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 name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33초

Evaluating Pharmacological Effects of Two Major Components of Shuangdan Oral Liquid: Role of Danshensu and Paeonol in Diabetic Nephropathy Rat

  • Chen, Ying;Liu, Zhuying;Zhou, Fuxing;Zhao, Hang;Yang, Qian;Li, Hua;Sun, Jiyuan;Wang, Siwa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4권5호
    • /
    • pp.536-542
    • /
    • 2016
  • Shuangdan oral liquid (SDO) containing radix Salviae miltiorrhizae (Chinese name Danshen) and cortex moutan (Chinese name Mudanpi) is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using for treating vascular diseases. Danshensu (DSS) is a main effective monomer composition derived from radix Salviae miltiorrhizae and paeonol (Pae) from cortex moutan. Although the two herbs are widely used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he pharmacological functions of their active compositions were not reported. Therefore, the research of DSS and Pae in mechanisms and pharmacodynamics interaction can provide scientific evidence to support clinical application. The diabetic nephropathy (DN) rats which were induced by streptozotocin (STZ) were treated with SDO, DSS, Pae, and DSS+Pae for eight weeks. The positive effects on DN animal models were investigated by detection of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indexes and oxidative stress markers, within five treatments: SDO, DSS, Pae, DSS+Pae and insulin group. Compared with the model group, the DSS+Pae group improved the renal function, blood lipid metabolism and blood viscosity, increased the vitality of T-SOD or T-AOC and decreased the level of MDA or NO after the treatment. The study was successfully showed that the DSS+Pae group could delay the process of DN, especially in the renal injury part of histopathology change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co-administration of DSS and Pae significantly may play a protective role in DN rats through decreasing the oxidative stress and improving the blood lipid metabolism mechanisms.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의 인문학, 사회과학, 예술체육 분야 저자키워드의 의미적 관계 유형 최적화 연구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Semantic Relation of Author Keywords in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Art and Sport of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 고영만;송민선;이승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45-6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KCI의 인문, 사회, 예술체육 분야 저자키워드를 기반으로 구축한 구조적 학술용어사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STNet에 실제 입력된 용어들의 의미적 관계들을 분석하여 관계 유형을 최적화하고 관계명을 세분화하는 방안을 기술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관계 유형과 관계명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빈도수에 의한 관계명 신설 또는 관계의 유형화 제한, 관계의 방향성 고려, 기존 관계명 반영의 4가지 논리적 기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STNet의 "실존인물" 클래스를 테스트베드로 삼아 이 기준을 적용해 관계 유형을 최적화하고 관계명을 세분화한 결과 원래 RT, RT_X, RT_Y로 연결된 1,743건의 관계 중 1,135건이 세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약 65%의 RT 관계가 구체화된 것으로 사전 구축 및 검색 단계에서의 유용성 측면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연등심붓꽃과 등심붓꽃의 분류학적 재검토 (First report of a newly naturalized Sisyrinchium micranthum and a taxonomic revision of Sisyrinchium rosulatum in Korea)

  • 신혜우;김명준;이남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95-300
    • /
    • 2016
  • 제주도 서귀포시 일대에서 미기록 귀화식물 연등심붓꽃 (Sisyrinchium micranthum Cav.)이 발견되었다. 이 종은 중남미가 원산이며 여러 나라에서 침입종으로 보고된 바 있다. 연등심붓꽃은 국내에 먼저 보고된 귀화식물인 등심붓꽃의 자매종이며 두 종 모두 Echthronema 아속에 속한다. 연등심붓꽃은 화관의 밑부분이 긴 항아리 모양, 열매와 씨가 큰 점에 의해 등심붓꽃과 구별된다. 꽃이 연보라색이어서 국명을 연등심붓 꽃이라고 신칭하였다. 등심붓꽃의 이전 학명인 S. angustifolium Mill.은 Sisyrinchium 아속에 속하는 종이며 형태적으로 등심붓꽃 (S. rosulatum)과 매우 상이하다. 등심붓꽃의 학명을 기준표본, 원기재문, 최근의 논문들을 근거로 S. angustifolium Mill. 에서 S. rosulatum E. P. Bicknell 으로 변경한다.

