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Violence Prevention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43초

도시와 농촌 초등학생의 성의식 및 성가치관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sex-consciousness and sexual values between urban and rural elementary schoolers)

  • 노미영;박영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6권
    • /
    • pp.17-3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x-consciousness and sexual values of school children by geographic region. It's specifically attempted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sex-consciousness and sexual values between urban and rural elementary schoolers to help provide efficient sex education for them to build the right sexual valu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0 elementary schoolers in their sixth year of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Danyang-gun and Chungju city, north Chungcheong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answer sheets from 387 students that were analyzable were analyzed. For data handling, SPSS program was employed, and t-test was utilized to see if there's any differences between the urban and rural elementary school youngsters in sex consciousness and sexual values. And $x^2$ test was used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ir view of sex educ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regarding sex-consciousness, they had general knowledge on sex. Especially, they were highly aware of sexual violence and the generation of baby, but many of them didn't know about where and how egg cells were produced. This indicated that systematic education should be offered in various ways. Concerning geographic ga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ual knowledge between the urban and rural students. As to sexual attitude, they took a relatively positive attitude toward display of affection or sex-related talk on TV or in movies, as they viewed it as natural. This finding implied that the elementary schoolers were recipient toward sex and took an active attitude toward sexual expressions. Concerning geographic gap,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rural and urban students. As for sexual practices, the largest group of the students had a liking for the opposite sex, which showed that their needs for sex were unveiled in the course of having some trouble due to the other sex rather than through firsthand experiences or activities. As to geographic ga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urban and rural students in that regard. Besides, the urban students put their sex-consciousness in practice more often than the rural students did. After they are educated to build the right sexual values, systematic sex-education programs should also be offered for them to be exposed to sustained sex education and to team how to apply their sex-consciousness to real life. Second, as for sexual values, the school children had relatively positive and equalitarian sexual values. Regarding geographic gap, there were significant gaps between the two groups' view of the opposite sex, sexual roles and chastity. Concerning view of the opposite sex, they attached more importance to the inner aspects of the opposite sex than his or her look, and they wanted to date in a natural manner. Regarding sexual roles, they were relatively well cognizant of gender equity and the importance of male and female roles. As to view of chastity, they looked upon sex as natural, not as what's ugly or ashamed of. Third, concerning their outlook on sex education, approximately more than half the students felt the needs for sex educat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urban and rural students. They wanted to receive education about the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 and physical changes during puberty the mos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 urban and rural students in this aspect. As to the time for sex education, they thought that students should start to be exposed to sex education in their fifth or sixth year. This finding signified that fifth or sixth graders who were in the beginning of puberty started to have a lot of interest in their own physical changes. Therefore, sex education would produce better effects when it's provided to fifth or sixth graders. Nearly half them preferred single-gender class when they received sex education, and there's no gap between the urban and rural students in that regard.

  • PDF

청소년의 정신건강 관련 요인 연구 - 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Factors Related to Mental Health of Juveniles - Using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2019 -)

  • 김경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475-481
    • /
    • 2020
  • 본 연구는 2019년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온라인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정신건강 관련 특성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주관적 건강인지, 평상시 스트레스인지, 자살생각·자살계획·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체 청소년 대상자는 57,303명이며, 그 중 고등학생 27,919명(48.7%), 중학생이 29,384명(51.3%)이었다. 주관적 건강인지, 평상 시 스트레스 인지, 최근 12개월 동안 자살생각·자살계획·자살시도 등의 정신건강과 관련된 요인을 찾아보기 위해 연구대상 청소년들의 일반적인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 뿐 아니라 그들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의 성별, 학교구분, 거주형태(부모님과의 동거여부), 경제상태, 학업성적, 주중 인터넷 사용시간, 흡연경험, 음주경험, 약물경험, 학교폭력치료경험, 성관계경험, 최근 7일 동안 잠으로 피로회복 정도, 최근 12개월 동안 슬픔 및 절망감 경험 등의 변수를 이용한 결과 모든 변수들이 그 정도는 다르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건강행태 개선 및 정신건강 관련 예방적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한다.

