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school

검색결과 58,129건 처리시간 0.085초

Interactions between NCR+ILC3s and the Microbiome in the Airways Shape Asthma Severity

  • Jongho Ham;Jihyun Kim;Sungmi Choi;Jaehyun Park;Min-gyung Baek;Young-Chan Kim;Kyoung-Hee Sohn;Sang-Heon Cho;Siyoung Yang;Yong-Soo Bae;Doo Hyun Chung;Sungho Won;Hana Yi;Hye Ryun Kang;Hye Young Kim
    • IMMUNE NETWORK
    • /
    • 제21권4호
    • /
    • pp.25.1-25.16
    • /
    • 2021
  • Asthma is a heterogeneous disease whose development is shaped by a variety of environmental and genetic factors. While several recent studies suggest that microbial dysbiosis in the gut may promote asthma, little is know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ently discovered lung microbiome and asthma. Innate lymphoid cells (ILCs) have also been shown recently to participate in asthma.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ung microbiome, ILCs, and asthma, we recruited 23 healthy controls (HC), 42 patients with non-severe asthma, and 32 patients with severe asthma. Flow cytometry analysis showed severe asthma associated with fewer natural cytotoxicity receptor (NCR)+ILC3s in the lung. Similar changes in other ILC subsets, macrophages, and monocytes were not observed. The asthma patients did not differ from the HC in terms of the alpha and beta-diversity of the lung and gut microbiomes. However, lung function correlated positively with both NCR+ILC3 frequencies and microbial diversity in the lung. Sputum NCR+ILC3 frequencies correlated positively with lung microbiome diversity in the HC, but this relationship was inversed in severe asthma. Together, these data suggest that airway NCR+ILC3s may contribute to a healthy commensal diversity and normal lung function.

Indoleamine 2,3-Dioxygenase in Hematopoietic Stem Cell-Derived Cells Suppresses Rhinovirus-Induced Neutrophilic Airway Inflammation by Regulating Th1- and Th17-Type Responses

  • Ferdaus Mohd Altaf Hossain;Seong Ok Park;Hyo Jin Kim;Jun Cheol Eo;Jin Young Choi;Maryum Tanveer;Erdenebelig Uyangaa;Koanhoi Kim;Seong Kug Eo
    • IMMUNE NETWORK
    • /
    • 제21권4호
    • /
    • pp.26.1-26.28
    • /
    • 2021
  • Asthma exacerbations are a major cause of intractable morbidity, increases in health care costs, and a greater progressive loss of lung function. Asthma exacerbations are most commonly triggered by respiratory viral infections, particularly with human rhinovirus (hRV). Respiratory viral infections are believed to affect the expression of indoleamine 2,3-dioxygenase (IDO), a limiting enzyme in tryptophan catabolism, which is presumed to alter asthmatic airway inflammation. Here, we explored the detailed role of IDO in the progression of asthma exacerbations using a mouse model for asthma exacerbation caused by hRV infection. Our results reveal that IDO is required to prevent neutrophilic inflammation in the course of asthma exacerbation caused by an hRV infection, as corroborated by markedly enhanced Th17- and Th1-type neutrophilia in the airways of IDO-deficient mice. This neutrophilia was closely associated with disrupted expression of tight junctions and enhanced expression of inflammasome-related molecules and mucin-inducing genes. In addition, IDO ablation enhanced allergen-specific Th17- and Th1-biased CD4+ T-cell responses following hRV infection. The role of IDO in attenuating Th17- and Th1-type neutrophilic airway inflammation became more apparent in chronic asthma exacerbations after repeated allergen exposures and hRV infections. Furthermore, IDO enzymatic induction in leukocytes derived from the hematopoietic stem cell (HSC) lineage appeared to play a dominant role in attenuating Th17- and Th1-type neutrophilic inflammation in the airway following hRV infection. Therefore, IDO activity in HSC-derived leukocytes is required to regulate Th17- and Th1-type neutrophilic inflammation in the airway during asthma exacerbations caused by hRV infections.

