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 Chemistry Terms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1초

학습경험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제시하는 고등학교 화학교과 내의 어려운 개념과 문지방개념 분석연구 (Analysis and Identification of Students' Threshold Concepts in High School Chemistry)

  • 박은정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126-129
    • /
    • 2014
  • 본 연구는 과학학습의 어려움이나 낮은 흥미도의 한 원인으로 과학 교과학습에서의 중요한 통로 혹은 입구에 해당하는 문지방개념의 존재를 가정하고 특히 화학의 어떠한 개념들이 여기에 해당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각 개념의 속성이 무엇이며 개념을 이해하고 "아~하"의 깨달음을 얻는 경험은 어떠했는지도 함께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화학 II를 학습한 239명의 고등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설문에 대한 응답으로 화학 교과의 어려운 개념이 무엇인지, 문지방에 해당하는 개념이 무엇인지, 혹은 문지방개념을 이해한 경험이 화학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설명하였다. 몰과 원자구조가 화학 교과의 문지방개념으로 제시되었고 구체적으로는 제시된 두 개념이 문지방개념이 되는 속성이 무엇인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문지방을 극복하고 이해하는 것은 각자의 경험에 따르지만, 문지방개념을 분석하는 기준은 각각의 경험에 일정한 준거를 제시하여 서로 다른 경험들을 객관화 시킬뿐 아니라 개념의 과학적 의미와 본성을 잘 드러내어 준다. 특히, 교사가 제시하는 화학의 문지방개념을 조사한 사전연구와의 비교는 문지방개념의 통합적 속성이 학생들의 학습과 과학흥미도 증진에 중요함을 보여준다.

불일치 사례의 맥락이 인지 갈등 전략을 이용한 개념 변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the Context of Discrepant Events on the Conceptual Change Process Using Cognitive Conflict Strategy)

  • 최숙영;강석진;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45-452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불일치 사례의 맥락이 인지 갈등 전략을 이용한 개념 변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 갈등, 상황 흥미, 주의집중, 노력, 개념 이해도 등의 인지적․정의적 변인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중학교 1학년 536명을 대상으로 선개념 검사를 실시했다. 이후 불일치 사례에 대한 반응 검사와 상황 흥미 검사를 실시했다. 과학적 맥락이나 일상적 맥락의 불일치 사례는 학생들에게 무작위로 제시되었다. 밀도 개념 학습 후, 주의집중과 노력, 개념 이해도 검사를 실시했다. 목표 오개념을 지닌 194명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과학적 맥락의 불일치 사례가 일상적 맥락의 불일치 사례보다 더 높은 인지 갈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불일치 사례의 맥락은 상황 흥미, 주의집중, 노력, 개념 이해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경로 분석 결과, 불일치 사례의 맥락은 인지갈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인지 갈등을 매개로 개념 이해도에는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Introduction of a novel swabbing material of a wiper and establishment of an optimal method for the collection of organic explosive residues

  • Sung, Tae-myung;Lee, Jong Hyup;Cho, Ju-ik
    • 분석과학
    • /
    • 제30권6호
    • /
    • pp.319-328
    • /
    • 2017
  • The identification of explosive residues on specimens obtained from an explosion event is a crucial factor for assessing the cause of the explosion. In order to detect the components of explosives, the explosive residues deposited on surfaces are commonly extracted using swabbing materials pre-wetted with an organic solvent. The residues are then analyzed with analytical instruments such as LC/MS and CE/MS. Most conventionally used swabbing media such as cotton swabs or cotton tip swabs seem unsuitable for extracting explosive residues from the surface of a large area of clothes because the swabbing materials tend to be damaged easily, and because only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explosives is collect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we have introduced a novel wiper ($215{\times}210mm$, single layer, Yuhan-Kimberly, Republic of Korea) as a swabbing material to recover representative organic explosives, namely, TNT, RDX, tetryl, HMX, PETN, and NG, from a large area of clothes. Different sides of the wiper, which was folded in half five times, was used to swab the surface of a clothing. We compared this novel wiper with a cotton swab and a cotton tip swab in terms of the recovery efficiency for the aforementioned organic explosives by pre-wetting with methanol, acetone, and acetonitrile, respectively. We identified that this novel wiper collected a significantly higher amount of organic explosive residues than a cotton swab or a cotton tip swab when using methanol as an extracting solvent.

Korean University Students' Philosophical Stances of Understanding Atomic Structure in terms of the Lakatosian View

  • Seung, Eul-Sun;Bryan, Lynn A.;Nam, Jeong-Hee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78-688
    • /
    • 2005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orean university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of the atom based on a Lakatosian view. In this study, we examined twenty-three Korean university students' understandings of atomic structure using an open-ended questionnaire. The participants were all junior students majoring in chemistry education in Korea.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understanding were categorized into three philosophical stance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ssertions were constructed concerning students' written descriptions of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knowledge with respect to atomic structure: (a) characteristics of positivist response; (b)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al response; (c) characteristics of Lakatosian response; and (d) tendencies in students' responses.

고등학교 환경과학 교과서의 질문과 문장 내용 분석 (Analysis of Question and Sentence in High Environmental Science Textbook)

  • 이봉헌;문성배;문정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13-218
    • /
    • 1997
  • The question style In high school enoronmental science textbook was examined in terms of the placement, frequency, and type of question, and then analyzed the kind of scientific Inquiry process elicited by the question In the topic of textbook using the Tektbook guestioning Strategy Assessment Instrument (TQSAI). The average number of question per topic was only 0.6. The number of all Question In the high school enororunental science textbook was very little : the number of non-experiential Question was 8 and that of experiential one was 3. The total number of sentence was 1,236 and the ratio of the number of Question to that of sentence was 0.9% . The frequency of non-experlential question was higher than that of experiential one. In action part of the textbook, there were more kinds of Question styles than In the matin part.

