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opimera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실험실에서 사육된 발콩게 (Scopimera longidactyla (달랑게과) 의 유생발생 (Complete Larval Development of a Sand Bubbler Crab, Scopimera longidactyla (Brachyura, Ocypodidae), Reared in the Laboratory)

  • 장인권;김창현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5권2호
    • /
    • pp.121-137
    • /
    • 1989
  • 실험실에서 사육한 발콩게의 유생기를 자세히 기술, 도시하였다. 본 종은 5 zoea와 1megalopa 유생기를 가지며, 수온 25$^{\circ}C$에서 megalopa와 제1기 crab은 부화후 각각 21일과 31일 만에 나타났다. 엽낭게속의 유생은 갑각에 대한 이마가시 길이의 상대비에 의하여 콩게아과의 타 속과 달랑게아과의 타 아과의 유생들로부터 구별될 수 있다. 발콩게의 유생은 엽낭게의 유생과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하나 유생의 크기와 부속지의 강모식의 차이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 PDF

실험실에서 사육된 눈콩게 Scopimera bitympana(달랑게과)의 유생발생 (The Complete Larval Development of a Sand Bubbler Crab, Scopim era bitympana Shen(Brachyura, Ocypodidae),Reared in the Laboratory)

  • 장인권;김창현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00-216
    • /
    • 1990
  • 실험실에서 사육된 눈콩게의 전 유생발생단계를 기술, 도시하였다. 눈콩게는 5 zoea(가끔 6 zoea)와 1 megalopa유생기를 가졌다. 수온 $25^{\circ}C$에서, megalopa와 제1기 carb 부화후 각각 24일과 38일만에 나타났으나 extra zoea유생기를 갖는 경우에는 31일과 48일만에 나타났다. 눈콩게의 zoea유생 거치상의 갑각가시와 배측에 하나, 복측에 두 개의 작은 가시가 있는 미절에 의하여 엽낭계속의 타종과 구분되며, megalopa 유생은 갑각의 특징에 의하여 구분될 수 있다. 그 밖의 미세한 형태적 특징들이 앞서 보고된 엽낭개속의 유생들과 비교되어 차이점이 간단히 논의되었다.

  • PDF

고군산군도의 해산 십각류 (Marine Decapods of Gogunsan Islands)

  • 노현수;김원
    • 환경생물
    • /
    • 제22권3호
    • /
    • pp.456-463
    • /
    • 2004
  • 2003년 8월 3일부터 8월 5일까지 전라북도 군산시에 속한 고군산군도의 5개 섬을 대상으로 조간대 및 조하대와 어선의 그물에서 채집된 십각류를 관찰한 결과 새우류 2과 4종, 집게류 4과 9종, 게류 11과 29종으로 모두 17과 42종이 동정, 분류 되었다. 이 가운데 새우류 2종, Athanas sp., Alpheus sp.는 한국미기록종이었으며, 이들을 포함하여 10과 20종-새우류 1과 2종, 집게류 3과 6종, 게류 6과 12종-이 고군산군도 해역에서 처음 보고 되는 종들이었다. 따라서 과거 이 지역에서 보고 된 19과 52종에 10과 20종을 추가하여 총 72종이 보고 된다. 조사된 십각류 중에서 게류가 11과 29종으로 가장 다양했으며, 생물량은 새우류에서 줄새우아재비 [Palaemon(Palaemon) serrifer], 게류에서 칠게 (Macrophthalmus japonicus)와 엽낭게 (Scopimera globosa), 집게류에서 가시투성 어리게 (Hapalogaster dentata)가 가장 많았다.

조력발전소 가동 후 시화갯벌의 대형저서동물군집 변화 (Changes in the Macrobenthic Community in Sihwa Tidal Flat After Operation of the Tidal Power Plant)

  • 김민규;구본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8권4호
    • /
    • pp.315-324
    • /
    • 2016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changes in the macrobenthic community in Sihwa tidal flat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of a Tidal Power Plant (TPP). In order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at eighteen stations in 4 transect lines every September from 2011 to 2015. Mean density of macrobenthos decreased to $116ind./m^2$ in 2015 from $1,602ind./m^2$ in 2011. While the mean density of macrobenthos has decreased, species richness and biomass have gradually increased. The species diversity and SEP (Shannon-wiener Evenness Proportion) have also gradually increased over time since the operation of the TPP. The macrobenthic community in Sihwa tidal flat was divided into 4 groups on a yearly base. Before the operation of TPP, opportunistic species such as Neanthes succina and Polydora cornuta largely contributed to the structure of the macrobenthic community, while equilibrium species such as Periserrula leucophryna and Scopimera globosa contributed after the operation. With the operation of TPP, the macrobenthic community has rapidly recovered and this might be related to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water and sedimentary environments as a result of an increase in water mass volume exchanged through the TPP gate.

한국서해 도서 연안의 게류 분포상 (Fauna of the Crabs on the Coasts of the Western Islands of Korea)

