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Records

검색결과 2,018건 처리시간 0.026초

내신 성적에 의한 일반계고등학교 입학전형방법에 관한 교사와 학생 인식 분석 - B 광역시를 중심으로 - (Analyzing Recogni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about the Method of Entering General High School by School Life Records)

  • 성병창;박소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452-461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rvey and analyze the recogni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about methods for entering general high school. For this study, firstly current methods for entering general high school of 16 offices of educa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Secondly recognition of teachers in middle school or high school and of students in middle school about methods for entering general high school were surveyed and analyzed. Major consequenc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ost teachers preferred the method by both school life records and the entrance test but most students preferred the method by school life records. Secondly, teachers recognized the difference of school life records according to sex and school and the decrese of academic achievement from decrese of motive for studies as serious problems of general high school entrance method by school life records. Thirdly, students recognized competition among students in the same school and the difference of school life records according to sex as serious problems of general high school entrance method by school life records.

국내 학교기록물 분류기준표의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A Study of Managing System and Plans on the School Records Classification Scheme in Korea)

  • 선여울;김포옥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3-85
    • /
    • 2009
  • 학교기록물은 기록물관리에 대한 개념조차 전혀 인식하고 있지 못한 초중등 일반교사들이 기록물을 직접 생산, 관리하고 있는 실정으로 인해 기록관리상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각급 학교기록물 분류기준표의 구성항목의 문제점과 관리운영의 실태를 면밀히 조사 분석하여 그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개선 내용으로는 먼저 기능분류체제의 완성과 업무의 표준화 및 상세 매뉴얼의 개발 그리고 관리 범위의 확장 및 평가 절차 강화 등을 강조하였다.

종이의무기록과 전자의무기록의 기재 충실도 및 일치도 비교 연구 : 의사의 입원.퇴원기록지와 간호사의 입원.퇴원간호정보기록지를 중심으로 (A Study of Comparing the Paper-Based Medical Record with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on the Level of Medical Record Completeness and the Accordance)

  • 신아미;정선주;이인희;손창식;박희준;김윤년;윤경일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2
    • /
    • 2010
  • This study was tried to evaluate the level of completeness and the accordance in electronic medical records by comparing paper-based medical record in doctor's admission records, discharge summary, and nursing information records. Medical records of inpatients of neurology department that the 100 paper-based medical records in 2004 and 100 electronic medical records in 2006 were targeted. Existence of record items and doctor-nurse record accordance were evaluated in doctor's admission record, discharge summary, admission nursing information record, and discharge nursing information record. There were not any differences between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paper-based medical records in doctor's admission record and discharge summary. Electronic medical records had less missing records than paper-based medical records in admission and discharge nursing information records. Electronic medical records showed higher accordance than the paper-based medical record in doctor-nurse record generally, but there were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only medication, allergy, smoking, and drinking (p<0.05). In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the quality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are better than paper-based records in nursing information record and doctor-nurse record agreement.

  • PDF

폐교(초·중·고)기록물 이관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공공기록물법 제정 이후 (Investigating the Transfer Status and Improvement Strategies for Records from Defunc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fter the Enactment of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 전다솜;이지수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13-135
    • /
    • 2023
  • 이 연구는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1999년 이후 전국의 폐교(초·중·고)기록물 이관현황(보존기간, 유형별, 이관장소)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한 연구이다. 17개 시·도 교육청을 대상으로 한 정보공개 청구 결과, 1999년 이후 전국의 폐지학교는 총 1,411개로, 초등학교, 고등학교, 중학교 순으로 집계되었고, 보존기간별로는 1년-10년 기간의 기록물이 30년-영구 기간의 기록물보다 수량이 많았다. 유형별로는 전자기록물, 종이기록물, 행정박물, 시청각기록물 순으로 집계되었고 비전자기록물 대부분은 통합학교로 이관되고 전자기록물은 표준기록관리시스템(RMS)으로 이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지역 교육(지원)청 소속의 기록연구사 총 10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실시한 결과, 폐교기록물 관리 지침 부재로 인해 체계적인 이관과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며 지역별 기관별 편차가 크다는 점, 웹기록물, 행정박물, 시청각기록물 이관의 어려움이 크고, 물리적 시스템적 이관 장소의 문제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을 종합하여 폐교기록물 관리 지침의 제정, 전담부서 신설 및 인력 배치, 전산시스템 개선을 향후 폐교기록물 이관 및 관리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학교기록물의 보존기간 적합성여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evance of Retention Period for School Records)

  • 최윤정;남태우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7-142
    • /
    • 2012
  • 본 연구는 2011년 1월부터 전국의 각급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록관리기준표를 대상으로 각 단위과제에 책정된 보존기간의 적합성여부를 분석하였다. 기록물분류기준표에서 기록물 철단위로 책정되었던 보존기간은 기록관리기준표 도입 이후 단위과제 단위로 보존기간이 재 책정되었다. 그러나 재 책정된 학교기록물의 보존기간은 기록물관리법에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규정하고 있는 7개의 보존기간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기록물의 단위과제에 책정된 보존기간에 대하여 법령 및 지침, 설문결과, 해외사례 측면에서 다각도로 적합성여부를 분석하였다.

