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larly Publishing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5초

과학기술분야 연구자들의 데이터 출판경험 및 인식 연구 (A Study on Awareness and Experience of Data Publishing by Scientists)

  • 황혜경;정영임;조성남;서태설;김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45-68
    • /
    • 2023
  • 본 연구는 오픈사이언스 연구환경 변화가 가속화되면서 데이터 공유의 새로운 채널로 인정받고 있는 데이터 출판에 대한 국내 연구자의 경험과 인식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문헌조사와 국내 과학기술분야 5개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자와 GeoAI 데이터학회 회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 출판에 대한 인식 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연구자들은 데이터에 대한 설명제공, 데이터로의 안정적 접근, 인용, 동료심사를 통한 품질확인을 데이터 저널의 장점으로 인식하였으나, 연구실적으로써의 데이터 논문 인정에는 낮은 인식수준을 보였다. 또한 데이터 상세설명, 메타데이터 기술, 영구식별기호 부여 순으로 데이터 출판 속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리포지터리에 데이터 제출과 동료심사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데이터 출판 촉진 요인으로 데이터 논문작성과 리포지터리 연계를 지원하는 투고심사시스템 개발과 데이터 인용을 지원하는 리포지터리 개발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국내 연구자들의 데이터 출판 경험과 인식은 향후 데이터 출판 서비스와 인프라 구축을 위한 중요한 기초가 될 것이다.

What is the position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in its scholarly journal network based on journal metrics?

  • Huh, S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1권4호
    • /
    • pp.147-150
    • /
    • 2014
  • Objective: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CERM) converted its language to English only beginning with the first issue of 2011. From that point in time, one of the goals of the journal has been to become a truly international journal.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position of CERM in its scholarly journal network based on the journal's metrics. Methods: The journal's metrics, including citations, countries of author affiliation, and countries of citing authors, Hirsch index, and proportion of funded articles, were gathered from Web of Science and analyzed. Results: The two-year impact factor of 2013 was calculated at 0.971 excluding self-citation, which corresponds to a Journal Citation Reports ranking of 85.9% in the categor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In 2012, 2013, and 2014, the total citations were 17, 68, and 85, respectively. Authors from nine countries contributed to CERM. Researchers from 25 countries cited CERM in their articles. The Hirsch index was six. Out of 88 original articles, 35 studies received funds (39.8%). Conclusion: Based on the journal metrics, changing the journal language to English was found to be successful in promoting CERM to international journal status.

Patterns of Citing Korean DOI Journals According to CrossRef's Cited-by Linking and a Local Journal Citation Database

  • Seo, Tae-Sul;Jung, Eun-Gyeong;Kim, Hwanmin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권2호
    • /
    • pp.58-68
    • /
    • 2013
  • Citing literature is a very important activity for scholars in writing articles. Many publishers and libraries build citation databases and provide citation reports on scholarly journals. Cited-by linking is a service representing what an article cites and how many times it cites a specific article within a journal database. Recently,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DOIs (Digital Object Identifiers) have been increasing in number. CrossRef, a non-profit organization for the DOI registration agency, maintains the DOI system and provides the cited-by linking service. Recently, the number of Korean journals adopting DOI is also rapidly increasing. Th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KISTI) supports Korean learned societies in DOI related activities in collaboration with CrossRef. This study analyzes cited patterns of Korean DOI journal articles using CrossRef's cited-by linking data and a Korean journal citation database. This analysis has been performed in terms of publication country and the language of journals citing Korean journal articles. The results show that DOI, SCI(E) (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 and English journals are more likely to be cited internationally.