중학교 가정과 수업을 위한 '안전' 주제 중심 통합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the safety' theme-based integrate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for the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Instruction)

  • 김남은;채정현;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39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분석과 학습자의 요구조사를 통하여 중학교 가정과 수업을 위한 '안전' 주제 중심 통합 교수 학습 과정안을 체계적이고 타당하게 개발하여 가정과교사들이 교실현장에서 안전교육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궁극적으로 청소년들이 안전한 생활을 실천하도록 기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우선, 1차에서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안전교육 내용의 분석 및 부산지역 여자 중학교 5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안전교육 요구도를 바탕으로 안전 내용 요소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주제선정기준에 의해 7가지 통합 주제를 선정하고 각 통합주제별로 주제망을 구성하여 가정과 '안전' 주제중심 교육과정과 학습자료를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가정과는 1954년에 제정된 1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 시안에 이르기까지 안전에 대한 내용을 지속적으로 표기하고 있었다. 학생들의 안전교육 요구가 가장 높게 나온 내용요소는 성폭력 및 성매매 예방과 대처방법이고 자살예방 및 대처방법, 집단따돌림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낮게 나온 항목이 정리정돈이고 42개 모든 항목에서 '필요하다' 이상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가정과 수업을 위한 '안전' 주제 중심 통합 교육과정은 식생활안전, 청소년의 성과 안전, 청소년의 친구관계와 안전, 가족생활과 안전, 주생활과 안전, 청소년의 자아와 안전, 사회 환경과 안전의 7가지 통합주제를 선정하고, 각 통합주제에 따라서 3~6개씩 총 28개의 소주제(35차시 분)가 구성되었으며 이를 교실현장에서 손쉽게 실행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안내하는 교수 학습 과정안 총 28편(35차시분량),과 다양한 학습자료 (PPT 28개, 동영상자료 25편, 읽기자료 4편, 학습지 61개, 활동지 14개, 평가지 16개, 테스트지 3개, 참고자료 2개, 학습자료 모형 4개(냉장고 모형, 토론신호등, 식판모형과 음식스티커, 푸드마일리지 카드)로 총 157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7개 통합 주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 개발에 초점이 있기에 우선순위에서 제외된 의생활과 안전, 갈등과 안전, 직업생활과 안전, 소비생활과 안전 주제 중심 교육과정 개발과 함께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안전의식과 행동 및 태도변화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청소년 비행화 과정 개입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비행화 예방 집단활동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 (The Study on the Process of Juvenile Delinquency and It's Prevention Program)

  • 이익섭;김근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7권
    • /
    • pp.381-405
    • /
    • 1999
  • 청소년 비행 문제에 대한 접근은 청소년들이 비행에 이르게 된 과정과 요인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이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별로 다각적인 접근을 시도하는 프로그램의 계획 및 실천과 그에 대한 평가작업을 통해 완성된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시도되는 프로그램의 전 과정을 양적 및 질적 방법으로 평가하여 저소득층 밀집지역의 비행청소년들에게 적합한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 보급하는 것은 현 시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본 연구조사의 일차적 목적은 청소년 비행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사회복지 개입 프로그램을 계획 시행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수행된 비행예방 프로그램은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비행 요인을 중복적으로 가지고 있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5개월간 주 1회 씩 총 19회의 집단활동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는 목적달성 모델을 따랐으며, 사전 사후조사를 통한 양적 접근과 함께 집단활동 기록 분석 등의 질적 접근을 병행하였다. 그 결과 자아존중감으로 조작화된 집단활동 참여자의 비행성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이는 본 프로그램이 비행예방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 PDF

일개 지역 남녀 대학생들의 음주문화 실태 -일개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Drinking Culture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 김광환;김용하;노상균;김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932-4939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학생들의 음주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를 하고자 함이다. 연구기간은 2009년 5월 6일부터 10일까지였으며, 300명의 대학생들에게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에 사용한 설문지는 성별에 따른 음주관련행태, 절주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원하지 않는 음주상태, 금주 및 금주이유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통계는 SPSS WIN 14.0을 사용하였다. 술을 마시는 중요한 이유는 폭넓은 인간관계를 갖기 위해서였다. 대학생의 50.3%에서 1년에 2회 블랙아웃(blackout)을 경험하였고, 26.0%가 6개월에 2회 경험하였다고 했다. 술 끊기(금주)의 필요성은 금주 관련 문화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다. 원하지 않는 음주는 1학년 신입생 환영회에서 가장 많았는데, 선배와 친구들이 신입생에서 과도하게 술을 권하였기 때문이다. 금주를 하는 이유는 건강문제(36.9%), 인간 관계(34.5%), 금전적인 어려움(20.8%)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건전음주 교육 실시, 대학생들의 올바른 음주 문화 조성, 음주로 인한 성폭력, 질병,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예방, 대학생들의 건강증진을 도모하고 금주에 대한 홍보운영이 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표를 둔다.