  • 김훈수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17
    • /
    • 1962
  • The author colelcted crabs (Tribe Brachyura ) on the coasts of fourteen western islands of South Korea (Paenyong Do, Taechong Do, Sochong Do, Taeyonpyong Do, Kanghwa Do, Yongjong Do, Chagyak Do, Tokchok To. Moktok To. Pukkyoknyolbi Do. Ong Do, ANmyon Do, Pigum Do, and Taehuksan Do) mainly in summers during a period ranging from 1955 to 1962. Of these Islands, Paeknyong , Taehong, Taeyonpyong, Ong, Anmyon, Pigum and Taehuksan Do are the localities where the crabs were investigated firstly by the present author. The collections made by the author consist of 1779 specimens of crabs involving 9 families. 25 genera, 33 species and 5 subspecies (Table2). 23 species of crabs had been reported hitherto from Tokchok To and 7 from Kanghwa Do. In present paper the author adds 1 species to the fauna of crabs of Tokchok To and 7 to that of Kanghwa Do. In present paper the author adds 1 species to the fauna of crabs of Tokchok To and 7 to that of Kanghwa D. Among 38 species or subspecies of crabs collected, Oregonia gracilis, Cancer amphioetus and Chaesmagnathus convexus are new to the fauna of the west coast of Korea. 57 species of crabs are therefore identified in this area. The author collected Pinnotheres cardii on Taechong Do and Scopimera bitympana on Pigum Do. It became, therefore, clear that these two kinds of crabs occur much wider areas than known hitherto in Korea. The nothern limit of the distribution of Ocypoda stinpsoni and Sesarma haematocheir is Kyungki Bay as known already, that of Helice tridens is ,however, more northern part than Kyungki Bay, since they were collected on Paeknyong Do.

  • PDF

Macrobenthic Communities on the Tidal Flats around Yongjong and Yongyu Islands, Inchon, Korea

  • Hong, Jae-Sang;Yoo, Jae-Won;Jung, Rae-Hong;Seo, In-Soo;Koh, Byoung-S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4권4호
    • /
    • pp.220-230
    • /
    • 1999
  • Four tidal flats, covering two dissipative type beaches and two other tidal mud flats, around Yonaiong-Yongyu Islands, Inchon, Korea were studied in May 1991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benthic communities on macrotidal flats. From the statistical test on spatial patterns of species number, density, and biomass, significant trends were found in species number and biomass. Although quantitative analysis was not performed, the interpretation showed that the variations were ruled out by environmental gradients such as sediment grain size and tidal elevation. The eight communities reveal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Moerella-Mactra(Group 1), llyoplax-Glycera -Magelona japonica-Magelona sp.-Pe riserrula ( Group 2), Amphiura-Nephtys californiensis-Bullacta-Eohaustorius (Group 3), Leonnates-Heteromastus-Pretankyra-Nephtys polybranchia (Group4), Nephtys chemulpoensis-Macrophthalmus (Group 5), Ceratonereis-Scopimera (Group 6), Haustorioides-Urothoe (Group 7) and Cycladicama-Armandia-Minuspio community (Group 8). Some of these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substratum-specific (Group 1 to 3) and tidal elevation-specific communities (Group 4).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the predominant governing agent in Groups 5,6,7 and 8 because of their presence at extreme types of sediment and at uppermost elevations. Mixed effects seemed to act upon the latter four communities (Group 5 to 8). Based on the number of samples, 60% of the target samples were influenced by substratum properties, 20% by tidal elevation effect and 20% by mixed effect of the two factors. From this, it was concluded that substratum properties serv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on soft bottom inhabitants in the area studied.

  • PDF

신두리 해안의 조하대와 모래 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분포 (Distribution of Benthic Macrofauna in subtidal area and on sand flat of Sindu-ri coast, Korea)

  • 구본주;신상호;우한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9-88
    • /
    • 2005
  • 신두리 해안의 조하대와 갯벌에서 2002년 7월 대형저서동물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 해역에서는 총 134종, 3,511개체, 388g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다. 조하대 10개 정점에서는 109종, 1,298개체/$m^2$, $69.4g/m^2$의 저서동물이 출현하였으며, 이 가운데 갯지렁이류가 54종, 813개체/$m^2$의 분포를 보이며 출현 종수 (49.5%)와 서식밀도 (62.7%)에서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이었다. 집괴분석 결과 신두리 해역에는 퇴적물 특성에 따라 네 개의 저서동물군집이 형성되어 있었다. 펄과 자갈이 혼재하는 양식장 주변 해역에는 Cirrophorus armatus와 Lumbrineris longifolia로 대표되는 군집, 암반기질로 된 해역에는 Aonides oxycephala 군집, 모래 함량이 높으며 최저조선에 인접한 곳에는 Scoloplos armiger와 Grandifoxus cuspis 군집, 그리고 역시 모래 함량이 높으며 외해쪽으로 인접한 해역에는 뚜렷하게 우점하는 종 없이 균등도지수가 높은 군집이 형성되어 있었다. 양식장 주변 해역의 저서동물 군집은 출현 종수, 서식밀도, 종다양도지수가 높았으나 오염지시종들이 우점하고 있었다. 모래 퇴적물 해역에는 S. armiger와 G. cuspis 등이 우점하는 일반적 모래 조하대 군집 특성을 보였다. 갯벌 두 조사선에 설정한 8개 정점에서는 50종, 2,443개체/$m^2$, $381.3g/m^2$의 저서동물이 출현하였으며, 연체동물이 출현 종수, 서식밀도, 생체량에서 각각 20종, 1,345개체/$m^2$, $350.4g/m^2$를 차지하며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이었다. Umbonium thomasi, Veneridae sp., Mandibulophoxus mai, Armandia lanceolata, Eohaustorius spinigerus, Urothoe convexa 등이 신두리 갯벌의 우점종이었으며, 전체 개체수의 83% 이상을 이들 종이 차지하였다. 갯벌의 저서동물 분포는 노출시간 정도에 따라 구분되는 특성을 보였다. 즉, 상부에서 하부로, 노출시간이 감소하면서 Scopimera globosa, M. mai, E. spinigerus 군집이 뚜렷한 대상분포를 하였다. 양식장이 위치한 남서해역을 제외한 신두리 해안은 자연성을 가진 건강한 서식지였으며, 특히 천연기념물인 신두리 사구와 연결되는 갯벌과 주변 조하대 해역에는 인위적인 구조물이 거의 없으며 외부로부터의 오염원도 없어 향후 보전을 위한 가치가 충분히 있는 서식지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