How Research in Sustainable Energy Supply Chain Distribution Is Evolving: Bibliometric Review

  • KIPROP NGETICH, Brian;NURYAKIN, Nuryakin;QAMARI, Ika Nurul
    • 유통과학연구
    • /
    • 제20권7호
    • /
    • pp.47-56
    • /
    • 2022
  • Purpose: As the need to transition into the distribution of cleaner energy has garnered corporate and scholarly interests, this study aims to track the research trends in sustainable energy supply chains for five years before 2021. Research methodology: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 bibliometric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to map the field's evolution between 2016 and 2020. Out of an initial title search result of 2,484 papers from the Scopus engine, filtering led to 180 documents obtained. The data was exported in excel format (CSV) to VOSviewer software to generate and analyze network visualization of sustainable energy supply chain trend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China's the highest publishing country, with 36 research papers. The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was the top publishing source, with 22 papers per year. These findings showed five clusters formed in the bibliographic coupling of countries. Circular Economy and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represent the current hot topics. Research gaps identified in the field included limited cross-industry testing and modifying sustainable supply chain models. Conclusion: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sustainability literature on supply chains by providing an overview of trends and research directions for scholars' and practitioners' consideration in future research.

해양과학기술분야 전문학술지의 웹기반 논문투고 심사시스템 및 전자저널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 (The Study on Implementation of the Web-based Article Submission Management System and Electronic Database in the Oceanographic Journals)

  • 한종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43-365
    • /
    • 2007
  • 과학기술분야 전문학술지의 학술논문 투고와 심사처리 전과정에 대한 영문전용의 웹기반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하여 국내외의 대표적인 사례로 Elsevier Editorial System과 KISTI-ACOMS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해양과학기술분야 전문학술지 Ocean Science Journal에 적용할 수 있는 웹기반 논문 투고심사 시스템이 구현되었다. 웹기반 시스템은 기존의 오프라인 논문심사과정에서 발생하는 원고관리, 심사기간의 지연과 원고분실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e-journal 전자출판의 기반이 자연스럽게 조성되어 효율적이고 신속한 학술정보 유통환경이 구축된다. 이러한 시스템의 개발과 활용은 과학기술분야 전문학술지의 수준제고 및 국제화 과정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전자저널 도입의 기술.경제적 타당성 검토 (Techno - Economic Issues of Electronic Journal for Implementation)

  • 설성수;남수현;윤배현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9-82
    • /
    • 1998
  • As a new medium for knowledge diffusion, E-Journal is expected to be a general type of scholarly communication. However, the techno - economic problems have hindered the advancement of the E-Journal. For the technical aspects, there are problems such as the standardization of document format, automatization of the document preparation, forward and backward link between documents. Also there are necessities for the support of the information infrastructure of digital library and information superhighway. For the economic domain, reengineering of total publishing cycle is considered and the new paradigm of peer review is analyzed. We pointed out that the main difficulties in the diffusion of E-Journal are on the promotion of service and technological advance, not the price and marketing strategy.

  • PDF

사이버스칼러쉽 환경에서의 융복합 연구 촉진을 위한 인문학 분야 학술 커뮤니케이션 특성 파악에 관한 연구 - 역사학 분야를 중심으로 - (Exploratory Study of Characterizing Scholarly Communication Patterns in Humanities for Facilitating Consilience in Cyberscholarship Environment: Based on Historians' Research Activities)

  • 유소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31-351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사이버스칼러쉽 환경이 실제 국내 인문학 연구활동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다면적이고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제 인문학 연구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고, 연구 결과물인 학술 문헌 내 내용각주를 사용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심층 면접 분석 결과 국내 인문학 연구 과정은 "기본 지식습득, 연구 및 논문쓰기('연구 아이디어 생성-관련 연구 파악-연구 데이터 획득-논리 구조화'의 순환 구조와 논문쓰기), 논문투고 및 출판"의 단계로 파악되었으며 연구 및 논문쓰기 단계를 구성하는 세부 단계의 순환구조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각 단계별로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도구/정보원/방법이 공식 및 비공식 학술 커뮤니케이션을 포함하여 다양하며, 특히 연구 데이터와 관련 연구 파악 단계에서 사이버스칼러쉽 관련 요소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와 관련 전문가 의견 수렴을 기반으로 할 때, 인문학자들이 인지하는 공동연구의 형태를 인정하고 이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원, 데이터의 디지털화와 데이터 이용을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 아키비스트의 적극 활용, 인문학 연구자들의 다양한 학술 커뮤니케이션 기반을 마련하고 제공하는 것이 인문학 기반 융복합연구 촉진을 위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문헌정보학 분야 학술지 및 학술행사 인식 연구 - 포커스 그룹 면담을 중심으로 - (Perceptions of Academic Journals and Scholarly Event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ocus Group Interviews)