'충서지도(忠恕之道)'의 윤리학적 함의와 초등 도덕과 교육에서의 적용 방안 연구 - 개인윤리와 사회공동체윤리의 통합적 접근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ethical im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Faithfulness" and "Benevolence" and application schemes in the ethics course of the elementary education - centering around the synthetic approach to the individual morality and the ethics of social community)

  • 지준호
    • 동양고전연구
    • /
    • 제34호
    • /
    • pp.311-338
    • /
    • 2009
  • 과학의 발달과 사회의 발전에 따라 파생되는 도덕적 타락 또는 인성부재의 실상은 매우 심각하다. 특히, 이러한 문제에 대면하여 새로운 돌파구를 제시해야 할 도덕교육은 교육계 초유의 관심사이자 우리의 미래를 가늠하는 관건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대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유학의 충서지도(忠恕之道)가 표방하는 풍부한 윤리학적 함의를 도출하여, 현 시대의 초등교육 현장에 구체적으로 접근하려는 시도이다. 윤리적 사회공동체를 만든다는 것은 도덕 주체인 우리가 외형적인 규범의 제한에만 머무르지 않고 내면의 문제를 고민함으로써 자발적인 도덕적 실천을 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하고도 있다. 보편윤리로서의 충서지도(忠恕之道)는 인학(仁學)으로서의 덕윤리, 자기인식과 자존감 고취, 배려윤리로서의 사회공동체윤리 등의 의미를 표방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의미는 '초등교육에서의 적용방안'을 문제의 중심에 놓고 볼 때, 다분히 인성교육과 관련된 학교에서의 폭력이나 따돌림 문제 등에 관한 교육적 예방 차원에서 보다 깊이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더 나아가 한국사회가 처해있는 상황, 특히 사회공동체의 권익 주장이나 집단 이기주의, 또는 사회공동체 간의 갈등 문제 등에 있어서 현실적인 응답을 모색할 수 있는 담론의 장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부 중학생의 성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성교육 요구도에 관한 조사연구 (A Survey of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the Need for Sex Educ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 오윤정;김정남;하숙영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67-481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urvey, in which 2754 students from 35 middle schools from Taegu city participated, was to identify the degree and the relationship of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need for sex education. This information will provide useful data, and promote a more systematic, desirable and practical sex educat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1 to November 8, 1997.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computer package, SPSS to manipulate the data along with percentage, mean, $X^2$-test. t-test, F-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sex related knowled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general knowledge(boys: 10.85 girls: 11.71, p=0.000), in the area of physical development(boys : 5.29 girls: 5.72, p=0.000), pregnancy & physiology (boys: 3.23 girls: 3.57, p=0.000) and venereal disease (boys: 2.33 girls: 2.42, p=0.000). 2. The mean score of sex related attitud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on the whole(boys : 57.68 girls: 58.92, p=0.000), in the area of psychological differences of the other sex (boy: 26.13, girls: 28.08, p=0.000), and sexual delinquency and its prevention(boy: 14.28, girls: 13.68, p=0.000). However, in the area of other sex friendships (boy: 17.28, girls: 17.16, p=0.27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3. Those who had a higher sex related knowledge score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sex, but was of no statistical significance(r= 0.312, p=0.000). 4. The majority of subjects wanted to learn about friendship with the other sex(40.1%), about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fferences in adolescence(24.0%), about prevention of sexual violence(15.0%), about pregnancy and delivery (7.5%), about venereal disease and medical cures(7.3%), about contraception methods (4.3%), as well as other aspects of sexual knowledge (1.8%), 5. The mean score of sex related knowledge generally was higher when one paid a lot of attention to health (F= 3. 148, p=0.014), when one's father was alive(t=3.930, p=0.000), and when one's mother was alive(t=2.807, p=0.005), Hobby activities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F=9.092, p=0.000). The mean score of sex related knowledge generally according higher when one had sex education(F=9.470, p=0.000), when one obtained sexual knowledges from a teacher (F = 5. 742, p=0.000), and when one had middle grade problems with sex(F=13.58 4, p=0.000). 6. The mean score of sex related attitudes general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re ligion(F=2.691, p=0.03), hobbies (F= 3.499, p= 0.002) were considered. Those who had a father also had higher scores(t=2.538, p= 0.011). The mean score of sex related attitudes generally with respect to a subject's sex was higher when one had sex education(t=5.338, p= 0.000), when one had high grade problems with sex(F=6.023, p=0.002), and when one had the experience of friendship with the other sex(t= 8.106, p=0.000),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based on the above results, 1. Systematic sex education must be performed in middle schools in order to establish responsible attitudes toward sex, 2.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general sex education classes must be performed seperately for early, middle, and late adolescents, In other words sex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for each adolescent development stage.

