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DMZ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34초

FGI와 SWOT분석을 이용한 DMZ일원 접경지역의 주민소득 증대방안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을 중심으로- (An Idea on Increasing Income of Residents in DMZ Area Using FGI and SWOT Analysis -Focused on Haean-myeon in Yanggu-gun of Gangwon Province-)

  • 최상현;이재환;이상민;최인화;차두송;우종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1호
    • /
    • pp.50-55
    • /
    • 2014
  • DMZ has a lot of natural resources. Also there is very important position as a ecological and geographical. Meanwhile, development schemes and plans were established but that was development to only simple plan such as a tourism and income without communication with local residents. This study was tried to exhibit increasing income of residents in DMZ area using FGI (Focus Group Interview) and SWOT analysis. First of all, analyzed the status of forest resources and carried out a Focus Group Interview targeting residents who live in around DMZ, and then suggest an alternative to increasing income and regional development in Yanggu-gun by SWOT strategies. As a result, realistic plan for achieving regional development is deregulation of the laws related to forest land use conversion for the forest product in DMZ area. Military experts and forest experts have to inspect the area for considering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regulation in protected areas directly. National or local government has to effort pursuing future business for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the communication with residents in DMZ area.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 및 접경지역의 식물상을 기반으로 한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설정방안 연구 (The Study on Identifying Key Biodiversity Areas(KBAs) based on the Flora of Demilitarized Zone(DMZ) and Transboundary in Korea)

  • 김상준;박선주;신현탁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4-24
    • /
    • 2019
  • DMZ 및 접경지역은 지난 60여 년간 인간의 간섭을 받지 않아 세계적으로 우수한 생태계의 보고이며, 백두대간, 도서연안과 함께 한반도 3대 핵심생태축의 하나로서 한반도생태계보전을 위한 가장 중요한 지역이다. 이러한 DMZ 및 접경지역에 대하여 국내적 중요성 인식 제고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으로서의 가치인식을 위해 IUCN에서 제시하는 평가기준을 검토하고 이의 기준을 적용하여 DMZ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국제적 가치정도 판단 및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으로서의 보전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첫째, DMZ 일대를 대상으로 서식하는 자생식물의 분포지역을 파악하여 DMZ 및 접경지역의 식물상은 18과 139속 367종 1아종 44변종 10품종 422분류군으로, 총 138과 613속 1,517종 8아종 217변종 58품종으로 총 1,800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대상지의 동부지역에서 가장 많은 1,482분류군, 중부지역은 1,225분류군, 서부지역은 1,080분류군으로 가장 적은수의 식물이 확인되었다. 둘째, DMZ 및 접경지역을 대상으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방법을 통한 DMZ 및 접경지역의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지정기준을 적용하여 개느삼, 금강초롱, 모데미풀 3종을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후보종으로 선정하였다. 후보종별로 분포예측 결과 전체 면적 $5,270.5km^2$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지정을 제안하였다. 셋째, 지정기준을 통하여 선정된 DMZ 및 접경지역에 서식하는 주요 식물에 대한 국제적 가치를 판단하여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을 적용함으로써 효과적인 관리방안으로 투명하고 체계화된 국제적 기준으로 해당 지역 내의 생물종 다양성을 지속가능하게 보호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향 설정 및 관리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 할 수 있다. 수집된 자료를 통하여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에 적합한 종을 중심으로 보호구역을 지정하고 국내적으로 중요한 지역적 멸종위기종에 대한 적용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여 식물다양성이 중요한 지역의 보호를 위한 우선순위 및 구체적 접근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DMZ 및 접경지역의 지속적인 조사를 통하여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기준 적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충분히 수집하고 국내 환경에 부합하는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기준 적용을 통하여 꾸준히 재평가하여 후속연구의 발판을 마련하여야 한다.

