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teacher teaching practice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7초

초등 교사의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과 수업 내용, 방법, 환경 측면에서의 교수 실제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elementary teachers' beliefs of science learning and their teaching practices in the aspects of teaching contents, methods, and learning environments)

  • 안영돈;임희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3호
    • /
    • pp.555-568
    • /
    • 2014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이 교수 실제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4명을 대상으로 리커트식 설문 조사와 면담을 통하여 교사의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각 교사당 2차시의 수업에 대하여 실제 수업 관찰 및 수업 후 면담을 통하여 수업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에서 전통적 관점을 보인 A교사와 B교사는 교수 실제에서도 교사 중심의 설명식 수업을 진행하였다. 반면에 상대적으로 구성주의적인 신념을 보인 C교사와 D교사는 교수 실제에서 교과서 내용을 재구성하고 다양한 교수 방법과 전략을 활용하는 수업을 진행하였다. 초등 교사의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에는 교사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신념의 차이는 대체적으로 과학 수업의 실제와도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초등 과학수업에서 교사의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의 중요성에 대하여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

생물공학의 사회적 차원들: HGP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Social Dimensions of Bio-technology: Focusing on HGP's Shaping Process)

  • 김동광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권1호
    • /
    • pp.105-122
    • /
    • 2001
  • 이 연구는 교사변화(teacher changes)의 본질과 이 변화가 발생하는 과정을 구명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과학교사가 동일한 내용의 수업을 반복하는 동안에 비교적 미시적인 교수실행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사가 수업상황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지, 교사의 교수실행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 지, 변화의 특징과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해석의 과정이 모두 질적으로 수행되었다. 참여교사는 경력 2년과 7년의 중학교 과학 교사이고, 2~3일간 동일한 내용을 반복하여 가르치는 일상적인 수업을 관찰하고, 녹화하였으며 수업의 전과 후에는 면담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연구자의 관점에서 자료를 분석한 후, 자극회상면담(stimulated-recall interview)을 활용하여 녹화된 수업 자료와 전사된 인터뷰 자료를 보면서 분석된 자료를 참여교사와 확인하였고, 이때 이루어진 대화는 다시 녹음되었다. 그리고 다시 연구자에 의해 자료가 다시 분석되고, 기록된 후 참여교사에 의해 확인되는 과정이 반복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교사들의 교수실행은 크게 시간과 비중, 교수항목, 교수 실행 도구, 교수 실행 순서라고 하는 네 가지 측면에서 변화가 일어났다. 둘째, 동일한 내용의 수업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중 계획하거나 의도하지 않았지만, 계속해서 변화하는 불안정하고 불특정한 교수-학습 상황과 자신의 교수 행위에 대한 평소의 고민이 어우러져, 수업 중 즉각적이고 직관적인 교수 실행의 변화가 발견되었다. 셋째, 이러한 교수실행의 변화 과정에서 교사는 특정한 상황을 스스로 자신의 문제로 만들고, 즉각적으로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탐색적 교수실행(Exploratory Teaching)'과 '검증적 교수실행(Move-testing Teaching)'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교수실행의 변화는 반성적 실천의 한 사례라 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일상적인 수업에서 점진적으로 일어나는 교수 실행의 미시적 변화를 규명하고, 교수 실행의 반성과 실천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또, 교사 전문성 발달을 위한 교육 및 연구에 교사 스스로 무의식적인 변화 과정을 의식화하여 반성적 실천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준다.

  • PDF

인간유전체 연구와 인문사회과학적 접근 : ELSI 연구의 현황과 과제 (Human Genome Research and ELSI Program)

