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urine screening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에서의 단풍당뇨병 진단 치료 지침: 과거와 현재 (Maple Syrup Urine Disease (MSUD) Diagnosis & Treatment Guidelines: Past and Present in Korea)

  • 김숙자;송웅주;이선호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1-38
    • /
    • 2023
  • Maple syrup urine disease (MSUD) is an autosomal recessive metabolic disorder caused by a deficiency in branched chain α-keto acid dehydrogenase (BCKAD). Between 1997, when Korea's MSUD case was first reported, and 2023, 14 cases were reported in the literature. 29% of the cases experienced developmental delay, and 29% expired. The prevalence of MSUD in Korea was estimated to be 1 in 230,000. Of 21 MSUD patients currently being treated at the Korea Genetics Research Center, 19 were detected through newborn screening program, and 2 were diagnosed by the symptoms. 14 MSUD patients had confirmed genetic mutations; 6 (43%) were BCKDHA and 8 (57%) were BCKDHB. In one case, a large deletion was observed. 4 patients had leucine levels above 2,000 (umo/L), and post-dialysis diet therapy was initiated in the newborn period. No patient required further dialysis as diet therapy and regular monitoring proved highly effective. Most MSUD patients were growing normally; weight and height growth were above the 50th percentile in 76% of the cases while BMI values were higher than normal in 71% of cases. Developmental delays were observed only in 2 cases (10%) and anticonvulsant use in 3 cases (14%). With newborn screening available to all Korean infants, early diagnosis and intervention should allow most patients to remain asymptomatic. However, ongoing surveillance, dietary management and continued patient compliance as well as rapid correction of acute metabolic decompensations remain critical to a favorable long-term prognosis.

  • PDF

집단뇨검사(Urinary mass screening) 방법으로 단백뇨와 혈뇨의 동시검사가 가지는 진단적 가치에 대한 연구 (A study of Diagnostic Significance of Simultaneous Examination of Proteinuria and Hematuria in the Urinary Mass Screening)

  • 김영균;이종국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3권1호
    • /
    • pp.57-63
    • /
    • 1999
  • 목 적 : 신질환의 조기 진단을 위한 집단뇨검사 방법으로 단백뇨와 혈뇨검사를 동시에 시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집단뇨검사에서 잠혈검사 추가가 가지는 진단적 의의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및 대상 : 1차 선별검사는 전국 33개교 26,508명의 고등학교 1년생(16세군)을 대상으로 하였고 정밀검사는 서울시 1개교 875명의 고등학교 1년생(16세군)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방법은 1997년 8월부터 12월까지 4개월간 한국 건강관리 협회와 공동으로 학교에서 무작위로 채취된 소변을 Combur-10 $N^{(R)}$ M (Boehringer Mannheim, Germany)검사지로 단백뇨, 혈뇨, 농뇨, 아질산염 등을 검사하였다. 양성자의 기준은 단백뇨, 혈뇨, 농뇨가 $1^{+}$ 이상인 경우와 아질산염에 양성반응이 나오는 경우로 정하였다. 실제 신질환의 감별을 위한 정밀검사는 1차 집단뇨검사 양성자를 대상으로 본원에서 실시하였다. 결 과 : 1) 1차 집단검사 결과에서 단백뇨 유병율은 $0.73\%$, 혈뇨 유병율은 $2.69\%$, 농뇨 유병율은 $0.23\%$ 그리고 아질산염 유병율은 $0.03\%$로 조사 되었다. 2)서울지역 1개교(875명)선별 정밀검사 결과: 1차검사 단백뇨 양성자 8명($0.91\%$)중 1명은 기립성 단백뇨, 나머지 7명은 일시적 단백뇨로 확인되었다. 1차검사 혈뇨 양성자는 41명($4.86\%$)이었고 이중 재검이 가능했던 33명중 6명만이 지속적인 혈뇨 양성자였고, 다시 시행한 정밀검사에서 한명만이 무증상 단독 혈뇨증으로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5명은 정상이었다. 1차 소변검사 이상자 52명에 대한 혈액검사 및 초음파검사는 모두 정상이었다. 1차검사에서 혈뇨 양성자 33명중 1명(약$3\%$)만이 신질환이 의심되는 경우였고 나머지 32명($91\%$)은 정상이었다. 결 론 : 1) 혈뇨검사는 위양성이 높기 때문에 ($97\%$) 집단뇨검사에 포함시킬 경우 불필요한 시간과 경비의 낭비가 있을수 있다고 생각된다. 2) 집단뇨검사는 검사 기관에 따라 얻어지는 결과의 차이가 심하기 때문에 단일 기관으로 통합 관리해야 할 것이다. 3) 요로감염증의 선별검사에서 농뇨와 아질산염 검사는 양성율이 낮으므로 그 효용성에 대한 연구는 좀더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Maternal 3-methylcrotonyl-coenzyme A carboxylase deficiency with elevated 3-hydroxyisovalerylcarnitine in breast milk

