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rpus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27초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 저항성 새섬매자기에 대한 신규 제초제 Pyrimisulfan+Mefenacet SC의 약제방제 효과 (Herbicidal Activity of New Rice Herbicide Pyrimisulfan+Mefenacet SC against Sulfonlurea-Resistant Sea Club Rush (Scirpus planiculmis))

  • 박민식;박용석;김성민;이정득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92-198
    • /
    • 2011
  • 서해안 간척지대를 중심으로 최근에는 경기, 충청 지역까지도 문제가 되고 있는 다년생의 난방제 잡초인 SU계 제초제 저항성 새섬매자기에 대하여 pyrimisulfan+mefenacet SC, triafamone+tefuryltrione GR와 HPPD 저해제인 tefuryltrione GR를 SU계 제초제인 pyriminobac-methyl+pyrazosulfuron-ethyl GR와 대조약제로 하여 온실과 포장에서 확인하였다. 생육기의 새섬매자기에 대해서 온실 및 포장조건에서 pyrimisulfan+mefenacet SC와 triafamone+tefuryltrione GR은 SU계 제초제 저항성 새섬매자기에 대해 95%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여주었다. 두 약제에 의해 새섬매자기는 생육이 억제되어 갈변, 괴사하였다. Tefuryltrione GR는 생육 초기에는 새섬매자기에 대해서 80% 내외의 약효와 백화 증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재생 및 후발아하는 새섬매자기에 대해서는 방제효과가 68%로 떨어졌다. 경기 김포, 평택, 충남 당진, 서산, 전남 해남 지역 등의 새섬매자기 다발생 지역에서도 pyrimisulfan+mefenacet SC는 발생 초기의 새섬매자기는 물론 생육기의 새섬매자기에 대해서도 우수한 방제효과를 보였다.

주요(主要) 논잡초(雜草) 올챙이고랭이와 사마귀풀 생태(生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Emergence and Ecology of the Scirpus hotarui and Aneilema japonica on Paddy - Field)

  • 김소연;송석길;김봉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09-113
    • /
    • 1985
  • 1.잡초(雜草)의 발생심도(發生深度)는 2개초종(個草種) 다같이 지표면(地表面)에서 발생(發生)이 많았으나 올챙이고랭이는 3cm깊이에서도 다소(多少) 발생(發生)하였고 그이상 깊이에서는 발생(發生)되지 않았으마 사마귀풀은 주로 표면(表面)에서 발생(發生)이 많았다. 2. 잡초(雜草)의 생육(生育)이 왕성(旺盛)한 시기(時期)가 8월(月)18일(日) 이전이였고 그 이후(以後)에는 생육량(生育量)이 적었으며 3. 일장(日長)의 영향(影響)은 올챙이고랭이 및 사마귀풀 공히 단일처리(短日處理)하므로써 초장(草長)이 작고 분지수(分枝數)도 적었다. 개화기(開花期)는 단일처리(短日處理)하에서 빨라지는 영향(影響)을 나타냈다. 4. 사마귀풀은 재생력(再生力)이 1회절제(回切除)하므로써 재생(再生)되지 않았으며 올챙이고랭이는 분얼성기(分蘖盛期) 절제(切除)가 가장 재생력(再生力)이 높았다. 5. 올챙이고랭이 월동주(越冬株) 자체(自體)는 고사(枯死)가 없이 100% 재생(再生)이 가능하였고 근경부착수(根莖附着數)가 많을수록 발생(發生)이 잘되었다. 6. 잡초(雜草)와 수도수량(水稻收量)과의 관계(關係)를 보면 각 초종(草種) 공(供)히 잡초수(雜草數)가 많을수록 수량(收量)이 낮았으며 그 원인(原因)은 수수(穗數)의 감소(減少)가 수량(收量)에 미친 영향(影響)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팔당호 연안대 초지생태계에서 낙엽 구성성분의 유실률 Ⅶ.카드뮴과 납 (The Removal Rates of the Constituents of Litters in the Littoral Grassland Ecosystems in the Lake Paldangho Ⅶ.Cadmium and Lead)

