하는 위치 및 깊이는 단일 파일일 경우와 많은 차이를 나타낸다. 본 논문은 흐름의 크기를 나타내는 무차원 변수로서 KC 수를 산정하고 파일 간격과 흐름의 크기에 따른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점착성 하상에서의 교각형상에 따른 국부세굴 연구 (A Study of the Local Scour Considering the Pier Shapes in the Cohesive Bed)

  • 최계운;김기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1권5호
    • /
    • pp.539-552
    • /
    • 1998
  • 점착성 하상에 교각을 설치하는 경우, 사용되는 국부세굴심도 산정공식은 대부분이 비점착성 하상을 가진 수로에서의 실험결과에 근거를 두고 있기 때문에, 정확성에 대한 논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점착성 하상재료를 가진 실험수로 내에 5개 형태의 교각을 설치하여 발생되는 세굴심도의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실험결과는 Froude 수와 교각폭에 대한 수심의 변화에 따라 분석되었으며 기존공식에 의한 결과와도 비교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점착성 하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교각형상계수를 제안하였다. 교각형상계수는 원형교각 주위에서 발생되는 세굴심도에 대한 타형태의 교각주위에서 발생되는 세굴심도의 비율로 나타내었으며, 수심에 따라 2단계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1단계는 교각폭에 대한 수심이 1.2 이하인 경우로 방정식에 의하여 교각형상계수가 제안된 반면 2단계에서는 상수값으로 교각형상계수가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교각 형상 계수는 본 실험에서 사용된 하상재료와 유사한 점착성 하상에 설치된 교량의 교각 국부세굴심 산정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1, 2차원 수치해석에 따른 기존 세굴심 산정식 편차 산정 (Computations of Numerical Deviations of Equations for Souring Depth Comparing with 1-D and 2-D Numerical Model)

  • 최한규;박태현;이영섭
    • 산업기술연구
    • /
    • 제28권B호
    • /
    • pp.185-191
    • /
    • 2008
  • This study tried the 1st, 2nd 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according to the pier's shape, size and installing method in order to compare the depth of scour calculation method using the variables calculated by using the 2nd 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with the calculated depth of scour value by using the calculated variables by using the 1st 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And then verified the problems occurring when the depth of scour is calculated by using the calculated values by using the 1st 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as calculating the deviation depending on it.

  • PDF

S-SRICOS 방법 : 점성토지반의 교각세굴깊이 예측 (5-SRICOS Method : Prediction of Scour Depth Around Bridge Piers in Cohesive Soils)

  • 곽기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3-21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교각주위에 발생하는 국부세굴깊이를 예측하기 위한 5-SRICOS 방법을 제안하였다. 교각주위의 시간에 따른 세굴깊이 변화곡선을 예측하기 위해 SRICOS 방법이 개발된 바 있다. 이는 흙의 특성에 기초한 시간효과와 수리학적 매개변수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으며, SRICO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제의 수문곡선과 다층지반구조를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다. 5-SRICOS 방법은 이 SRICOS 방법의 단순화된 형태이다. 수계산만으로 세굴깊이를 예측할 수 있도록 SRICOS 방법을 단순화시키는 시도가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5-SRICOS 방법에서는 단지 교각폭, 교량 설계빈도, 설계유속, 흙의 초기 세굴속도와 같은 4가지 매개변수만이 요구된다. 5-SRICOS 방법은 SRICOS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된 55개의 세굴깊이에 적용하여 검증되었다.

A Parametric Study on Ice Scouring Mechanism for Determination of Pipeline Burial Depths

  • Park, Kyung-Sik;Lee, Jong-Ho
    • Journal of Ship and Ocean 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29-40
    • /
    • 2004
  • Interaction of grounded ice ridges with underlying seabed is one of the major considerations in the design of Arctic pipeline system. Previously several ice scour models were developed by researchers to describe the ice scour-seabed interaction mechanism. In this paper, a parametric study on ice scouring mechanism is performed and the limitation of ice scour-seabed interaction models is discussed. Simple laboratory tests are carried out and then the shape pattern of deposited soil around the ice is redefined. New ice scour model assumes trapezoidal cross section based on the field observation data. Ice scour depth and soil resistance forces on seabed are calculated with varying the keel angle of a model ice ridge.