  • Cho, Kyung Lae;Kim, Yeo Jin;Yang, Song Hyun;Kim, Gu-Hwan;Lee, Jun Hwa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9권sup1호
    • /
    • pp.41-44
    • /
    • 2016
  • We report here a case of maternal 3-methylcrotonyl-coenzyme A carboxylase (3-MCC) deficiency in a Korean woman. Her 2 infants had elevated 3-hydroxyisovalerylcarnitine (C5-OH) on a neonatal screening test by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but normal results were found on urine organic acid analysis. The patient was subjected to serial testing and we confirmed a maternal 3-MCC deficiency by blood spot and breast milk spot test by LC-MS/MS, serum amino acid analysis, urine organic acid and molecular genetic analysis that found c.838G>T (p.Asp280Tyr) homozygous mutation within exon 9 of the MCCB gene. Especially, we confirmed marked higher levels of C5-OH on breast milk spot by LC-MS/MS, in the case of maternal 3-MCC deficiency vs. controls.

일부 사무직 근로자와 생산직 근로자간의 일반건강진단 검사 결과의 차이 (Differences of Screening Test Results of Health Examination between Clerks and Laborers)

  • 박종원;신동훈;이미영;서석권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8권3호
    • /
    • pp.543-550
    • /
    • 1995
  • 이 연구는 대구시 소재 일개 검진기관에서 1992년도에 일반건강진단을 받은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여 사무직 근로자와 생산직 근로자간의 차이가 선별검사 결과에서 있는지를 알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상자는 남자 6,597명과 여자 3,610명으로 총 10.2명이 선택되었다. 남녀별로 나누어 각 선별검사 항목별로 단일분석을 시행한 후 유의한 변수를 골라 지수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사무직종에 대한 생산직을 비교하였다. 청력검사 항목은 남녀 모두에서 사무직보다 생산직에서 이상률이 더 컸다. 혈구용적치와 고혈압 항목은 조정변수를 교정한 후에도 남녀모두 직종간의 차이가 없었다. 간기능과 요단백 항목은 남자에서 사무직의 이상률이 생산직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력항목은 여자에서만 직종간의 차이를 보였으며 사무직에서 시력교정의 필요성이 더 켰다. 이상의 결과는 사무직종과 생산직종간에 일반건강진단의 검사 결과에서 차이가 있으며 원인규명을 위한 연구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 PDF

신생아 대사이상 선별검사 이상으로 진단된 I형 타이로신혈증 (A Case with Tyrosinemia Type I Detected by Neonatal Screening Test)