  • 최선영;이인숙;장남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05-313
    • /
    • 199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moval rates of Cd and Pb of the litters in the Phragmites communis. Miscanthus sacchariflorus, Typha angustata, Scirpus tabernaemontani grassland aquatic ecosystem in the lake Paldangho. The annual production of Cd and Pb were 0.005g /$m^2$ , 0.21g /$m^2$in P. commumis, 0.004g /$m^2$, O.08g /$m^2$ in M. sacchariflorus, 0.023g /$m^2$, 0.42g /$m^2$ in T. angustata and 0.020g /$m^2$, 0.23g /$m^2$ in S. tabernaemontani respectively. The removal rates of Cd and Pb of the litters were 0.83, 0.85 in P. communis. 0.36, 0.54 in M. sacchariflorus, 0.61, 0.51 in T. angustata and 0.76, 0.71 in S. tabernaemontani, respectively. The times required to decay 50, 95, 99 percent of the steady state level and turnover values of cadmium on the grassland floor were 0.83, 3,60, 6.00 years in P. communis. 1.90, 8.24, 13.74 years in M.sacchariflorus, 1.15, 4.96, 8.27 years in T. angustata and 0.91, 3.95, 6.58 years in S. tabernaemontani The times required to decay 50, 95, 99 percent of the steady state level and turnover values of lead on the grassland floor were 0.81, 3.51, 5.86 years in P. communis. 1.28, 5.56, 9.26 years in M. sacchariflorus, 1.37, 5.94, 9.90 years in T. angustata and 0.97, 4.21, 7.02 years in S. tabernaemontani. Key words: Removal rate, Accumulation, Paldangho, Cadmium, Lead, Phragmites communis Miseanthus sacchariflorus, Typha angustata, Scirpus tabernaemontani.

  • PDF

우포늪 연안대에서 매자기의 화력학과 개체군 변화 (Phenology and Population Dynamics of Scirpus fluviatilis (Torr.) A. Gray in the Littoral Zone of the Upo Wetland)

  • 서혜란;박상용;오경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9-59
    • /
    • 2009
  • 수생 정수식물인 매자기(Scirpus fluviatilis (Torr.) A. Gray)의 화력학과 개체군 변화를 규명하여 연안대식생의 복원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경남 창녕군 우포늪에서 2006년 3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매자기의 계절에 따른 생장 특성 및 부위별 생물량을 조사하고 화분 재배 실험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매자기는 우포늪의 우포, 목포, 사지포, 쪽지벌, 토평천 상.하류 등에 고루 분포하는데, 특히 목포의 밀도가 높았다. 매자기의 생육이 왕성한 시기 중 5월 28일 조사에서 매자기의 분포 수심은 9~49cm 범위였는데, shoot 밀도는 수심 26~49cm에서 높았고, $m^2$당 shoot 밀도는 평균 119이며, 초장은 평균 122.3cm이었다. 지하부의 괴경 밀도는 104.5개/$0.25m^2$으로 생존 괴경은 84.2%이고 사망 괴경은 15.8%였다. 생존 괴경의 평균 생중량은 3.0g인데, 1~4g의 괴경이 57.9%로 가장 많았다. 생존 괴경 중 이미 발아한 괴경은 43.8%였으며, 새싹이 1개(29.0%)인 것이 가장 많았고, 7~9g 및 10g 이상의 괴경에서 발아율이 높았다. 재배 실험에서는 8월초에 shoot 밀도가 발아괴경과 휴면 괴경에서 각각 13.5 및 8.7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현지 조사에서는 매자기의 shoot 밀도가 태풍 피해 이전에는 대체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다가 태풍 '에위니아(Ewiniar)'로 인한 침수 후 모두 고사하였고 11월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초장은 재배 실험에서 100~116cm 및 현지 조사에서 60~170cm까지 생장하였다. 생육기 말에 화분에서 재배한 매자기의 생물량 분배 비율은 발아 괴경을 식재한 화분에서 줄기 8.9%, 잎 6.6%, 화서 0%, 지하부 84.5% 등이고, 휴면 괴경을 식재한 화분에서는 줄기 7.1%, 잎 7.1%, 화서 0%, 지하부 85.8% 등으로서 모두 지하부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생육기 말에 화분 속의 괴경 수가 1.4~4.1배 증가한 것으로 보아 매자기는 영양생식으로 주로 번식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새섬매자기(Scirpus planiculmis)의 출아특성(出芽特性)과 제초제(除草劑) 스크리닝을 위한 구경(球莖)의 보관방법(保管方法) (Studies on the Sprouting Characteristics of Scirpus planiculmis and Storage Methods of Corm for the Herbicide Screening)

