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Libraries

검색결과 554건 처리시간 0.029초

공공도서관 서비스 포인트 확충을 위한 개방형 학교도서관 운영방안연구 -경기도지역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Management Plans of the Open-Style School Library for the Expansion of Public Library Service-Points)

  • 김지봉;이재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7권1호
    • /
    • pp.1-14
    • /
    • 2008
  • Gyeonggi Province is trying to increase the number of public libraries from 100 as of December, 2006 to 150 in 2010. However most of existing public libraries preferred mid-to-large scale libraries, so they were restricted to be located in around a zone of life. For this reason most local residents have been excluded from right to use libraries and have difficulties to get library services for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The alternative to the small library is a school library. Both schools and public libraries are located in around a zone of life because residents can get an access to them easily. First, considering that small-scale public libraries of communities usually service about 10,000-20,000 people, I estimate that an open-style school library services 24class, 840people (24class*35people) of elementary school by 2003 Korean Library Standard (edited by Korean Library Association). Second, it requires systematic protection policies so that the open-style school of library can function as a local public library and a part of library cooper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local plans. All the open-style school libraries don't intend to open and we had better consider the suitable service areas. Third, it's desired for the management efficiency that the open-style school libraries being established afterward are divided into a branch-scale, a hall-scale and so on, not being uniform management model. And it also needs that one of them in the area enlarges the scale, and then supports other school libraries. According to these results of the research, as cooperation between the public library policy of a local government and school library policy, it needs a systematic support.

  • PDF

학교마을도서관 운동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istory of School and Community Libraries Movement in Korea)

  • 변현주;조미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1-170
    • /
    • 2016
  • 본 연구는 학교마을도서관의 태동, 성장, 발전, 확산을 통한 성과요인을 분석하고 현 단계 학교마을도서관 운동의 과제는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학교마을도서관 운동과 관련된 관계자와 인터뷰를 수행하였으며 다양한 문헌자료를 수집하였다. 학교마을도서관 운동의 추진과정을 태동기, 성장기, 발전기, 확산기, 전환기의 5단계로 구분하였다. 학교마을도서관의 역사에 나타난 학교마을도서관의 운영 성과와 의미를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마을도서관은 문화소외지역 중심으로 개설되어 공공도서관의 부족과 작은도서관의 편중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하였다. 둘째, 농 산 어촌 지역의 소규모 초등학교에 부족한 장서를 제공함으로써 학교도서관의 운영이 활성화되었다. 셋째, 학교도서관의 운영인력과 장서, 공간을 활용하여 지역주민에게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도서관 서비스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었다. 넷째, 학교마을도서관이 지역 커뮤니티 거점 도서관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의 공동체 의식이 강화되고 커뮤니티가 활성화되었다.

중등학교 학교도서관 이용자 인식 및 요구 특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in User's Cognition and Needs for Secondary School Libraries)

  • 황혜정;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45-264
    • /
    • 2015
  • 본 연구는 중등학교를 대상으로 학교도서관의 이용주체인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규명하고, 이용주체의 특성에 따른 학교 급에 따른 효과적인 학교도서관 운영 개선 방향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를 위해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에 대한 시설 및 환경, 장서 및 자료, 프로그램, 기타사항, 학교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에 접근하는 방법 등에 대한 인식과 요구수준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학교도서관 운영 방향으로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차이에 기반을 둔 학교도서관의 지향점 설정 및 학교도서관 운영 전반을 제시하였다. 후속 연구로 중등학교 학교도서관에 대한 동일 학교급내 학년별 차이에 대한 규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한국군 교육기관 도서관의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ilitary Educational Institutions Libraries in Korea)

  • 오수국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5-95
    • /
    • 1997
  •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23 libraries affiliated with educational institutions of the Korean miltary. Materials and data used in this analysis were obtained from a variety of statute books, Korean Library Association publications, past works in military-related researc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ith library staff. For each military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background to its foundation and Its current operations are briefly reviewed. Library characteristics subjected to analysis pertain to the following 8 areas: location and architecture, stack arrangement, furniture and furnishings, personnel, service elements, budget, book stock, and extent of computerization. The affiliated library (consisting of reading rooms and/or stack rooms) is then classified as belonging to one of the following three levels: graduate-school level (total of 4 libraries), university level (5 libraries), and technical-school level (14 libraries). When necessary. particular libraries are examined in detail. This research reveals that while most graduate-school and university level libraries are being operated on a relatively sound basis, there are significant disparities among university level libraries. As for technical-school level libraries, the lack of professional staff and service elements for users is seriously impairing their operations. In order to address these problems and support military education and research in the age of segyehwa and informa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Korean military formulate comprehensive measures to modernize library facilities and improve their operations.