  • 윤정로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권2호
    • /
    • pp.423-438
    • /
    • 2001
  • 이 연구는 교사변화(teacher changes)의 본질과 이 변화가 발생하는 과정을 구명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과학교사가 동일한 내용의 수업을 반복하는 동안에 비교적 미시적인 교수실행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사가 수업상황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지, 교사의 교수실행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 지, 변화의 특징과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해석의 과정이 모두 질적으로 수행되었다. 참여교사는 경력 2년과 7년의 중학교 과학 교사이고, 2~3일간 동일한 내용을 반복하여 가르치는 일상적인 수업을 관찰하고, 녹화하였으며 수업의 전과 후에는 면담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연구자의 관점에서 자료를 분석한 후, 자극회상면담(stimulated-recall interview)을 활용하여 녹화된 수업 자료와 전사된 인터뷰 자료를 보면서 분석된 자료를 참여교사와 확인하였고, 이때 이루어진 대화는 다시 녹음되었다. 그리고 다시 연구자에 의해 자료가 다시 분석되고, 기록된 후 참여교사에 의해 확인되는 과정이 반복되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교사들의 교수실행은 크게 시간과 비중, 교수항목, 교수 실행 도구, 교수 실행 순서라고 하는 네 가지 측면에서 변화가 일어났다. 둘째, 동일한 내용의 수업을 반복하여 실행하는 중 계획하거나 의도하지 않았지만, 계속해서 변화하는 불안정하고 불특정한 교수-학습 상황과 자신의 교수 행위에 대한 평소의 고민이 어우러져, 수업 중 즉각적이고 직관적인 교수 실행의 변화가 발견되었다. 셋째, 이러한 교수실행의 변화 과정에서 교사는 특정한 상황을 스스로 자신의 문제로 만들고, 즉각적으로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탐색적 교수실행(Exploratory Teaching)'과 '검증적 교수실행(Move-testing Teaching)'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교수실행의 변화는 반성적 실천의 한 사례라 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일상적인 수업에서 점진적으로 일어나는 교수 실행의 미시적 변화를 규명하고, 교수 실행의 반성과 실천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또, 교사 전문성 발달을 위한 교육 및 연구에 교사 스스로 무의식적인 변화 과정을 의식화하여 반성적 실천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준다.

  • PDF

초등 예비 교사의 반성적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반성의 유형과 특징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flection in Reflective Journal Writing)

  • 이정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3호
    • /
    • pp.378-388
    • /
    • 2010
  • This study aimed at categorizing preservice teachers' reflections and understanding their characteristics in reflective journal writing after microteaching. Thirty-two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joined in this study. As results, three patterns were categorized: Reflection with practice, Reflection to be practice, Reflection with suspension of judgment. 'Reflection with practice' changed the topology of science class in active. 'Reflection to be practice' had clear focus in reflection and suggested orientations to succeed in the next teaching. 'Reflection with suspension of judgment' made something fall into abeyance, because it couldn't provide an orientation for teaching. After discussing these results, implications towar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were explored.

  • PDF

Articulating Science Teachers' Values and Convictions for Teaching Socioscientific Issues: Based on Essentialist Methodology

  • Lee, Hyun-Ju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53-268
    • /
    • 2008
  • This paper has two major purposes. One is to introduce the essentialist methodology as a way to articulate subjective aspects of human beings (e.g. teachers' personal values and concerns, philosophies, subjective experiences, etc.) at a deeper level. And the other is to present two portraits, as examples, of science teachers who actively address socioscientiifc issues (SSI) out of their own motivations. The primary data source was consecutive in-depth interviews with two science teachers, Jenna and Thomas, and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the "participant as ally" (Witz, 2006). The articulation based on the essentialist methodology shows that teachers' deep-rooted values and convictions often play a significant role as a personal social capital enough to expand their teaching practice (i.e. teaching SSI). Namely, this study confirms that teachers who are motivated out of their own convictions are likely to actively develop their own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and to implement particular topics or teaching strategies.

A Review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Subject Matter Knowledge for Teaching Earth System Concepts

  • Roehrig, Gillian H.;Nam, Youn-Kyeong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94-503
    • /
    • 2011
  • During the last three decades, earth science has been re-conceptualized as an interdisciplinary discipline entitled Earth System Science (ESS), which is based on knowledge of the physical earth system and human impact on the earth. While there is increasing effort to teach earth as a system in K-12 education, teachers' preparedness of to teach earth system is still in its infancy. This article focuses on reviewing the literature of teachers' knowledge of earth systems and of how teachers' knowledge of subject matter affects their teaching practic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First, the study investigated a literature of PCK in general as well as in science teaching. Then this study duscuss what teachers' subject matter knowledge (SMK) is and what it means to be in teaching earth system science. Third, a literature of teachers' knowledge of earth system was reviewed. Finally, a number of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are made as to what teacher education program should do to better prepare future teachers to teach earth systems.