세굴을 고려한 얕은 기초 교량의 동적거동 분석 및 지진 취약도 해석 (Dynamic Behavior and Seismic Fragility Analysis of Shallow Foundation Bridge Considering Scour)

  • 김나연;송종걸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79-89
    • /
    • 2016
  • If scour is occurred at shallow foundation of bridge, seismic performance of the bridge will be reduced. In order to evaluate accurate seismic response of bridge according to scour depths, modeling of foundation reflecting scour effect is important. In this study, taking into account the effect of the reduction in embedment depth of the shallow foundation by scouring, the soil around the foundation is modelled as an equivalent soil spring with various stiffness. Seismic fragility analyses for 3 types of bridges subjected to 4 types of ground motions classified into Site Class A, B, C, D are evaluated according to several scour depths. From the fragility analysis results, it can be observed that the deeper the scour depth, the higher probability of exceeding damage states. Also, seismic failure probability of asymmetric bridge is higher than that of symmetric bridge.

구형수로에서 연직 제방 및 교대 부근의 하상 세굴 (Scour Erosion Around Vertical Embankments and Abutments in a Rectangular Channel)

  • 박승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1-50
    • /
    • 1986
  • This paper attempts to qualitatively characterize scour erosion processes near USGS constriction type-I structures with vertical embankments and abutments. The scour dimensions and rates of sand beds around the structure models were measured in a rectangular flume.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scour took place at a rapid rate at initial stages, which were followed by a stage of slow and general scour with greater extends. The maximum scour depth was observed near upstream corner of embankments. Empirical relationships for scour dimensions were derived, that were based on the results from a dimensional analysis of scour processes.

  • PDF

인공신경망모형과 군집분석을 이용한 교각 세굴심 예측 (Prediction of Scour Depth Using Incorporation of Cluster Analysis into Artificial Neural Networks)

  • 이창환;안재현;이주헌;김태웅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2B호
    • /
    • pp.111-120
    • /
    • 2009
  • 교각주위의 국부세굴은 교량붕괴의 주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세굴심을 산정하는 방법에는 경험식에 의한 방법과 수치모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이 있다. 하지만 경험식에 의한 방법은 공식이 적용될 수 있는 유사한 상황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가능하며, 수치모형을 이용한 방법은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세굴심 예측을 위한 CSU 공식, 다중회귀분석, 다양한 인공신경망 모형의 유용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세굴심을 산정하는데 있어 넓은 범위의 오차를 발생시키는 인공신경망 모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공신경망 모형에 군집분석을 결합하여 오차를 감소시키고자 하였다. 세굴심 예측을 위해 CSU 공식, 다중회귀분석, 다양한 인공신경망 모형을 적용해 본 결과 역전파알고리즘을 이용하는 인공신경망 모형이 가장 높은 정확성을 보였으며, 인공신경망 모형에 군집분석을 적용한 세굴심 예측에서는 군집수가 3일 때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군집분석을 적용한 인공신경망 모형의 정확도는 다른 모형과 비교할 때 최고 42.73%가 향상된 결과를 보여 인공신경망 모형내의 군집분석의 적용이 인공신경망의 오차를 줄이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빙쇄굴 모델에 의한 극지 해저 파이프라인의 매설깊이 산정 (Estimation of burial depth for arctic offshore pipelines by an ice scour model)

  • 윤기영;최경식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0
    • /
    • 1997
  • The interaction of ground ice features with underlying seabed is one of the major considerations in the design of Arctic pipeline system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offshore gas field near Sakhalin Island, which is an ice-infested area, in this paper an ice scour model to determine the burial depth of Arctic offshore pipeline is studied. Using a simplified ice-seabed interaction process, ice scour depth is easily estimated. This nonlinear numerical model can simulate the scouring process for various enviromental parameters such as ice mass, incoming velocity, soil strength. This study also deals with interaction forces during the scouring process in sloping seabed conditions and discusses the ice loads that are transmitted through the seabed soi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