  • PDF

색채 분석을 통한 학교도서관 실내 이미지 연구 (A Study of the Interior Image based on the Color Analysis in School Libraries)

  • 지수민;강봉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7-45
    • /
    • 2024
  • 본 연구 목적은 학교급별 학교도서관에 사용된 색채를 분석하고 색채가 주는 형용사 이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15개 학교도서관 이미지를 KSCA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색채를 추출하여 색상, 명도, 채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추출된 색을 I.R.I 이미지 스케일을 이용하여 형용사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색상은 초등학교와 고등학교에서는 YR (Yellow Red), N (Neutral), Y (Yellow) 계열 순으로 사용되었으나 중학교에서는 YR (Yellow Red), N (Neutral), R (Red) 계열 순으로 나타났다. 모든 학교도서관에 사용된 색채의 명도는 평균적으로 중명도가 사용되었으며, 채도는 낮은 채도로 이루어져 있었다. 색채의 형용사 이미지는 '점잖은'이라는 형용사가 학교도서관에서 가장 많이 도출되었다. 학교도서관은 학교급별로 공간구성 색채에 있어 특별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비슷한 색채와 형용사 이미지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도서관 관계법령의 문제점과 개정방향 (The Problems in School Library Laws and Some Suggestions for Revision)

  • 변우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31-360
    • /
    • 2001
  • 학교도서관은 교사와 학생들의 교수·학습활동을 지원하고, 학교의 교육과정 전개에 이바지할 수 있어야 한다. 최근, 교육부가 추진하고 있는 자기주도적 학습은 자료중심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문제해결능력을 길러주자는 것이다. 자료중심교육은 학교도서관을 떠나서 생각할 수 없는 문제이다. 모든 도서관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학교도서관은 정부의 제도적, 행정적인 뒷받침이 없으면 발전할 수 없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 동안 정부당국의 무관심과 입시위주의 교육 때문에 거의 빈사상태에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학교도서관 관계법령을 개정하여 제도적으로 정착시켜야한다. 어떠한 제도나 조직의 발전은 결국 사람의 문제로 귀결된다고 보아야 한다. 아무리 좋은 법령을 만들고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두어도 행정적인 지원과 뒷받침이 없으면 그 제도나 조직은 발전할 수 없다. 그 조직에 대한 관계기관의 애정어린 관심과 발전에 대한 강력한 의지가 있어야 한다.

  • PDF

학교도서관의 학교미디어센터화를 위한 3단계 전략 연구 (A Study on Three Step Strategy for the Transformation of School Libraries into School Media Centers)

  • 함명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01-125
    • /
    • 2003
  • 본고는 학교도서관의 3수준 중에서 수준2에 해당하는 학교전자도서관의 구축에 초점을 두고 단계별 개발 전략을 제시한다. 학교전자도서관의 구축은 곧 학교도서관의 학교미디어센터화를 말한다. 본고는 수준2인 학교전자도서관의 구축을 다시 3단계로 나누어, 학교미디어센터화를 위한3단계 전략을 제시한다. 1단계는 시설의 구축이고, 2단계는 웹 기반의 정보시스템의 구축이며, 3단계는 1단계와 2단계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협력망의 구축이다. 또, 본고는 이러한 3단계를 지원하기 위한 교육제도적 측면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초점이 있다.

의과대학도서관 현황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Medical School Libraries through the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 신영지;노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91-21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의료분야 도서관 중 의과대학도서관의 전반적인 운영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의과대학도서관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웹사이트를 기반으로 1) 독립 홈페이지 여부, 2) 서비스대상, 3) 장서, 4) 분류체계, 5) 인력, 6) 시설(면적, 열람석 수), 7) 기자재(pc, 프린트, 복사기 등), 8) 서비스로 구분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의학도서관 활성화 방안으로 첫째, 의과대학도서관의 장서, 규모, 사서 등에 대한 기준 및 가이드라인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의과대학도서관 간의 협력 커뮤니티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의과대학도서관 활성화를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의 지원, 사서의 전문화 교육, 운영 가이드라인 개발, 도서관간 네트워크 활성화 등의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향후 국가차원에서 또는 의학도서관협회 차원에서 의학도서관의 실태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도서관 프로젝트학습에서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메타인지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Motivation to Learn and Metacognition in Project-based Learning in the School Libraries)

  • 이승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25-24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프로젝트학습에서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메타인지가 어떤 관계에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환경으로 도서관 프로젝트학습을 설계하고 실행 및 평가하는 전체적인 교수-학습의 과정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 도서관 프로젝트학습에서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메타인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서관 프로젝트학습은 학습자의 메타인지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독서 멘토링 활동의 경험과 교훈 (Experiences and Lessons from the Reading Mentoring Programs in School Libraries)

  • 노지현;윤유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39-263
    • /
    • 2012
  • 학교도서관이 상황이 열악하다보니 학교도서관의 운영이나 독서교육과 관련하여 지역의 공공도서관에 도움을 청하는 학교가 적지 않다. 그러나 공공도서관이 처한 여러 가지 현안을 해결해 나가는 데에도 벅찬 실정에서 학교도서관 지원에 관한 업무까지 해나가야 한다는 사실에 공공도서관에서는 적지 않은 부담을 느끼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부산시에서는 지역대표도서관인 부산시립시민도서관과 대학의 문헌정보학과, 그리고 지역교육청이 공동으로 참여하여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독서 멘토링 활동'을 시범적으로 전개해 보았다. 이 연구는 지난 7개월 간의 경험을 토대로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독서 멘토링 활동의 효과에 대해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