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Library Consulting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8초

학교도서관컨설팅 장학 모형 구안 및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Consulting Supervision Model and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in School Libraries)

  • 박주현;홍현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17-248
    • /
    • 2014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컨설팅 장학 모형을 구안하고 학교도서관 문제진단을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교도서관은 공교육 시설로서 단위학교의 교육목표로부터 국가수준의 교육목표 달성에 이바지해야 한다. 학교도서관이 학교도서관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학교교육을 개선해야 하는 책무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때, 학교도서관교육을 위한 컨설팅 장학과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7개의 구성요소로 학교도서관컨설팅 장학 모형을 구안하였고, 시 도교육청 평가, 학교평가, 학교도서관평가 영역과 지표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6개의 평가영역과 72개의 평가지표를 제시하였다. 평가기관은 자관 교육목표에 따라 제시된 평가지표를 취사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평가결과를 컨설팅 장학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학교도서관 컨설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사서교사 미 배치 학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School Library Consulting: Based on the Schools not Employing a Teacher Librarian)

  • 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35-353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특히 사서교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학교도서관의 컨설팅을 활성화하기 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학교도서관 지원단을 통한 컨설팅은 자발성, 전문성, 자문성 그리고 독립성이 부족하다. 그리고 교육청이 마케팅 차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늘날 학교 컨설팅의 중요한 목적은 단위학교 공동체 중심의 자주적 문제해결능력을 신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학교도서관 컨설팅의 성공을 위해서는 연합운영체제 구축, 표준업무지침서 개발, DLS를 활용한 온라인 컨설팅 체제 구축 그리고 컨설던트의 직무분석과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PDF

학교도서관 평가의 방향성 탐구 (Exploring the Direction of School Library Assessment)

  • 이지연;이연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227-26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평가 실태를 분석하여 학교도서관 평가의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으려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교육부, 교육청 및 문화체육관광부를 중심으로 수행되는 학교도서관 관련 조사, 컨설팅 및 평가를 메타평가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각 기관의 평가 중복, 국가의 학교도서관 발전계획의 반영 미비, 공모형 평가로 인한 참여율 저조, 교육 평가지표 미비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의 개선방안은 법률에 평가 주체의 역할 명시, 국가의 도서관 발전계획의 반영, 기관 간 평가 네트워크 구축, 사례 공유 시스템 운영, 교육청의 조사 및 컨설팅과 전국 도서관 운영 평가의 연계 방안 마련을 제안하였다.

도서관 이용 활성화를 위한 시각장애인학교 도서관 프로그램 연구 (Use of School Libraries and Effects of Library Programs for Visually Impaired Children)

  • 이지연;전정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3-48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시각장애인학교 도서관의 운영방향에 대한 기틀을 마련하고, 도서관 프로그램에 대한 실제 이용자의 인식정도를 반영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국내 시각장애 학교도서관 세 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시각장애인학교 도서관 프로그램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프레임워크의 적용가능성 및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팀과 각 학교의 교사 간의 협의를 통하여 각 학교의 상황에 맞는 총 10개의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실제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조사한 결과 도서관 이용 빈도, 독서량, 도서관에 대한 인식, 정보활용 및 자기주도적 학습의지의 영역에서 모두 긍정적인 반응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onstruction of Scientific Impact Evaluation Model Based on Altmetrics

  • Li, Jiapei;Shin, Seong Yoon;Lee, Hyun Cha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5권3호
    • /
    • pp.165-169
    • /
    • 2017
  • Altmetrics is an emergent research area whereby social media is applied as a source of metrics to evaluate scientific impact. Recently, the interest in altmetrics has been growing. Traditional scientific impact evaluation indictors are based on the number of publications, citation counts and peer reviews of a researcher. As research publications were increasingly placed online, usage metrics as well as webometrics appeared. This paper explores the potential benefits of altmetrics and the deep relationship between each metrics. Firstly, we found a weak-to-medium correlation among the 11 altmetrics and visualized such correlation. Secondly, we conduct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altmetrics of social media, divided the 11 altmetrics into four feature sets, confirming the dispersion and relative concentration of altmetrics groups and developed the altmetrics evaluation model. We can use this model to evaluate the scientific impact of articles on social media.

Text Mining and Visualization of Papers Reviews Using R Language

  • Li, Jiapei;Shin, Seong Yoon;Lee, Hyun Cha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5권3호
    • /
    • pp.170-174
    • /
    • 2017
  • Nowadays, people share and discuss scientific papers on social media such as the Web 2.0, big data, online forums, blogs, Twitter, Facebook and scholar community, etc. In addition to a variety of metrics such as numbers of citation, download, recommendation, etc., paper review text is also one of the effective resources for the study of scientific impact. The social media tools improve the research process: recording a series online scholarly behaviors. This paper aims to research the huge amount of paper reviews which have generated in the social media platforms to explore the implicit information about research papers. We implemented and shown the result of text mining on review texts using R language. And we found that Zika virus was the research hotspot and association research methods were widely used in 2016. We also mined the news review about one paper and derived the public opinion.