측면 치환 그래핀/에폭시 나노복합재료의 인장 특성 평가 (Investigation of Tensile Properties in Edge Modified Graphene Oxide(E-GO)/Epoxy Nano Composites)

  • 이동현;조가인;임형미;김만태;권동준
    • Composites Research
    • /
    • 제37권3호
    • /
    • pp.209-214
    • /
    • 2024
  • 그래핀 옥사이드(graphene oxide, GO)는 높은 강성, 열전도도 및 전기전도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나노복합재료의 강화재로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GO와 측면 부분에만 수산화기로 치환된 GO (E-GO)를 에폭시 나노복합재료에 적용하여 기계적 물성을 평가하였다. 초음파 분산법을 통하여 에폭시 수지에 GO/E-GO를 균일하게 분산시켰고, 인장 시험을 통하여 기계적 물성을 평가하였다. 나노입자를 첨가함에 따라 인장강도와 인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노 입자를 첨가하지 않은 에폭시의 인장강도는 74.4 MPa이고, E-GO를 0.3 wt% 첨가되었을 때 90.7 MPa로 가장 높은 인장강도 값을 나타내었다. 모듈러스 또한 2.55 GPa에서 나노입자의 첨가에 따라 3.53 GPa까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계방사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하여 파단면을 관찰하였을 때 균열의 성장이 나노 입자에 의하여 저지되며 파단까지 이어지지 못하고, 여러 방향으로 나뉘는 현상을 보였다. 측면 부분에만 표면처리가 일어난 E-GO에서는 높은 분산도와 표면처리에 의하여 GO보다 높은 기계적 물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고성능 나노복합재료의 개발을 위하여 나노 입자의 표면처리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소수 불균형 데이터의 심층학습을 통한 능동소나 다층처리기의 표적 인식성 개선 (Improving target recognition of active sonar multi-layer processor through deep learning of a small amounts of imbalanced data)

  • 류영우;김정구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25-233
    • /
    • 2024
  • 능동소나는 은밀하게 기동하는 수중 물체를 탐지하기 위해 음파를 송신하여 표적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 신호를 탐지한다. 그러나 능동소나의 수신 신호에는 표적의 반향음 외에도 해저면/해수면의 잔향, 생물 소음 및 기타 잡음 등이 섞여 있어 표적 인식을 어렵게 한다. 기존의 문턱값 이상의 신호를 탐지하는 기법은 설정한 문턱값에 따라 오탐지가 발생하거나 표적을 놓치는 경우가 발생할 뿐 아니라 다양한 수중환경마다 적절한 문턱값을 설정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Constant False Alarm Rate(CFAR) 등의 기법을 이용한 문턱값의 자동산출과 진보된 형태의 추적 필터 및 연계 기법을 적용한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상당수의 탐지가 발생하는 환경에서는 그 한계가 있다. 최근 심층학습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수중 표적 탐지분야에도 이를 적용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으나, 분류기 학습을 위한 능동소나 데이터의 획득이 매우 어려워 데이터가 희소할 뿐 아니라, 극소수의 표적과 상대적 다수의 비표적으로 인한 데이터의 불균형성으로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탐지 신호의 에너지 분포 영상을 이용하되, 데이터의 불균형성을 고려한 방식으로 분류기를 학습하여 표적과 비표적을 구분하는 기법을 기존 소나처리 기법에 추가하여 표적의 오분류를 최소화하면서 비표적을 제거하여 능동소나 운용자의 표적 인식을 용이하게 하였다. 그리고 동해에서 수행한 해상실험에서 획득한 능동소나 데이터를 통해 제안 기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푸드테크 서빙로봇의 서비스 실패에 대한 직업윤리적 대응에 대한 고객 평가 분석 (Analysis of Customer Evaluations on the Ethical Response to Service Failures of Foodtech Serving Robots)

