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lerotium rolfsii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31초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팔레놉시스 흰비단병 (Sclerotium blight of Phalaenopsis Orchids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in Korea)

  • 한경숙;이성찬;한유경;김수;박종한
    • 식물병연구
    • /
    • 제17권3호
    • /
    • pp.402-404
    • /
    • 2011
  • 2009년 9월 경기도 동두천시와 화성시 소재 농가에서 팔레놉시스 재배중 생육이 부진하고 하엽이 황화되며 심한 경우 뿌리와 기부가 마르고 식물체 전체가 말라죽는 증상이 발생하였다. 말라죽은 기부와 수태표면에 흰색 곰팡이 균사와 함께 둥근 형태의 적갈색 균핵이 관찰되었다. 균학적 특징으로 균사는 $25-30^{\circ}C$에서 가장 활발한 생장을 보였으며, 균핵은 갈색의 둥근형태로 직경은 1-3 mm 였다. 병원성 검정결과 병징이 접종 후 5일째 관찰되었으며 그 후 급속하게 진전되어 강한 병원력을 보였다. 팔레놉시스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증상은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흰비단병으로 동정되어 본 병을 팔레놉시스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동부 흰비단병 (Sclerotium Rot of Cowpea (Vigna sinensis King)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강동완;한인영;최용조;이상대;손대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1-63
    • /
    • 2016
  • 2015년 9월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시험연구 포장에서 재배 중인 동부에 흰비단병 증상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동부의 줄기 지제부위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되어 서서히 시들면서 포기 전체가 말라 죽었다. 줄기의 병반부와 토양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발생하며 갈색의 둥글고 작은 균핵이 많이 형성되었다. 감자한천배지에서 균총은 흰색으로 잘 자라며 배양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갈색의 둥글고 작은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핵의 크기는 1~3 mm이며 균사의 폭은 $4{\sim}9{\mu}m$였다. 균사생육과 균핵형성 적온은 $30^{\circ}C$이었다. 담자균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동부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DNA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동부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해바라기 흰비단병 발생 (Occurrence of Stem Rot of Sunflower (Helianthus annuus)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323-325
    • /
    • 2010
  • 2009년 9월 경상남도농업기술원 해바라기 재배포장에서 흰비단병이 발생되었다. 병징은 줄기 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되면서 병반부와 토양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모양으로 생기고 갈색의 작은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핵의 크기는 1~3 mm이며 균사의 폭은 $4{\sim}8\;{\mu}m$이었다. 균사생육과 균핵형성의 적정온도는 $30^{\circ}C$이었다. 균사 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해바라기에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해바라기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자운영 흰비단병의 발생 (Occurrence of Stem Rot of Astragalus sinicus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in Korea)

  • 권진혁;이흥수;김태성;송원두;조현숙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98-200
    • /
    • 2009
  • From 2008 to 2009, the stem rot of Astragalus sinicus L.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occurred sporadically in Gyeongnam area, Korea. The typical symptom is water-soaking, rotting and wilting on the stem. The infected plants were eventually died. White mycelial mats were spread over lesions, and then sclerotia were formed on stems and near soil line. The sclerotia were globoid in shape, white to brown in color, 1-3 mm in size and the hyphal width was 3-9 μm. The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and sclerotial formation on PDA was 30oC. The typical clamp connections were observed in the hyphae of the fungus grown on PDA. On the basis of my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ity to host plants, this fungus was identified as Sclerotium rolfsii Saccardo.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stem rot of A. sinicus caused by S. rolfsii in Korea.

Occurrence of Stem Rot of Disporum smilacinum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in Korea

  • Kwon, Jin-Hyeuk;Jee, Hyeong-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3권3호
    • /
    • pp.212-214
    • /
    • 2007
  • In 2005 and 2007, a basal stem rot of Disporum smilacinum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occurred sporadically in a herb farm at Hamyang, Korea. The symptom initiated with water-soaking lesion and progressed into stem rot and wilt of a whole plant. Severely infected plants were blighted and died eventually. White mycelial mats appeared on the lesion at early stage and a number of sclerotia were formed on the stem near the soil line. The sclerotia were globoid in shape, 1-3 mm in size and white to brown in color. The optimum temperature for the growth and sclerotia formation was 30 on PDA and the hyphal width was measured $3-8{\mu}m$. The typical clamp connections were observed in the hyphae of the fungus grown on PDA. On the basis of symptom, my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ity to the host plant, this fungus was identified as Sclerotium rolfsii Saccardo.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stem rot of D. smilacinum caused by S. rolfsii in Korea.