KDI 대학원의 기록관리 체계구축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Establishing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 in the KDI School)

  • 정혜경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24
    • /
    • 2007
  • 본 사례연구는 KDI국제정책대학원이 체계적인 기록물의 관리를 위하여 적용했던 기록관리학의 원칙 및 방법론, 그리고 이를 실제로 적용해 나가는 과정을 기술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사례연구는 그 이전의 사례연구들과 달리 모형개발부터 시스템 구축까지 전 과정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포괄적이라 할 수 있다. KDI대학원에서는 오랜 기간 동안 특별한 체계 없이 방치되어 왔던 기록물과 아카이브즈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포괄적인 개념의 기록관을 구축하였다. KDI대학원에서 기록관리의 도입은 행정정보화 및 지식정보화를 지원하고 대학원의 성과와 역사적 면모를 유지 전승할 수 있는 지침을 마련하는 토대가 되었다. 아울러 이번 사례연구는 타 대학 또는 기관에서 기록관리 체계 구축사업을 할 때 유용한 가이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학교 기록물 분류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학교 기록관리기준표 분석을 중심으로 (Causes and Countermeasures of School Records Misclassifications : Focusing on the 'General Disposition Authority for School Records')

  • 우지원;설문원
    • 기록학연구
    • /
    • 제58호
    • /
    • pp.299-332
    • /
    • 2018
  • 이 연구는 학교 기록물 분류의 현황을 분석하여 오분류 실태와 그 원인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기록관리기준표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표본으로 설정된 초, 중, 고 4개 학교가 1년 동안 생산 접수한 기록물을 전수 분석하여 오분류로 의심되는 사례들을 파악하였다. 오분류의 원인 분석과 대안 제시를 위해 행정실장 2명, 공 사립 주무관 2명, 기록연구사 7명 등 총 11명의 자문단을 구성하여 2차에 걸친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학교 기록관리기준표에 제시된 공통업무를 중심으로 오분류가 빈번히 이루어지는 33개의 단위과제를 선별하였고, 이들 단위 과제를 중심으로 오분류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오분류의 핵심 원인을 2가지로 유형화하였으며 이러한 원인별로 해설 보강과 복잡한 업무에 대한 업무흐름도 추가라는 기록관리기준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청 지원 학교역사관 운영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chool History Archives Support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 권수정;김지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1-40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역사기록을 수집 및 보존, 활용하는 학교역사관의 실질적인 운영 현황을 조사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의 유형을 학교가 주체가 되어 학교 내에 역사관을 설립하는 단위학교형, 교육청이 지역적으로 동일한 생활권에 있는 학교들의 공동 역사관을 설립하는 통합형 역사관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학교역사기록과 학교역사관의 유형과 기능을 파악하고 해외의 학교역사관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어 서 국내 현황 조사를 위해 교육청 지원 사업을 통해 학교역사관을 구축한 6개의 단위학교와 5개의 교육지원청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수행하였으며 학교역사관 운영 전반, 기록 수집 현황, 정리 및 보존 현황, 기록정보서비스 현황으로 영역을 구성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단위학교형과 통합형 학교역사관의 운영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운영, 기록관리, 기록정보서비스 측면에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단위학교형과 통합형 역사관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역사관을 설립하여 운영하고 발전시키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우리나라 공과대학 연구실 연구기록의 체계적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s for Systematic Management of Research Records in Engineering School Laboratories in Korea)

  • 최현옥;이해영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9-139
    • /
    • 2010
  • 연구의 진실성을 검증하거나 특허권 관련이나 지식재산권에 관한 법적 분쟁에 대응하기 위하여 연구기록은 증거로도 매우 중요하며, 이전 연구의 정보 제공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그러나 공과대학 연구실의 연구기록 관리는 아직 초보적 단계이며, 관련 규정 및 모범 사례도 부족하여 체계적인 연구기록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과대학 연구실의 현황을 알아보고, 문제점들을 분석해보고, 효율적인 연구기록 관리를 위해 관련 규정 및 프로세스의 정비, 연구기록관리 과정의 체계화, 연구자 교육 및 인프라 구축 등의 체계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Agreement of Iranian Breast Cancer Data and Relationships with Measuring Quality of Care in a 5-year Period (2006-2011)

  • Keshtkaran, Ali;Sharifian, Roxana;Barzegari, Saeed;Talei, Abdolrasoul;Tahmasebi, Seddigheh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3호
    • /
    • pp.2107-2111
    • /
    • 2013
  • Objectives: To investigate data agreement of cancer registries and medical records as well as the quality of care and assess their relationship in a 5-year period from 2006 to 2011. Methods: The present cross-sectional, descriptive-analytical study was conducted on 443 cases summarized through census and using a checklist. Data agreement of Nemazi hospital-based cancer registry and the breast cancer prevention center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ir corresponding medical records through adjusted and unadjusted Kappa. The process of care quality was also computed and the relationship with data agreement was investigated through chi-square test. Results: Agreement of surgery,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data between Nemazi hospital-based cancer registry and medical records was 62.9%, 78.5%, and 81%, respectively, while the figures were 93.2%, 87.9%, and 90.8%, respectively, between breast cancer prevention center and medical records. Moreover, quality of mastectomy, lumpectomy,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services assessed in Nemazi hospital-based cancer registry was 12.6%, 21.2%, 35.2%, and 15.1% different from the corresponding medical records. On the other hand, 7.4%, 1.4%, 22.5%, and 9.6%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quality of the above-mentioned services assessed in the breast cancer prevention center and the corresponding medical record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data agreement and quality assessment. Conclusion: Although the results showed good data agreement, more agreement regarding the cancer stage data elements and the type of the received treatment is required to better assess cancer care quality. Therefore, more structured medical records and stronger cancer registry systems are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