  • 한정혜;최영림;정상현;김종욱
    • 서비스연구
    • /
    • 제14권1호
    • /
    • pp.1-12
    • /
    • 2024
  • 푸드테크 산업 중 서비스 로봇 시장이 커짐에 따라 외식산업의 소비자 행동의도에 영향을 끼치는 로봇 서비스의 품질이 중요하다. 식당 서빙로봇은 직원의 업무를 줄여주기도 하지만, 서비스 실패에 따른 대응이 되지 않기 때문에 고객의 불만족은 물론 직원의 업무를 늘리기도 한다. 주문과 서빙 기능 외에 서비스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 직원처럼 서비스 실패 후 복구 노력, 과정의 공정성, 공감, 대응성, 확신성에 대한 기능도 요구된다. 이에 우리는 식당 서빙 서비스 실패 유형을 내적, 외적요인으로 가정하고, 서비스에 실패했을 때 직업 윤리적인 태도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직업윤리적 공감모듈이 있는 서빙로봇을 개발했다. 이때 서빙로봇의 표정과 액션은 평상 서비스 모드에 실패복구 노력과 공감을 반영한 실패 모드를 추가하여 개발하였으며, 두 유형의 서비스 실패에 따른 서빙로봇의 직업 윤리적 공감 대응 여부가 로봇평가에 유의미한지를 실험하였다. 실험참가자들은 로봇 실수보다 다른 고객의 실수에 따른 서비스 실패에 더 불편해했으며, 서빙로봇의 직업윤리적 공감과 대응은 적절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직업윤리적 공감 모듈의 장착여부에 따라 로봇 호감도는 차이가 없지만 안전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직업윤리적 공감 대응 모듈을 탑재한다면, 국내 서빙로봇산업과 시장은 더욱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앙상블 모델과 SHAP Value를 활용한 국내 중고차 가격 예측 모델에 관한 연구: 차종 특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ediction Models of Used Car Prices Using Ensemble Model And SHAP Value: Focus on Feature of the Vehicle Type)

  • 임승준;이정호;류춘호
    • 서비스연구
    • /
    • 제14권1호
    • /
    • pp.27-43
    • /
    • 2024
  • 중고차 시장에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의 시장 점유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중고차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는 서비스 이용자에게 차량의 제원, 사고 이력, 점검 내역, 세부 옵션, 그리고 중고차의 가격 등을 공개하고 있다. 2023년 현재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SUV 차종의 신차 점유율은 50% 이상으로 확대되었으며, 하이브리드 차종은 신차 판매량이 지난해에 비해 두 배 이상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이들 차종은 국내 중고차 시장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다. 기존 연구는 전체 차량 또는 브랜드별 차량을 대상으로 머신러닝 모델을 실행하여 중고차 가격 예측 모델을 제안하였다. 반면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SUV와 하이브리드 차종의 인기는 매년 상승하고 있으나, 이들 차종을 대상으로 중고차 가격 예측 모델을 제안한 연구는 찾기 어려웠다. 본 연구는 국내 시장에서 자국 브랜드가 생산한 세단, SUV, 그리고 하이브리드 차종을 대상으로 차량 제원과 옵션, 총 72개의 특성을 활용하여 이들 차종별 가장 우수한 중고차 가격 예측 모델을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특성 선택으로 Lasso 회귀 모델을 활용하여 특성을 선별한 후 동일 샘플링으로 앙상블 모델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모든 차종에서 최우수 모델은 CBR 모델로 선정되었으며, 차종별 최우수 모델을 대상으로 Tree SHAP Value의 시각화를 실행하여 특성의 기여도 및 방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는 매매관계자에게 차종별 중고차 가격 예측 모델을 제안하고 특성의 기여 수준과 방향성을 확인함으로써 이들 간 정보의 비대칭으로 야기된 문제 해결에 지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치조 마찰음 왜곡 오류 유무에 따른 아동 발화 적률분석 비교 (Spectral moment analysis of distortion errors in alveolar fricatives in Korean children)