  • 황인택;최정섭;김성은;홍경식;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52-257
    • /
    • 1994
  • 새섬매자기 방제(防除)실험에 사용할 구경(球莖)의 보관방법(保管方法) 및 출아(出芽) 특성(特性)에 대한 조사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새섬매자기 구경표면(球莖表面)의 수분(水分)을 제거(除去)하여 $5^{\circ}C$ 냉장고(冷藏庫)에 보관(保管)하면 연중(年中) 균일(均一)한 상태(狀態)로 구경(球莖)을 보관(保管)할 수 있다. 2. 보관중(保管中)에 출아(出芽)된 구경(球莖)의 유모신장(幼苗伸長)을 억제(抑制)하는데는 NaCl 0.5-1.0% 용액(溶液)이 효과적(效果的)이었다. 3. 새섬매자기 구경(球莖)은 건조(乾燥) 및 냉동(冷凍)에 민감(敏感)한 반응(反應)을 나타내기 때문에 수분감소율(水分減少率)이 15% 이상(以上)이 되면 사용하기 어렵고, 냉동사고(冷凍事故) 발생시(發生時) 구경(球莖)의 사용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4. 새섬매자기 구경(球莖)의 출아(出芽)에는 항온(恒溫)보다는 변온(變溫)이 효과적(效果的)이었으며, 적합(適合)한 출아온도(出芽溫度)는 $25-35^{\circ}C$에서의 변온조건(變溫條件)이 이상적(理想的)이라 생각되었다. 5. 새섬매자기 구경(球莖)의 출아시(出芽時) NaCl에 대한 내성(耐性)이 동진벼나 논피보다 강하였다. 6. 구경(球莖)을 분할(分割)하였을 경우 출아(出芽)하지 못하는 분할(分割) 구경(球莖)이 발생(發生)하므로 분할(分割) 구경(球莖)을 실험에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았다.

  • PDF

한국 서산 간척지 논에서 Sulfonylurea계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새섬매자기 발생 (Identification of Sulfonylurea-Resistant Biotype of Scirpus planiculmis in Reclaimed Paddy Fields, Korea)

  • 박태선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32-337
    • /
    • 2004
  • Sulfonylurea계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새성매자기가 한국의 서산 간척지 논에서 발생한 것이 확인되었다. 제초제 저항성 새섬매자기가 발생한 논은 담수직파 양식으로 벼를 재배하여 왔으며, 1990년부터 13년 동안 연속적으로 sulfonylurea계 혼합 제초제를 사용하고 있다. 온실 조건에서 서산과 무안에서 채취한 새섬 매자기 구경을 이식 후 10일에 azimsulfuron, bensulfuron-methyl, cinosulfuron, ethoxysulfuron, imazosulfuron 그리고 pyrazosulfuron-ethyl을 처리하였을 때 무안의 새섬매자기는 각 제초제 추천량에서 방제가 되었으나 서산의 새섬매자기는 추천량의 5배량에서도 20-40% 생존되었다. 생체중 50%를 억제하는 각 제초제의 농도 $(GR_{50})$는 두 지역에서 채취한 새섬매자기 간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서산의 매자기에 대한 6 종류의 $GR_{50}$은 무안의 새섬매자기 대한 $GR_{50}$ 값 보다 $47\sim100$배 높게 나타났다. 또한 무안과 서산의 새섬매자기에서 추출한 acetolactate synthase(ALS)에 대한 pyrazosulfuron-ethyl의 50% 억제 농도$(I_{50})$각각 0.8 nM과 409 nM로 나타나, 서산의 새섬매자기가 무안의 새섬매자기 보다 511배 높은 저항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주 오송제, 오공제, 신용제, 어두제 소류지의 관속식물상과 훼손실태 (Vascular Plants and Deterioration Status of Osongjae, Ogongjae, Shinyongjae and Eodujae Reservoir in Jeonju)