중고등학교 필독도서목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st of must books in middle schools)

  • 변우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4권
    • /
    • pp.243-274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selection,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Must Books List in middle schools. A great book can change a person's life and future. Especially, reading in the juvenile period is important because of their intellectual curiosity and sensitivit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necessity of Must Books can be considered in two perspectives : One is the cultivation of emotion and sense of value and the other is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bilities. 2. The general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Must Books are whether a book is su n.0, pportive of learning activitie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of activities for school festivals. And whether a book is contributing to the building of good characters of students or not should be considered, too. 3. The special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such matters as the organizational and distributional ratio among subjects of the Must Books, the degree of difficulties, the ratio of books for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ratio of foreign books to domestics, the possibilities of further reading and the bibliographical matters. 4. The points to be duly considered for the management of Must Books List are the educational considerations, clearness of objectives, the elimination of commercialism and authoritarianism in the book selection. The Must Books List should be managed autonomous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and be updated annually. However,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e teacher should be a good reader himself. 5. It is better to include short stories than the long one in the Must Book List. Students should be guided to read explanatory text first and then to move to the original text. And they should be exposed to books in various subjects and not to be too dependent on the Must Books List. They should be able to develop the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the reading of the Must Books. 6. Finally, the Must Books selection committee should be composed of both teacher librarian and subject teachers. It is desirable that books for the cultivation of emo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sense of value, and for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bility should be selected by consulting the various reading lists compil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Board of Local Education and other authorities concerned.

  • PDF

사염화에틸렌(PCE)으로 오염된 국내 4개 지역 지하수 내 생물학적 PCE 탈염소화 활성 및 미생물 군집의 비교 (Evaluation of Microbial PCE Reductive Dechlorination Activity and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using PCE-Contaminated Groundwater in Korea)

  • 김영;김진욱;하철윤;권수열;김정관;이한웅;하준수;박후원;안영호;이진우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0권2호
    • /
    • pp.52-58
    • /
    • 2005
  • 본 연구는 사염화에틸렌(Perchloroethylene) 또는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으로 오염된 국내 지하수 내에 국외에서 보고된 환원성 탈염소화 미생물의 존재 유무와 사염화에틸렌의 생물학적 탈염소화 활성도를 평가하였다. 마이크로코즘 테스트(microcosm tests)는 4개의 오염지역(창원 A, 창원 B, 부천 및 양산) 지하수와 다양한 전자공여체 (sodium lactate, sodium propionate, sodium butyrate, sodium fumarate)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단일 전자공여체 와 창원 A 혹은 창원 B 지하수를 주입한 전 마이크로코즘에서 사염화에틸렌 완전 탈염소화 분해 시 발생하는 최종 산물인 에틸렌이 배양 90일 후에 검출되었고, 부천 혹은 양산 지역의 지하수를 주입한 마이크로코즘에서는 배양 90 일 후 시스-1,2-디클로로에틸렌(cis-1 ,2-Dichloroethylene)만이 검출되었고, 염화비닐(Vinyl chloride) 과 에틸렌은 검출되지 않았다. 완전 탈염소화 생분해가 확인된 창원 B 지역 지하수와 불완전 탈염소화 생분해가 확인된 양산 지역 지하수 내 미생물 군집을 비교하기 위해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창원 B 지역 지하수의 클론 라이브러리(Clone library)에서 사염화에틸렌 완전 탈염소화 미생물, uncultured bacterium clone DCE47과 매우 유사한 염기서열 클론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양산 지역의 클론 라이브러리에서는 기존의 염화에틸렌 탈염소화 미생물과 유사한 염기서열 클론이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국내 일부 지역의 지하수 내에 사염화에틸렌을 완전 탈염소화하여 무해한 에틸렌으로 분해하는 미생물이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적절한 전자공여체를 공급하는 경우 그 분해 활성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사염화에틸렌 혹은 트리클로로에틸렌으로 오염된 국내 지하수를 경제적인 공법인 환원성 탈염소화 생물학적 공정으로 복원할 수 있는 기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라고 사료된다.

소셜네트워크 분석과 Co-word 분석을 사용한 Altmetric 연구 개발동향 (Development Tendency of Altmetrics Research: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and Co-word Analysis)

  • 이현창;이가배;신성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089-2094
    • /
    • 2017
  • 알트메트릭스는 인용을 기반으로 한 전통적인 지표를 보완하기 위한 측정 지표이면서 정략적 데이터이다. 이러한 알트메트릭스 에 관한 연구는 지난 몇 년간 전통적인 계량 정보학의 보완에 힘입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해오고 있다. 본 논문은 알트메트릭스 연구 현황과 동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총 187건의 논문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2005년이후로 알트메트릭스 연구에 지속적인 상승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분석과 co-word 분석을 사용하여 저자 협동 네트워크와 키워드 공존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계층적 클러스터링으로 4개의 알트메트릭스 연구가 발견되었으며, 그 결과는 알트메트릭스의 추후 연구에 매우 유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