  • 한윤주;김도형;황자은;장대현;김재원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6권1호
    • /
    • pp.33-40
    • /
    • 2024
  • 본 연구는 치조 마찰음의 왜곡 오류인 치간음화, 구개음화, 설측음화가 적률분석의 변인인 무게중심, 분산, 왜도, 첨도에서 정조음과 보이는 음향학적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1명 아동(평균연령: 5.6±1.5세, 여아 19명, 남아 42명)을 대상으로 얻어진 조음음운평가(Assessment of Phonology & Articulation for Children, APAC; Urimal-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I, U-TAP I) 결과, 음성 중 치조 마찰음을 포함하고 있는 목표 단어에서 치조마찰음 왜곡 오류를 보인 음성과 정조음 음성을 추출하여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총 169개의 음성이 적률분석에 사용되었다. 그 결과, 무게중심에서 정조음이 구개음화보다 값이 높았으며, 구개음화는 치간음화보다 값이 낮았다. 치간음화의 분산이 정조음과 구개음화보다 높았다. 치간음화가 정조음보다 높은 왜도를 보였으며 구개음화의 왜도가 정조음보다 높았다. 마지막으로 구개음화의 첨도가 정조음과 치간음화보다 높았다. 각 왜곡 오류 유형에서 적률분석의 모든 변인들에 대해 조음위치(어두초성, 어중초성), 발성유형(평음, 경음)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치조 마찰음의 유형에 따라 무게중심, 분산, 왜도, 첨도에서 다른 패턴이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객관적 수치는 추후 임상에서 청지각 평가를 도와 치조 마찰음 왜곡 오류의 진단과정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cremental Image Noise Reduction in Coronary CT Angiography Using a Deep Learning-Based Technique with Iterative Reconstruction

  • Jung Hee Hong;Eun-Ah Park;Whal Lee;Chulkyun Ahn;Jong-Hyo K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1권10호
    • /
    • pp.1165-1177
    • /
    • 2020
  • Objective: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applying a deep learning-based denoising technique to coronary CT angiography (CCTA) along with iterative reconstruction for additional noise re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enrolled 82 consecutive patients (male:female = 60:22; mean age, 67.0 ± 10.8 years) who had undergone both CCTA and invasive coronary artery angiography from March 2017 to June 2018. All included patients underwent CCTA with iterative reconstruction (ADMIRE level 3, Siemens Healthineers). We developed a deep learning based denoising technique (ClariCT.AI, ClariPI), which was based on a modified U-net type convolutional neural net model designed to predict the possible occurrence of low-dose noise in the originals. Denoised images wer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predicted noise from the originals. Image noise, CT attenuation, signal-to-noise ratio (SNR), and contrast-to-noise ratio (CNR) were objectively calculated. The edge rise distance (ERD) was measured as an indicator of image sharpness. Two blinded readers subjectively graded the image quality using a 5-point scale. Diagnostic performance of the CCTA was evaluated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ignificant stenosis (≥ 50% lumen reduction). Results: Objective image qualities (original vs. denoised: image noise, 67.22 ± 25.74 vs. 52.64 ± 27.40; SNR [left main], 21.91 ± 6.38 vs. 30.35 ± 10.46; CNR [left main], 23.24 ± 6.52 vs. 31.93 ± 10.72; all p < 0.001) and subjective image quality (2.45 ± 0.62 vs. 3.65 ± 0.60, p < 0.001)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denoised images. The average ERDs of the denoised images we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ose of originals (0.98 ± 0.08 vs. 0.09 ± 0.08, p < 0.001). With regard to diagnostic accurac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paired comparisons. Conclusion: Application of the deep learning technique along with iterative reconstruction can enhance the noise reduction performance with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objective and subjective image qualities of CCTA images.