족도리풀속의 1신종 : 연변족도리풀(Asarum yeonbyeonense M. Kim & S. So) (A New Species of Asarum: A. yeonbyeonense M. Kim & S. So)

  • 소순구;황용;이정희;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55-261
    • /
    • 2010
  • 백두산 주변에서 족도리풀속의 1신종인 연변족도리풀(Asarum yeonbyeonense M. Kim & S. So)을 새로이 발견하여 기재하였다. 연변족도리풀은 엽병에 털이 있고 꽃받침 열편이 뒤로 젖혀져 서울족도리풀이나 만주족도리풀과 매우 유사하나, 꽃받침 열편이 두꺼우며 기부에 자색띠가 있어 뚜렷이 구별된다. 황록족도리풀 (A. sieboldii var. viridiluteolum Y. Lee)은 연변족도리풀과 아주 유사하나, 꽃받침 열편이 녹색이고 엽병에 털이 없어 학명은 A. yeonbyeonense var. viridiluteolum (Y. Lee) M. Kim & S. So로, 한글명은 녹연변족도리풀로 변경하였다.

제주도 민속식물인 선인장(Opuntia ficus-indica (L.) Mill.)의 분류학적 검토 후 명명 (A Taxonomic Review and Nomenclature of the Opuntia ficus-indica (L). Mill. in Jeju Island)

  • 양영수;최병기;오홍식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68-73
    • /
    • 2020
  •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 분포하는 선인장에 대하여 형태학적 특성 비교를 통하여 종을 분류하고 오동정을 바로잡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결과 제주도에 자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온 Opuntia ficus-indica 또는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은 Opuntia stricta인 것으로 밝혀졌다. 종의 형태학적 비교에서 O. stricta는 기존 보고 종에 비해 식물크기, 엽상경의 형태, 꽃과 열매의 색, 자좌의 특징 등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분류군의 학명을 Opuntia stricta로 정정하고, 국명으로 '해안선인장'을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나아가 다양한 연구문헌 및 국가 생물다양성 운영기관에서도 종의 오동정를 확인하고 이를 수정하는 작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좀목포사초, 한국에서 발견된 1신종 (Carex brevispicula (Cyperaceae), a new species from Korea)

  • 남기흠;장현도;이병윤;정규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95-402
    • /
    • 2020
  • 사초과의 좀목포사초(Carex brevispicula G. H. Nam & G. Y. Chung)가 한국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좀목포사초는 수과의 중앙부가 함몰되는 점에서 큰청사초(C. chungii Z. P. Wang) 및 목포사초(C. genkaiensis Ohwi)와 유사하다. 그러나 좀목포사초는 식물체, 웅화서와 자화서가 소형이고, 자인편이 연녹색인 특징으로 큰청사초와 구분되며, 자인편과 웅인편에 까락이 있다는 점에서 목포사초와 차이를 보인다. 새로운 국명은 목포사초보다 작다는 의미로 좀목포사초로 하였고, 주요형질에 대한 기재, 도해, 사진, 분포정보 및 근연분류군과의 차이점을 검색표로 제시하였다.

A taxonomic revision of the Boehmeria spicata complex (Urticaceae) in Korea

  • JO, Hyeong Jun;KIM, Jae Young;LEE, Yuri;PARK, Se Hee;KWON, Min Ji;JEONG, Seon;CHUNG, Gyu Youn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15-132
    • /
    • 2021
  • Seven species and two varieties belonging to the genus Boehmeria Jacq. (Urticaceae) are known to be distributed in Korea. Among them, B. spicata, B. tricuspis, and B. tricuspis var. unicuspis were subjected to an external morphological study. Among the individuals believed to exhibit variations in the leaf shape, B. gracilis and B. silvestrii were newly recognized. Unlike related taxa, B. gracilis has middle leaves with an elliptic, broadly elliptic, ovate, or broadly depressed ovate shape, a regular and serrulate-dentate margin, and an unlobed and short caudate or cuspidate apex. Boehmeria silvestrii has middle leaves with 5-angled ovate, orbicular ovate or broadly ovate shapes, and 3- or 5-lobed and caudate apices. Therefore, we assigned the corresponding names 'Top-geo-buk-kko-ri' and 'Cham-geo-buk-kko-ri'. Meanwhile, the B. spicata complex (B. gracilis, B. silvestrii, B. spicata, and B. tricuspis var. unicuspis) is very closely related in terms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whereas B. tricuspis exhibits no relationship. Furthermore, because the scientific name and type specimen of B. tricuspis var. unicuspis (Pul-geo-buk-kko-ri) are problematic, the correct name B. paraspicata Nakai and corresponding holotype are presented. Additionally, lectotypes of B. gracilis and B. silvestrii are newly designated here. A taxonomic treatment, descriptions, a key, photographs, type specimens, and leaf variation images of the B. spicata complex are provided in this study.