  • 김수정;이종욱;정인영;오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19-345
    • /
    • 2022
  •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4개 학회(한국문헌정보학회, 한국비블리아학회, 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한국정보관리학회)가 협력하여 지원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은 4개 학회가 출간·운영하는 학술지 및 학술행사에 대한 연구자들과 실무자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발전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4개 학회의 임원들을 비롯하여 학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온 대학교수, 연구자, 사서 등 총 21명을 대상으로 6회에 걸쳐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주요한 학술지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논문 간 품질 차이가 크므로 전반적인 논문의 품질 향상을 위해 현행 심사 및 출판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 둘째, 현장 실무자의 논문 투고를 장려하고 학술지에 현장 연구를 적극적으로 게재함으로써 현장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셋째, 학술지들은 주제 범위나 현장성 반영 정도, 국제화 노력 정도 등을 다르게 함으로써 특성화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학술행사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이 제시되었다. 첫째, 대규모의 공동학술대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학술적 요구뿐만 아니라 친목 도모를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학회별로 특성화된 학술행사를 준비해야 하며 이를 위해 관련 전문직 단체와의 협력을 꾀할 수 있다. 셋째, 실무자, 신임 연구자, 대학(원)생 등의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개방형 동료심사 제도 채택 학술지 현황과 특성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n the Features of Journals Implementing Open Peer Review)

  • 김나연;정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37-560
    • /
    • 2024
  • 오픈 과학으로 진화하는 학문 생태계 속에서 개방형 동료심사는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투명성과 개방성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개방형 동료심사를 도입한 오픈액세스 학술지 118건을 대상으로 개방형 동료심사 제도 구성요소의 채택 현황과 출판사 유형, 국가·대륙별, 언어별, 학문 분야별 특성을 살펴보았다. 개방형 동료심사는 심사 보고서 또는 심사 전 논고를 공개하거나 저자와 심사자의 신원을 상호 간에 공개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되었다. 또한 학문 분야별로 채택된 구성요소 간에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출판사 유형별 비중이 큰 상업 출판사가 대체로 많이 채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유럽에 속하는 국가에서 영어로 발행되는 현황이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전통적으로 개방적인 학술 커뮤니케이션을 지향하는 의약학, 자연과학 분야에서 더욱 활발한 개방형 동료심사 제도를 찾아볼 수 있었던 반면, 복합학, 인문학 분야에서는 소수의 학술지를 찾아볼 수 있다. 이를 통해 개방형 동료심사 제도의 학술지 채택 현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개방형 동료심사제도 채택에 따른 학술 커뮤니티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저널 결합 분석을 이용한 한국 문헌정보학 저널의 입지 변화에 대한 계량서지적 분석 (Bibliometric Analysis of the Changes of Korean LIS Journals' States with Journal Coupling Analysis)

  • 이재윤;최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81-95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학술지 사이에 저자 집단의 중복 정도를 측정하는 저널 결합 분석을 통해 한국 문헌정보학 학술지의 두 가지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최근 10년 동안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의 경향을 설명했다. 가장 두드러진 추세는 기록관리학 분야가 주요 연구 분야로서 문헌정보학 영역에 정착했다는 점이다. 학술지 간의 저자 결합정도를 이용해서 투고 선호 지수 PPI (Publishing Preference Index)와 연구자 유인 지수 RAI (Researcher Attraction Index)의 두 가지 지표를 제안하였다. 분석 기간 동안 두 지수 모두 상당한 변화가 있었는데 특히 PPI 순위의 역전은 학술지 투고 저자 집단이 변화했다는 증거로 해석될 수 있다. RAI 지수 분석은 한국 문헌정보학 연구자들의 투고를 유인하는 각 학술지의 매력도를 측정하고 두 학술지 사이의 저자 공유 수준을 측정함으로써 학문분야 내에서 특정 학술지의 입지를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학문분야 내에서 비교적 독립적인 학술지를 찾거나, 강력하게 서로 결합한 학술지를 찾을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저널 결합 분석은 특정 분야나 학제적인 분야 학술지의 특성을 보여주는 효과적인 분석 방법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