예비화학교사의 학습관이 실습수업에 미친 영향 (The Influence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View of Learning on Their Practice Teaching)

  • 고은정;최병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6호
    • /
    • pp.830-844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화학교사들의 실습 수업을 관찰하여 특징을 분석하고, 실습 수업의 특징이 그들의 학습관과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를 고찰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교육실습 과정 중에 촬영한 예비교사 3인의 실습수업 동영상 9편을 분석하고, 학습관과 관련한 설문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예비화학교사들의 학습관이 실습수업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습관은 대부분 그대로 실습수업의 특징에 반영되는 모습을 보였다. 예비교사 K는 비교적 구성주의적 학습관을 지니고 있었고 실습수업에서도 구성주의적 특징이 많이 나타났으며, M은 다른 예비교사들보다 전통적 학습관을 많이 지녔고, 실습수업에서 전통적인 특징이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몇 가지 외적 요인에 의해 예비화학교사들의 학습관은 제한적으로 반영되기도 하였다. 특히 구성주의적 학습관이 수업에 반영되지 않은 몇 가지 사례가 예비교사들의 실습수업에서 나타났고, 특히 예비교사 H에게서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학습관의 내면화 미흡, 실습학교의 여건, 실습 지도교사의 영향 등이 큰 요인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예비화학교사들이 지닌 학습관은 실습수업의 실행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교육실습을 책임지는 사범대학교와 교육실습학교, 지도교수와 지도교사가 예비교사들을 이해하고 수업을 지원하는 데에 시사점을 준다.

Getting over the Atlas Complex: A College Professor's Reflective Journey Through Journalizing of her own Teaching

  • Liu, Gloria;Jeon, Kyungsoo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6권2호
    • /
    • pp.123-133
    • /
    • 2002
  • The authors examined a college mathematics professor's change process in teaching practice by analyzing the teacher's reflective journal. Her change engaged cooperative learning method in a college Algebra course and was geared toward the reform-oriented methods. The change processes were revealed as a bumpy road that was full of struggles and challenges to both the teacher and students. The analysis also showed that a reflective journey needed a proper means and support system from a teacher's environment such as institution. This research clearly showed that brining a genuine change in teaching practice toward a broad educational goal was a combined effort among the participants of education.

  • PDF

수업에 대한 멘토링이 초임화학교사의 교수실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ntoring on Beginning Chemistry Teacher's Teaching Practice)

  • 박현주;성숙경;정대홍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1055-1076
    • /
    • 2011
  • 이 연구는 같은 내용이 반복되는 수업에서 이루어진 멘토링에 의한 초임화학교사의 교수실행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첫째 주에는 멘토링 없이 수업녹화만 하였고, 둘째 주에는 수업촬영 후, 멘토 교사들과 수업에 관한 멘토링을 진행하였다. 연구에는 경력 1년 미만의 초임화학교사 2명이 참여하였으며 멘토링 과정에는 3명의 화학교사가 참여하였다. 자료로는 수업 녹화본, 면담 자료, 멘토링 내용 등을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멘토링을 진행하지 않았을 때에는 교수 내용과 진행, 설명 방식에서 약간의 변화가 나타났으나 멘토링에 의해서는 교실 환경, 교수 내용 및 진행, 교수학습 방법 및 전략과 설명 방식, 질문기법과 피드백 제공 등에서의 많은 변화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수업 전개 방식이나 학생 이해, 상호작용 등은 쉽게 변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초임 교사의 교수실행에 대한 경험적인 사례 연구로서, 수업에 대한 멘토링을 통하여 초임화학 교사의 수업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초임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멘토링 제도의 필요성을 시사한 다. 특히, 초임 교사의 개별적인 필요를 반영한 개별 맞춤형 멘토링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과학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rough the Student-Teacher Practice)

  • 박철용;민희정;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41-648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과학교사의 교수내용지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두 명의 사범대학 4학년생들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인터뷰, CoRe 질문지, 교육실습기간의 수업관찰기록 등의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은 반복적 비교 분석법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두 예비과학교사의 교수내용지식 수준은 매우 낮았다. 두 예비과학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은 서로 달랐으며, 과학 교수지향은 교육실습 기간 동안의 교수경험 후에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두 예비과학교사의 내용지식은 매우 부족하였으며, 학생 이해에 대한 지식수준도 매우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