  • PDF

협상에 기반한 동료평가 및 자기평가 활동이 과학 영재 고등학생들의 모델링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Negotiation-Based Peer and Self-Assessment Activities on Science-Gifted Students' Modeling)

  • 조은비;정도준;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5권6호
    • /
    • pp.455-467
    • /
    • 2021
  • 이 연구는 협상에 기반한 동료평가 및 자기평가 활동이 과학 영재 학생들의 모델링에 미치는 영향 및 이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의 과학 계열 특수 목적 고등학교 2학년 학생 92명을 대상으로 과학 계열 전문 교과인 고급 화학 학습 내용 중 4가지 주제에 대해 과학 글쓰기 및 협상에 기반한 동료평가 및 자기평가 활동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이 구성한 모델링은 과학 개념 구조화, 논리성, 다중표상, 의사소통 측면에서 분석되었으며, 협상에 기반한 평가 활동이 진행됨에 따라 과학 글쓰기에 나타나는 모델링 수준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평가 활동의 결과를 타당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평가 활동의 결과를 다음 글쓰기에 참고함으로써 자신의 학습을 개선할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기체분자운동론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 및 개념유형 (Conceptions and Conceptual Types of High School Students about Molecular Kinetic Theory of Gases)

  • 조인영;박현주;최병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699-706
    • /
    • 1999
  • 기체분자운동론에 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 및 개념유형에 대하여 반구조화된 심층면담과 오디오${\cdot}$비디오 기록을 분석하여 고찰하였다. 학생들은 학교학습 이전에 이미 다양한 개념들을 가지며, 개념망의 조직화와 정교화수준에 따라 세 가지 개념유형 즉, 피상적 용어사용, 부분적 의미형성, 인과적 의미형성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개념유형은 학생들이 과학에 대해 이해하고 사고하는 방식, 개인 개념의 안정성, 학교 지식과 일상적인 지식의 분리 경향, 그리고 맥락에 따른 의미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이것은 학생들의 과학적 지식의 본성에 대한 이해 부족과 학습에 대한 주체의식 및 능동적인 참여의 제한으로 인한 결과로 해석된다. 이는 과학적 의미형성을 위해서 학생의 사고의 가치가 인정되고, 적극적인 토론과 합의의 기회가 주어져야함을 시사한다.

  • PDF

과학영재성, 성별, 과목 선호도에 따른 과학학습에 대한 개념의 차이 (Differences in Conception of Science Learning in Accordance with the Science-giftedness, Gender and Subject Preference)

  • 박지연;전동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91-504
    • /
    • 2011
  •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학습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기 위해 COLS와 ALS 설문지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과학영재 학생은 일반 학생과 과학학습에 대한 개념에 차이를 보이는데, 과학영재 학생은 과학학습을 과학 지식을 얻고, 과학 지식 구조를 확장해 나가고, 세상을 보는 새로운 관점을 얻는 활동이라고 인식한다. 과학영재 학생은 성별과 과목 선호도에 따라 과학학습에 대한 인식 및 접근방법에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과학영재 수업을 위한 교재와 교수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Processing of Nano-Sized Metal Alloy Dispersed $Al_2O_3$ Nanocomposites

  • Oh, Sung-Tag;Seok Namkung;Lee, Jai-Sung;Kim, Hyoung-Seop;Tohru Sekino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57-162
    • /
    • 2001
  • An optimum route to fabricate the ferrous alloy dispersed $Al_2O_3$ nanocomposites such as $Al_2O_3$/Fe-Ni and $Al_2O_3$/Fe-Co with sound microstructure and desired properties was investigated. The composites were fabricated by the sintering of powder mixtures of $Al_2O_3$ and nano-sized ferrous alloy, in which the alloy was prepared by solution-chemistry routes using metal nitrates powders and a subsequent hydorgen reduction process. Microstructural observation of reduced powder mixture revealed that the Fe-Ni or Fe-Co alloy particles of about 20 nm in size homogeneously surrounded $Al_2O_3$, forming nanocomposite powder. The sintered $Al_2O_3$/Fe-Ni composite showed the formation of Fe$Al_2O_4$ phase, while the reaction phases were not observed in $Al_2O_3$/Fe-Co composite. Hot-pressed $Al_2O_3$/Fe-Ni composite showed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nd magnetic response. The properties are discussed in terms of microstruc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distribution and size of alloy particles.

  • PDF

Water/nutrient use efficiency and effect of fertigation: a review

  • Woojin Kim;Yejin Lee;Taek-Keun Oh;Jwakyung Su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4호
    • /
    • pp.919-926
    • /
    • 2022
  • Fertigation, which has been introduced in agricultural fields since 1990, has been widely practiced in upland fields as well as in plastic film houses as part of the crop produc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demands in the agricultural sector, a huge number of scientific studies on fertigation have been conducted worldwide. Moreover, with a combination of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big-data, machine learning, etc., fertigation is positioned as an indispensable tool to achieve sustainable crop production and to enhance nutrient and water use efficiency. In this review, we focused on providing valuable information in terms of crop production and nutrient/water use efficiency. A variety of fertigation studies have described that enhancement of crop production did not differ relative to conventional method or slightly increased. In contrast, fertigation significantly improved nutrient/water use efficiency, with a reduction in use ranging from 20 to 50%. Water-soluble organic resources such as livestock manure and agricultural byproducts also have been identified as useful resources like chemical fertilizers. Furthermore, the initial irrigation point was generally recommended in a range of -10 - -40 kPa, although the point differed according to the crop and crop growth stage. From this review, we suggest that fertigation, which is closely integrated with advanced technology, could be a leading technology to attain not only food security but also carbon neutrality via improvement of nutrient/water use effici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