  • 변무섭;오현경;김재병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4-35
    • /
    • 2006
  • The vascular plants of the studied area was listed 384 taxa of 90 families, 234 genera, 331 species, 1 subspecies, 45 varieties and 7 forms. The flora of each reservoir, 285 taxa of 83 families, 190 genera, 247 species, 1 subspecies, 30 varieties, 7 forms in Osongjae, 117 taxa of 39 families, 87 genera, 100 species, 17 varieties in Ogongjae, 83 taxa of 30 families, 67 genera, 73 species, 8 varieties, 2 forms in Shinyongjae and 86 taxa of 33families, 70 genera, 75 species, 1 subspecies, 10 varieties in Eodujae. Based on the list of the rare plants by the Forest Research Institute, 3 taxa were recorded in the studied areas; Magnolia kobus (Preservation priority order : No. 187), Penthorum chinense (No. 144), Prunus yedoensis (No. 110) and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4 taxa were recorded; Populus tomentiglandulosa, Clematis trichotoma, Prunus yedoensis, Paulownia coreana.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15 taxa; Prunus yedoensis in class V, 2 taxa (Carex idzuroei, Magnolia kobus) in class IV, 2 taxa (Monochoria korsakowi, Poncirus trifoliata ) in class III, 10 taxa (Sagittaria aginashi, Salix glandulosa, Clematis brachyura, Nymphoides peltata, etc.) in class I. The naturalized plants in this site were 13 families, 29 genera, 43 species, 1 varieties, 44 taxa and naturalization rate was 11.5% and based on the list of an ecosystem disturbance plants, 3 taxa were recorded in the studied areas : Paspalum distichum, Solanum carolinense,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The hydrophytes was listed 31 taxa of 15 families, 20 genera, 29 species, 2 varieties and Eleocharis mamillata var. cyclocarpa, Penthorum chinense, Soirodela polyrhiza were recorded in Osongjae, Sagittaria aginashi, Eleocharis kuroguwai, Scirpus juncoides, Scirpus triqueter, Monochoria korsakowi, Monochoria vaginalis var. plantaginea were recorded in Ogongjae. Besides, Scirpus fluviatilis, Trapa pseudoincisa were recorded in Shinyongjae and Scirpus triangulatus, Nymphoides peltata, Myriophyllum verticillatum were recorded in Eodujae. This site is located in the urban area and ecosystem-disturbing wild animal and plant has been imported here, therefore ecosystem has been disturbed more and more. The wetland here rapidly has changed into upland, so it needs conservation measures through long-term monitoring.

올챙고랭이(Scirpus juncoides Roxb.) 종실(種實)의 휴면타파조건(休眠打破條件)에 관한 연구(硏究) (Dormancy - breaking Conditions of Bulrush(Scirpus juncoides Roxb.))

  • 허상만;구자옥;손보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2-109
    • /
    • 1986
  • 올챙고랭이 종실(種實)의 저장입지(貯藏立地), 저장온도(貯藏溫度)에 따른 휴면실성(休眠實醒) 차이(差異)와 함께 임실경과정도(稔實經過程度)가 다른 종실(種實)의 저장조건(貯藏條件) 및 발아치상조건간(發芽置床條件間)의 휴면소거(休眠消去)에 대한 상호작용성(相互作用性)을 파악(把握)하고 기존의 휴면각성제(休眠覺醒劑)에 의한 휴면각성효과(休眠覺醒效果)를 탐색(探索)할 목적으로 일련(一連)의 시험(試驗)을 통해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자연입지(自然立地)에서도 2-60%의 휴면소거효과(休眠消去效果)의 변이(變異)가 있었고 그 중에서도 논 2cm깊이의 매몰처리(埋沒處理)에서 휴면소거효과(休眠消去效果)가 가장 컸으며 발아치상(發芽置床)은 pot보다 Petridish의 노저상태하(瀘紙狀態下)에서 효과적(效果的)이었다. 2. 저장온도(貯藏溫度)는 $15^{\circ}C$보다는 $5^{\circ}C$의 저온(低溫)에서 휴면각성효과(休眠覺醒效果)가 가장 컸고, $25^{\circ}C$에서는 거의 소거효과(消去效果)가 기대(期待)되지 않았다. 3. 저장기간(貯藏期間)에 따른 휴면각성(休眠覺醒) 정도(程度)의 차이(差異)는 크지 않았으나 저장치상후(貯藏置床後) 10~60일 사이에서 효과(效果)가 높았다. 4. 발아종자(發芽種子)의 평균발아소요일수(平均發芽所要日數)은 발아율(發芽率)과 역상관(逆相關)을 나타내는 경향으로서 발아율(發芽率)은 휴면성(休眠性) 깊이에 따라 속도(速度)가 증감(增感)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5. 완숙(完熟) 및 중숙종실(中熟種實)보다 미숙종실(未熟種實)의 휴면각성(休眠覺醒)이 용역(容易)하였다. 6. 휴면각성제(休眠覺醒劑) 처리효과(處理效果)는 농도(濃度)가 높을수록 향상(向上)되는 경향이었고 발아치상(發芽置床) 조건(條件)에 따라 논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 처리효과(處理效果)가 특히 높았다. 7. 휴면각성제(休眠覺醒劑)의 효과(效果)는 흑색(黑色)이나 갈색종자(褐色種子)보다 녹색종자(綠色種子)에서 유의적(有意的)으로 컷고, 흑색(黑色) 및 갈색종자(褐色種子)에 대한 약제처리효과(藥劑處理效果)는 논 조건(條件)의 발아치상(發芽置床)에서만 가능(可能)하였다.