  • 손영배;이해상;이장훈;황진순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9-103
    • /
    • 2012
  • I형 타이로신혈증은 타이로신의 분해 과정 중 최종단계에 관여하는 효소인 fumarylacetoacetate hydrolase(FAH)의 결핍에 의한 대사 이상질환이다. 급성 I형 타이로신혈증은 치명적인 간부전이나 혈액응고장애와 같은 급성 임상증상이 나타난 이후에는 예후가 불량하였으나 최근에는 신생아 대사이상 선별검사를 통해 조기 진단이 가능해졌고 2-(2-nitro-4-trifluoro-methylbenzyol)-1,3 cyclohexanedione nitisinone (NTBC) 약물 치료로 타이로신혈증의 치료 성적이 향상됨에 따라 신생아 대사이사 선별검사를 통한 조기 진단과 조기 치료가 더욱 중요해졌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심각한 출혈이나 간부전과 같은 급성 이상 증상이 나타나기 전 신생아 대사이상 선별검사로 조기 진단 및 조기 중재적 치료로 양호한 경과를 보이고 있는 I형 타이로신혈증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Metabolomics, a New Promising Technology for Toxicological Research

  • Kim, Kyu-Bong;Lee, Byung-Mu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59-69
    • /
    • 2009
  • Metabolomics which deals with the biological metabolite profile produced in the body and its relation to disease state is a relatively recent research area for drug discovery and biological sciences including toxicology and pharmacology. Metabolomics, based on analytical method and multivariate analysis, has been considered a promising technology because of its advantage over other toxicogenomic and toxicoproteomic approaches. The application of metabolomics includes the development of biomarkers associated with the pathogenesis of various diseases, alternative toxicity tests, high-throughput screening (HTS), and risk assessment, allowing the simultaneous acquisition of multiple biochemical parameters in biological samples. The metabolic profile of urine, in particular, often shows changes in response to exposure to xenobiotics or disease-induced stress, because of the biological system's attempt to maintain homeostasis. In this review, we focus on the most recent advances and applications of metabolomics in toxicological research.

Breast Milk-Transmitted Cytomegalovirus Infection in Preterm Infants

  • Gang, Mi Hyeon;Chang, Mea-young
    • Neonatal Medicine
    • /
    • 제25권2호
    • /
    • pp.58-65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rate of cytomegalovirus (CMV) virolactia, and the prevalence of breast milk (BM)-transmitted postnatal CMV infection among premature infants after freeze-thawing (FT) and Holder pasteurization (HP) of breast milk. Methods: This is a single-center, retrospective study of 312 infants born at less than 32 weeks of gestation, or with a birth weight less than 1,500 g from January 2013 to June 2017. All infants were screened for CMV-specific immunoglobulin (Ig) G and IgM at birth. Initial CMV 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CMV culture were performed on mothers' BM and babies' urine within the first 21 days of life. FT and HP of BM was used to prevent the transmission of CMV. For the surveillance of postnatal CMV infection, CMV culture and CMV specific PCR of urine from babies were repeated one to two months after the initial screening. Screening for viremia and viruria was performed if postnatal CMV infection was suspected. Results: Among 178 BM samples obtained from mothers of CMV-IgG-seropositive infants, 80 (44.9%) were CMV PCR positive. CMV deoxyribonucleic acid (DNA) was detected in five of the 22 BM samples (22.7%) obtained from the mothers of CMV-IgG seronegative infants. When CMV DNA load in BM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HP, various results were shown. Sixty-three infants out of 232 (27.2%) were evaluated for postnatal CMV infection and four infants out of 63 (6.3%) were infected. Conclusion: Interventions to prevent BM-transmitted CMV infection can reduce the chance of postnatal CMV infection, but not completely eliminate it.