  • PDF

Sentinel-2 위성영상을 이용한 DMZ 산불 피해 면적 관측 기법 연구 (The Study of DMZ Wildfire Damage Area Detection Method Using Sentinel-2 Satellite Images)

  • 이슬기;송종성;이창욱;고보균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5_1호
    • /
    • pp.545-557
    • /
    • 2022
  • 본 연구는 직접적인 접근이 어려운 demilitarized zone (DMZ)의 산불 피해 지역을 파악하기 위하여, 고해상도 위성영상 및 머신러닝 기반의 감독 분류 기법을 이용하였다. 고해상도 위성 영상은 Sentinel-2 A/B를 이용하였으며, SVM 감독분류 기법을 기반으로 토지피복도를 산출하였다. DMZ 산불 피해 지역을 분류하기 위한 최적의 조합을 찾기 위하여 SVM 내에 다양한 커널과 밴드 조합에 따른 감독 분류를 진행하고 오차 행렬을 통해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2020년, 2021년은 위성영상 자료 기반의 산불 탐지 결과와 산불 연보의 피해 지역 면적 간의 비교를 통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이후, 현재 피해 면적 자료가 없는 2022년의 산불 피해 지역을 탐지함으로써 신뢰할 만한 수준의 결과를 신속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ScienceDMZ 기반 초고속 빅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스템과 네트워크 통합 성능 모니터링 환경 개발 (Developing an integrated System and Network performance monitoring environment for High-speed Big data transfer on ScienceDMZ technology)

  • 김동학;문정훈;이상권;박종선;김병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0-113
    • /
    • 2018
  • 본 논문은 최근 데이터 집약형과학분야 연구개발의 비약적인 발전과 관측, 실험, 분석 장비들의 고도화에 따라 생산되는 과학데이터의 빅데이터화, 고부가가치화 등으로 연구 패러다임의 변화가 빅데이터 중심으로 가속되고 있다. 이러한 과학 빅데이터는 ExaByte 급의 대용량으로서 한 곳에서 관리되기보다는 전 세계적으로 분산되어 관리 운영되고 있다. 응용연구자들은 이러한 과학 빅데이터에 대한 초고속 전송/저장/공유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ScienceDMZ 기반의 다양한 고속전송환경이 구축 개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장러기 빅데이터 전송을 위한 ScienceDMZ의 핵심 기술인 DTN(Data Transfer Node)을 통한 빅데이터의 장거리 전송 시 고대역 네트워크 환경과 시스템 성능에 대한 통합 모니터링 환경을 구축 개발하였다.

한강하구에 도래하는 재두루미(Grus vipio) 서식지이용과 토지피복도 상관관계 연구 (Comparison of White-naped Crane Habitat Use Pattern with Land-coverage Map in the Han-River Estuary and DMZ)

  • 김성옥;이상돈
    • 환경영향평가
    • /
    • 제17권4호
    • /
    • pp.255-262
    • /
    • 2008
  • For the Han-river estuary and DMZ where white-naped crane (Grus vipio; endangered migratory bird) stopover or spend winter, the habitat composition and the habitat use pattern of white-naped crane were analyzed with the position data obtained by the satellite tracking method. By the use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he percent composition of seven habitat categories of white naped-crane data points (n=228) was analyzed. The chi-square test showed that the white-naped crane habitat use patter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from that of random points (n=228). It means that white-naped crane select and use particular habitat area in the Han-river estuary and DMZ.

Chemical Constituents of Silene seulensis Nakai from Demilitarized Zone(DMZ)

  • Jung, Yeon Woo;Seo, Chan Gon;Lee, Ji Eun;Hong, Seong Su;Kwon, Jin Gwan;Shin, Hyun Tak;Jung, Su Young;Choi, Jeong Jun;Choi, Chun Whan;Kim, Jin Kyu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2-92
    • /
    • 2018
  • Silene seulensis Nakai was used as traditional medicines in Korea, we collected plant from demilitarized zone (DMZ). S. seulensis was extracted with 30, 50, and 70% ethanol and partitioned successively with n-hexane, EtOAc, dichloromethane and BuOH. These extracts (30, 50 and 70% ethanol) were evaluated the cytotoxicity on B16F10 and Hacat cell lines. The LC-MS/MS data of each fractions (n-hexane, EtOAc, dichloromethane, and BuOH) were compared with MS library, combined with ultraviolet/visual (UV/Vis) and MS data for faster determine structure by database search results. This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four compounds (1-4) from S. seulensis. These compounds was isolated first time from S. seulensis. Their chemical structures are elucidated by combinations of NMR and mass spectrometry techniques.