  • PDF

상승된 온도 조건에서 물달개비(Monochoria vaginalis)와 올챙이고랭이(Scirpus juncoides)의 출아 및 초기생장 예측 (Prediction of Seedling Emergence and Early Growth of Monochoria vaginalis and Scirpus juncoides under Elevated Temperature)

  • 박민원;김진원;임수현;이인용;김도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3-110
    • /
    • 2010
  • 일년생 잡초인 물달개비 및 올챙이고랭이의 출아와 초기생장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 구축을 위하여 온도조건을 달리한 식물생장상에서 포트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들 잡초의 출아 및 초기생장과 유효적산온도와의 관계를 비선형회귀로 분석한 결과 온도조건에 상관없이 각각 Gompertz 모델 및 logistic 모델로 설명이 잘 되었다. 물달개비 및 올챙이고랭이의 최대 출아율의 50%에 필요한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69.3 및 $94.8^{\circ}C$이었으며, 4엽기에 이르는데 필요한 유효 적산온도는 각각 247 및 $234^{\circ}C$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델로 분석한 결과 평균 기온이 $3^{\circ}C$ 상승하게 되면 이들 잡초의 50% 출아는 물달개비의 경우 1일, 올챙이고랭이의 경우는 2일 빨라지고, 4엽기에 다 다르는 날짜는 이들 잡초 모두 3일이 빨라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온도상승조건에서 물달개비 및 올챙이고랭이를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처리시기보다 약 2-3일 빨라져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낙동강 하구 새섬매자기 초기밀도, 생체량과 괴경량의 관계 (Relationship of Initial Density, Biomass and Tuber Productivity of Scirpus planiculmi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 이용민;여운상;성기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17
    • /
    • 2013
  • 낙동강 하구에 우점하는 새섬매자기는 낙동강하구를 찾아오는 조류의 중요한 먹이원으로 알려져 있으며 1년을 주기로 성장과 생산, 분해 과정을 반복하면서 낙동강 하구의 물질순환과 먹이사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하구생물이나 조류의 주요 먹이원인 새섬매자기 생체량이나 괴경생산량을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면 낙동강 하구관리에 매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의 교란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보다 빠르고 측정이 용이한 새섬매자기의 초기발생 밀도와 생체량을 이용하여 조류의 먹이인 괴경 생산량을 예측할 수 있는 회귀식을 구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각 항목간의 상관계수가 0.6103~0.9950로서 조사시기가 다른 새섬매자기의 밀도, 생체량, 괴경 생산량에 있어 선형 관계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01). 또한 각 항목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나타난 선형회귀식은 0.3696~0.7145의 높은 결정계수를 가짐으로써, 얻어진 추정 회귀식을 이용하여 생체량 또는 괴경생산량을 효과적으로 예측 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새섬매자기 군락의 교란이나 훼손을 최소화하며 가능한 빠른 시기에 새섬매자기의 생체량이나 괴경생산량을 예측하여 낙동강 하구를 찾아오는 철새들의 먹이원의 관리 등 하구생태계의 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