  • PDF

정신분석학적 '욕망의 주체' 이해에 기초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 개발 (A Study on Practical Curriculum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for Lov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Psychoanalytic 'Desire of Subject')

  • 김선아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8권
    • /
    • pp.77-11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돌토의 정신분석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을 두 가지 영역에서 재구성하여 제시한다. 그 첫 번째 영역은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방향 및 이에 따른 세부목적'이다. 이 영역에서 연구자는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방향을 '주체상호적인 사랑의 소통을 위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과 '욕망의 주체를 위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하여 제시한다.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방향에 따른 세부목적은 '말하는 존재로서의 주체 구성하기'와 '욕망의 자율적 원천으로서의 주체 깨닫기'로 재구성하여 제시한다.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방향 및 이에 따른 세부목적을 재구성하는 목표는 우리의 미래세대가 주체상호적인 사랑의 소통을 이루며 사랑을 욕망하는 주체로서 살아가도록 길인도 하고자 하는 데 있다. 두 번째 영역은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과제 및 이에 따른 세부내용'이다. 이 영역에서 연구자는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과제를 '아가페적 사랑의 욕망 패러다임으로 전환하기'와 '사랑의 교육과정을 통해 전인성 형성하기'로 재구성하여 제시한다. 이에 따른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세부내용은 '아가페적 사랑의 욕망의 진실 깨닫기'와 '일상의 삶에서 아가페적 사랑 실천하기'로 재구성하여 제시한다.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 과제 및 세부내용의 재구성 목표는 우리의 미래세대가 아가페적 사랑의 욕망 패러다임으로 전환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을 통해 일상의 삶에서 아가페적 사랑을 실천하며 사는 전인적 '욕망의 주체'가 되도록 길인도 하는 데 있다. 이에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생애주기별(태아기, 영유아기, 아동기)로 돌토의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실제를 제시한다. 결론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물이 현장에서 활용되기 위해 요구되는 교육적 실천을 제안하고, 본 연구 결과물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및 전망을 함으로써 본 연구의 여정을 마무리 한다.

국제항공테러협약의 관할권 연구 (A Study on Jurisdiction under the International Aviation Terrorism Conventions)

  • 김한택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9-89
    • /
    • 2009
  • 본 논문은 5대 국제항공테러범죄협약, 다시 말해서 UN의 전문기구인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 제정된 1963년 도쿄협약, 1970 헤이그협약, 1971 몬트리올협약, 1988년 몬트리올 의정서 그리고 1991년 가소성폭약협약에 규정된 관할권조항의 내용과 그 문제점을 연구하였는데 국제항공테러 협약의 관할권을 연구하면서 얻은 결론을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테러협약의 관할권규정에서 공통으로 발견되는 것은 어느 협약도 관할권의 우선순위를 명시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결국 하이재킹 된 항공기가 착륙한 국가와 항공기등록국간 관할권문제가 발생하는데 대부분의 경우 착륙국이 하이재커를 처벌하는 예가 많다. 둘째, 국제법상 전통적인 관할권이론에서 많은 이론이 제기되었던 소극적 국적주의(passive personality principle)가 국제항공테러협약의 제정 이후 각종 국제테러협약에서 점차적으로 발전되어가고 있는 경향을 볼 수 있다. 1973년의 뉴욕협약 제3조 1항, 1979년 인질협약 제5조 1항 (d) 그리고 1988년 로마협약 제6조 2항 (b)가 그 예이다. 또한 1979년 인질협약 제5조 1항 (c)와 1988년 로마협약 제6조 2항 (c)에서는 자국에게 작위 또는 부작위를 강요하기 위한 범행의 경우에도 그 대상국가가 관할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하고 있다. 만일 장래에 국제항공테러협약이 개정이 될 경우에는 국제항공 테러범죄를 좀 더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소극적 국적주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헤이그협약이나 몬트리올협약은 범인의 국적주의를 부여하고 있지않으나 인질협약은 제5조 1항 (b)에 인질억류범의 국적국가에게 관할권을 부여하고 있다. 만일 A국가의 국민이 어떤 국가나 제3자의 작위나 부작위를 강요할 목적으로 B국가에서 인질을 억류했다면 A국가도 그자에 대한 관할권을 행사할 권리를 가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만일 국제항공테러협약이 개정이 될 때는 이 문제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인질협약 제 5조 1항 (b)는 무국적자가 상주하는 국가에서 만약 그가 인질억류범죄를 행했고, 그 국가가 그렇게 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고려하는 경우 그에 대하여 관할권을 행사할 권리를 부여한다. 이와 같은 목적에서 볼 때 무국적거주자를 국민과 동일하게 보고 있는데 헤이그협약이나 몬트리올협약에서는 없는 조항이다. 만일 국제항공테러협약이 개정이될 때는 이 문제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