  • PDF

비무장지대(DMZ) 훼손지 데이터베이스 구축연구 (Study on Database Construction of Demilitarized Zone)

  • 성현찬;서정영;이상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43-150
    • /
    • 2017
  • In this study, we intend to integrate the database(DB) method into one logical structure that is related to damage such as cause and type of damages occurring in the DMZ area. We divided the DMZ members into two types, which are classified into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pects based on the current status survey for three years as a study of database construction, So that the actual data can be utilized in future restoration. The database construction through each restoration direction regarding the type of DMZ corruption is as follows. First, we recognized the necessity of restoration of the damaged area of the DMZ, and approached it as a plan to select the damaged mark. Second, DMZ database reconstruction can be used as a restoration of damages, suggesting more information and restoration type through building an ecological database for education and research. Third, in order to maintain and restore restoration of damaged areas continuously at the national level, it is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guidelines for reasonable internal restoration in the national level as data that can be credited externally and can be acknowledged as the latest data.

Preliminary Survey on Spider Fauna of DMZ Areas in Korea

  • Im, Moon Soon;Lee, Sue Yeon;Kim, Young Jin;Jung, Myung Pyo;Kim, Seung Ta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3호
    • /
    • pp.262-274
    • /
    • 2018
  • Spider fauna of Demilitarized Zone (DMZ) and adjacent areas in Korea was surveyed in 2001-2003, 2013-2015, and 2017. Total of 34 surveyed areas across 10 provinces were divided into four main regions (east coast, mid-east mountain, midland, and west coast areas) in accordance with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topography. Total of 273 species of 145 genera in 32 families were identified from 10,886 collected spiders. In conclusion, the spider fauna in the DMZ is 281 species of 147 genera in 32 families with 162 species of 99 genera in 23 families in the previous reports. This corresponds to about 37.6% of the Korean spiders as of 2015. The species richness among surveyed localities was ranged 45 species to 92 species. The species richness of each taxon is high in Araneidae, Salticidae, Linyphiidae and Theridiidae. Habitat generalists were 22 species and habitat specialists were 69 species. The 143 species were web builders and 130 species were wanderers by the outlined life style. In DMZ spiders, only 7 species, Thymoites ulleungensis, Arcuphantes pennatus, Lycosa coreana, Allagelena koreana, Cybaeus mosanensis and Cybaeus triangulus, Kishidaia coreana, were recognized as Korean endemic. Five species, Scytodes thoracica, T. ulleungensis, Lycosa labialis, Takeoa nishimurai, and Phrynarachne katoi, are rare species with a trend of decreasing density in recent years. Araneus rotundicornis has been discovered for the first time since its first report. This study may be useful in the conservative management and will contribute to knowledge of the distribution and biogeography of DMZ areas in the future.

Science DMZ를 활용한 빅데이터의 효율적 공유 방법 연구 (A Study of Big Data Transmission using Science DMZ)

  • 최원준;김재훈;김순영;김정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3-74
    • /
    • 2017
  • 제4차 산업혁명(클라우드, 빅데이터, Internet of Things, 인공지능 등)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연구가 되면서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다양한 기기(모바일, 클라우드 서버 등)에서 축적되는 데이터의 양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관이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프라를 지원하는 기관에서는 종종 데이터가 빅데이터가 되어갈수록 기관 간의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어려워 직접 방문하여 필요한 정보만 전달 받기도 한다. 초고속 네트워크 시대에 우리는 과학기술정보의 효율적인 공유를 위한 신속한 전송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러한 방법을 Science DMZ 환경에서 문제를 풀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