학교 신체 검사에서 발견된 단독 단백뇨의 분석 (Analysis of Isolated Proteinuria on School Urinary Mass Screening Test in Busan and Kyungsangnam-do Province)

  • 오동환;김정수;박지경;정우영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7권2호
    • /
    • pp.142-149
    • /
    • 2003
  • 목적 : 초, 중,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집단뇨 검사의 전반적인 분석에 대한 연구 결과들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보고되었으나, 단독 단백뇨(isolated proteinuria)에 대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다. 국내에서는 매년 전체학생의 0.3-0.5%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단백뇨는 과도한 양의 단백이 소변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증상이 없는 환자에서 발견된 단백뇨는 심각한 신장질환이나 전신 질환의 초기 발현이거나 혹은 임상적으로 의미 없는 일시적인 소견일 수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단백뇨의 경우는 향후 진행성 신질환의 경과를 취하는 경우가 적지 않으므로 진단 당시 정확한 검사 및 지속적인 외래 추적 관찰이 필수적이다. 이에 저자들은 부산 경남지방에 거주하는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 중학교 신체검사에서 우연히 발견된 단독 단백뇨를 주소로 본 원을 방문하였던 학생들을 대상으로, 단독 단백뇨의 원인을 규명하고, 전국적인 자료 구축의 기본적인 데이터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2년 4월부터 2003년 8월까지 학교 신체 검사에서 발견된 소변 검사상의 이상 소견을 주소로 부산백병원 소아과를 방문하였던 학생 중 단독 단백뇨의 소견을 보였던 초, 중, 고등학생 44명을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성별은 남자가 15명, 여자가 29명으로 남녀 비는 1:1.93이었다. 연령은 7세부터 16.9세까지로 평균 연령은 12.0세였다. 모든 학생들은 소아신장학회의 프로토콜에 의거하여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단독 단백뇨를 보였던 44명 학생들에서 단백뇨의 원인적 분석 결과는 일시적 단백뇨가 4례(9.1%), 기립성 단백뇨가 36례(81.8%), 지속성 단백뇨가 4례(9.1%)로, 기립성 단백뇨가 가장 많았다. 본원에 의뢰된 학생들의 학교 신체검사상에서의 단백뇨 정성검사(urine dipstick test) 결과를 보면, 전체적으로 2+가 24례(54.5%)로 가장 많았으며, Trace와 3+가 각각 6례, 1+ 5례, 4+ 3례였다. 기립성 단백뇨 군에서는 2+가 21례(58.3%)로 가장 많았다. 24시간 채집뇨상의 총단백량은 일시적 단백뇨 군에서는 평균 $121.0{\pm}136.4\;mg$이었고, 기립성 단백뇨 군은 평균 $179.1{\pm}130.0\;mg$, 지속성 단백뇨 군은 $1,532.8{\pm}982.5\;mg$이었다. 기립성 단백뇨 군에서는 24시간 채집뇨상의 총단백량의 범위가 40 mg에서 616 mg까지로 비교적 넓은 범위를 나타내었다. 단회뇨를 이용하여 측정한 PCR은 일시적 단백뇨군에서는 평균 $0.10{\pm}0.01$이었고, 기립성 단백뇨군은 평균 $0.61{\pm}0.61$, 지속성 단백뇨 군은 평균 $4.35{\pm}4.04$이었다. 기립성 단백뇨 군에서는 PCR의 범위가 0.09에서 2.32까지의 편차를 나타내었다. 지속성 단백뇨를 보이는 경우가 4례에서 관찰되었다. 이들 모두는 1년 동안 계속하여 단백뇨가 나타났으며, 결국 신조직 검사를 시행하였다. 1례는 미세병변이었고, 나머지 2례는 막증식성 사구체 신염이였으며, 나머지 1례는 신유전분증이었다. 결론 : 단백뇨의 검출은 신장질환의 존재를 확인해 줄 뿐만이 아니라 지속적인 단백뇨는 진행성 경과의 위험성을 동시에 암시해 주는 매우 유용한 지표이다. 본 연구 결과 학교 신체 검사상에서 발견된 단독 단백뇨의 주된 원인은 기립성 단백뇨로 81.8%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지속성 단백뇨의 경우 비록 9.1%의 빈도를 보였지만, 신장 조직검사를 시행한 결과 진행성 경과를 취할 수 있는 막 증식성 사구체 신염과 매우 희귀한 증례인 신유전분증 등으로 진단됨으로써 지속성 단백뇨의 경우 정확 진단적 접근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기립성 단백뇨의 경우는 간단한 소변 검사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하므로 필요하지 않은 검사의 무분별한 시행이나 신장 질환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는 집단 소변 검사는 예방적인 차원에서의 의료 관리의 전형적인 사례로 볼 수 있다. 이의 성공적이면서도 확고한 정착을 위해서는 각 지역을 중심으로 시행되어진 자료의 수집과 관리를 일원화하는 작업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통해 얻어진 자료들의 통계적 분석과 다양한 예시들은 소아 신질환의 관리의 귀중한 이정표를 제시해 줄 것이다.