Unrecorded species of Korean invertebrates discovered through the project of 'Discovery of Korean Indigenous Species' III

  • Su-Jung Ji;Jongwoo Jung;Sa Heung Kim;Dong-Ha Ahn;Min-Seop Kim;Jeounghee Lee;Hee-Min Yang;Geon Hyuk Lee;Eunjung Nam;Taeseo Park;Anna B. Jost;Huyen T. M. Pham;Jina Park;Joohee Park;Seoyoung Keum;Ivana Karanovic;Tomislav Karanovic;Joong-Ki Park;Chuleui Jung;Gi-Sik Mi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2권4호
    • /
    • pp.341-354
    • /
    • 2023
  • This is the third series of catalogs reporting on Korean species discovered through the 'Discovery of Korean Indigenous Species'. This catalog includes 22 species of invertebrates, excluding insects. The catalog includes the scientific name, an abridged list of synonyms, collection sites, distribution, diagnosis, and figures for each species. Additionally, we provide the newly assigned Korean name, specimen voucher, and, if available, mitochondrial CO1 or 16S gene sequences of the species listed. All species identified and documented here will be officially listed on the 'National Species List of Korea', a database maintain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NIBR).

한국산 애기부들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Taxonomic examination of Typha angustifolia L. in Korea)

  • 김창균;신현철;최홍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59-37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애기부들(Typha Augustifolia L.)에 대한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조사하여 정확한 실체를 파악하고, 명명상의 혼란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애기부들에 대한 학명으로 분류학적 한계의 규명없이 T. angustifolia L. 와 T. angustata Bory et Chaubard가 사용되어 왔다. Typha angustifolia와 T. angustata는 자화의 길이와 소포엽의 길이 비, 소포엽의 길이와 털의 길이 비에 의해 구분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형질은 한 개체에서도 여러 가지 형태적 변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단변량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애기부들은 자화와 소포엽의 길이 비 ($1.15{\pm}0.18$)와 소포엽과 털의 길이 비 ($1.00{\pm}0.06$)에서 연속적인 변이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형질로는 Typha angustifolia와 T. angustata를 구분할 수 없다. 따라서 T. angustata를 T. angustifolia의 이명으로 처리하였다. 한편, 주성분 분석결과에서 우리나라의 애기부들과 일본, 러시아, 미국등에 분포하는 T. angustifolia와 동일그룹을 형성한다. 따라서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애기부들에 대하여 적합한 학명으로는 T. angustifolia가 사용되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더위지기 및 근연분류군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sion of the Artemisia sacrorum group)

  • 박명순;남보미;정규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75-186
    • /
    • 2016
  • 더위지기 및 근연분류군은 분류학적 위치 및 학명에 대하여 많은 이견이 있어왔다. 이에 본 연구는더위지기 및 근연분류군인 털산쑥, 흰산쑥의 외부형태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정확한 학명을 부여하고 분류학적 위치를 재검토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원기재와 기준표본을 비교 및 분석한 결과, 털산쑥(A. freyniana f. discolor)과 흰산쑥(A. freyniana f. vestita)은 잎에서 털의 분포 양상, 지리적 분포, 체세포염색체 수 및 화분의 자상돌기 기부의 연결 유무 등의 특징에 의해 A. sacrorum var. sacrorum와 A. sacrorum var. incana으로 각각 이명 처리하였으며, A. gmelinii의 학명으로 잘못 사용되어온 더위지기(A. iwayomogi)의 학명은 A. sacrorum그룹과의 형태학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신조합명인 A. sacrorum var. iwayomogi (Kitam.) M. S. Park & G. Y. Chung으로 처리하였다. 또한, 이들의 기재, 도해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