Association between Initial Chest CT or Clinical Features and Clinical Course in Patients with Coronavirus Disease 2019 Pneumonia

  • Zhe Liu;Chao Jin;Carol C. Wu;Ting Liang;Huifang Zhao;Yan Wang;Zekun Wang;Fen Li;Jie Zhou;Shubo Cai;Lingxia Zeng;Jian Yang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1권6호
    • /
    • pp.736-745
    • /
    • 2020
  • Objective: To identify the initial chest computed tomography (CT) finding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course of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neumonia. Materials and Methods: Baseline CT scans and clinical and laboratory data of 72 patients admitted with COVID-19 pneumonia (39 men, 46.2 ± 15.9 year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Baseline CT findings including lobar distribution, presence of ground glass opacities, consolidation, linear opacities, and lung severity score were evaluated. The outcome event was recovery with hospital discharge. The time from symptom onset to discharge or the end of follow-up (for those remained hospitalized) was recorded. Data were censored in events such as death or discharge without recovery. Multivariable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was used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initial CT, clinical or laboratory findings, and discharge with recovery, whereby hazard ratio (HR) values < 1 indicated a lower rate of discharge at four weeks and longer time until discharge. Results: Thirty-two patients recovered and were discharged during the study period with a median length of admission of 16 days (range, 9 to 25 days), while the rest remained hospitalized at the end of this study (median, 17.5 days; range, 4 to 27 days). None died during the study period. After controlling for age, onset time, lesion characteristics, number of lung lobes affected, and bilateral involvement, the lung severity score on baseline CT (> 4 vs. ≤ 4 [reference]: adjusted HR = 0.41 [95% confidence interval, CI = 0.18-0.92], p = 0.031) and initial lymphocyte count (reduced vs. normal or elevated [reference]: adjusted HR = 0.14 [95% CI = 0.03-0.60], p = 0.008) were two significant independent factors that influenced recovery and discharge. Conclusion: Lung severity score > 4 and reduced lymphocyte count at initial evaluation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lower rate of recovery and discharge and extended hospitalization in patients admitted for COVID-19 pneumonia.

전신진동자극을 동반한 점진적 균형훈련 프로그램이 무릎뼈 관절염 환자의 무릎관절 통증과 기능장애 수준, 심리사회적 수준 그리고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rogressive Balance Training Exercise Programs with Whole Body Vibration on Pain, Function, Psychosocial Status,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

  • 윤상우;김선엽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1-94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progressive balance training program with whole-body vibration stimulation on knee joint pain, dysfunction, psychosocial status, and balance ability in individuals aged ≥ 65 years with knee osteoarthritis. METHODS: A total of 40 individuals aged ≥ 65 years with osteoarthritis of the knees participated in the study. Using a randomization program,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n = 20) or a control group (n = 20). Both groups were assigned a knee strength training program, and a progressive balance training program with whole-body vibration stimulation wa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ll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Participants were evaluated for the following: pain (numeric rating scale, NRS), knee dysfunction (Korean version of the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Arthritis Index, K-WOMAC), fall efficacy (Korean Version Falls Efficacy Scale, K-FES), quality of life (Euro Quality of life 5 Dimension, EQ-5D), and advanced balance scale score (Fullerton advanced balance scale, FAB)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were compared accordingly between groups. RESULTS: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ults of the NRS, K-WOMAC, K-FES, and EQ-5D assessment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two groups (p < .05).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FAB in all but items FAB 8 and FAB 9 after the interven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FAB 1, FAB 2, FAB 7, and FAB total after the intervention (p < .05).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two groups in all items except FAB 8 and FAB 9 (p < .05). CONCLUSION: The progressive balance training program with whole body vibration stimulation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with clinical significance in improving knee joint pain, knee disability index, psychosocial level, and balance ability in adults aged ≥ 65 with osteoarthritis of the kne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