  • PDF

Compound heterozygous mutations of ACADS gene in newborn with short chain acyl-CoA dehydrogenase deficiency: case report and literatures review

  • An, Se Jin;Kim, Sook Za;Kim, Gu Hwan;Yoo, Han Wook;Lim, Han Hyuk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9권sup1호
    • /
    • pp.45-48
    • /
    • 2016
  • Short-chain acyl-CoA dehydrogenase deficiency (SCADD) is a rare autosomal recessive mitochondrial disorder of fatty acid ${\beta}$-oxidation, and is associated with mutations in the acyl-CoA dehydrogenase (ACADS) gene. Recent advances in spectrometric screening for inborn errors of metabolism have helped detect several metabolic disorders, including SCADD, without symptoms in the neonate period. This allows immediate initiation of treatment and monitoring, so they remain largely symptomless metabolic disease. Here, we report a 15-month-old asymptomatic male, who was diagnosed with SCADD by newborn screening. Spectrometric screening for inborn errors of metabolism 72 hours after birth revealed an elevated butyrylcarnitine (C4) concentration of $2.25{\mu}mol/L$ (normal, < $0.99{\mu}mol/L$). Urinary excretion of ethylmalonic acid was also elevated, as detected by urine organic acid analysis. To confirm the diagnosis of SCADD, direct sequencing analysis of 10 coding exons and the exon-intron boundaries of the ACADS gene were performed. Subsequent sequence analysis revealed compound heterozygous missense mutations c.164C>T (p.Pro55Leu) and c.1031A>G (p.Glu344Gly) on exons 2 and 9, respectively. The patient is now growing up, unretarded by symptoms such as seizure and developmental delay.

Discovery of Urinary Biomarker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Based on Metabolomics

  • Lee, Jeongae;Woo, Han Min;Kong, Gu;Nam, Seok Jin;Chung, Bong Chul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4권4호
    • /
    • pp.59-66
    • /
    • 2013
  • A metabolomic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urinary biomarkers for breast cancer,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nd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C-MS), analyzed by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PCA) as well as a partial least squares-discriminant analysis (PLS-DA) for a metabolic pattern analysis. To find potential biomarkers,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before- and after-mastectomy of breast cancer patients and healthy controls. Androgens, corticoids, estrogens, nucleosides, and polyols were quantitatively measured and urinary metabolic profiles were constructed through PCA and PLS-DA. The possible biomarkers were discriminated from quantified targeted metabolites with a metabolic pattern analysis and subsequent screening. We identified two biomarkers for breast cancer in urine, ${\beta}$-cortol and 5-methyl-2-deoxycytidine, which were categorized at significant levels in a student t-test (p-value < 0.05). The concentrations of these metabolites in breast cancer patients significantly increased relative to those of controls and patients after mastectomy. Biomarkers identified in this study were highly related to metabolites causing oxidative DNA damage in the endogenous metabolism. These biomarkers are not only useful for diagnostics and patient stratification but can be mapped on a biochemical chart to identify the corresponding enzyme for target identification via metabolom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