Occurrence of Fruit Rot of Melon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in Korea

  • Kwon, Jin-Hyeuk;Chi, Tran Thi Phuong;Park, Chang-Seuk
    • Mycobiology
    • /
    • 제37권2호
    • /
    • pp.158-159
    • /
    • 2009
  • In 2007 to 2008, a fruit rot of Melon (Cucumis melo L.)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occurred sporadically in a farmer's vinyl house in Jinju City. The symptoms started with watersoaking lesion and progressed into the rotting of the surface of fruit. White mycelial mats appeared on the lesion at the surface of the fruit and a number of sclerotia formed on the fruit near the soil line. The sclerotia were globoid in shape, 1${\sim}$3 mm in size, and white to brown in color. The hyphal width was measured 3 to 8 ${\mn}$. The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and sclerotia formation was 30 on PDA. Typical clamp connections were observed in hyphae of grown for 4 days on PDA. On the basis of symptoms, my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ity to the host plant, this fungus was identified as Sclerotium rolfsii Saccardo.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fruit rot of Melon caused by S. rolfsii in Korea.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미나리 흰비단병 발생 (Occurrence of the Collar Rot of Water Cress (Oenanthe javanicav)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강수웅;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2-74
    • /
    • 2001
  • 2000년 9월 상순경 경상남도 의령군 가례면 밭 미나리 재배포장에서 미나리 흰비단병(Sclerotium rolfsii)이 대발생하였다. 이 병의 병징은 미나리 줄기 절단부가 갈색으로 변하고 물러져 썩으며 그 위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처럼 밀생하고, 병발부위에 작은 갈색의 둥근 균핵을 형성하며 지제부 부근의 토양 표면에도 형성되었다. 균사의 폭은 $4.1{\sim}10.3{\mu}m$이고, 균사 생육적온은 $30^{\circ}C$에서 90.0 mm로 가장 잘 자랐으며 $5^{\circ}C$$45^{\circ}C$에서는 자라지 않았다. PDA 배지상에는 $20^{\circ}C$에서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총의 색깔은 흰색이며 clamp connection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균핵의 모양은 구형이며 크기는 $1.0{\sim}6.3{\times}10{\sim}5.2mm$ (평균 $2.4{\sim}2.2mm$)이었다. 이 병원균을 Sclerotium rolfsii로 동정하였고, 미나리 흰비단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 PDF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꽃향유 흰비단병 발생 (Occurrence of Stem Rot of Elsholtzia splendens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4권2호
    • /
    • pp.131-133
    • /
    • 2008
  • 2006과 2007년 2년간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약초 전시포장에 재배중인 꽃향유에서 S. rolfsii에 의한 흰비단병이 발생되었다. 병징은 줄기와 지제부위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하면서 암갈색으로 시들어 말라 죽는다. 병반부와 지제부위의 토양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처럼 생기고 감자한천 배지에서 갈색의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으며 크기는 $1{\sim}3mm$였다. 균사의 폭은 $4{\sim}9{\mu}$이며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였으며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꽃향유에서 발생한 병징과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 Saccardo에 의한 꽃향유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고구마 흰비단병 (Stem Rot of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in Korea)

  • 김주희;김신철;정성수;최규환;김두연;심홍식;이왕휴
    • 식물병연구
    • /
    • 제19권2호
    • /
    • pp.118-120
    • /
    • 2013
  •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전북 익산지역의 고구마 육묘장에서 봄에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고구마 흰비단병이 발생하였다. 초기증상은 황화되어 시들고 감염된 조직 주변과 지제부에 흰색의 균사체가 형성되었다. 육묘시기에는 병에 매우 약하여 감염되면 고사된다. 병원균은 배지 위에서 흰색균사가 빠르게 자라고 7일 후 균핵을 형성하였다. 균핵은 처음에 흰색에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갈색으로 변하였다. 따라서 고구마에서 발생한 병징,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과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S. rolfsii Saccardo에 의한 고구마 흰비단병으로 동정하였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윤판나물 흰비단병 (Stem Rot of Disporum sessile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in Korea)

  • 권진혁;심창기;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3권1호
    • /
    • pp.50-52
    • /
    • 2007
  • 2004과 2005년 2년간 경남농업기술원 함양 약초 전시포장에 재배중인 윤판나물에서 S. rolfsii에 의한 흰비단병이 발생되었다. 병징은 줄기와 지제부위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하면서 암갈색으로 되고 시들어 말라 죽는다. 병반부와 지제부위의 토양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처럼 생기고 감자한천 배지에서 갈색의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으며 크기는 1$\sim$3mm였다. 균사의 폭은 $3{\sim}10{\mu}m$이며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였으며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윤판나물에서 발생한 병징과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 Saccardo에 의한 윤판나물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