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midt Hammer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5초

트리에탄올아민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현장 적용 실험 (An Experimental Application of Concrete Using TEA in Construction Field)

  • 황인성;임춘근;김성수;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3년도 학술.기술논문발표회
    • /
    • pp.23.1-26
    • /
    • 2003
  •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early strength development by application of TEA to the field. According to the results, when TEA is added, fluidity is almost same to base concrete, and increases upto aimed slump after field flowing. Setting time does not differ in the case of base and TEA, but is retarded after flowing. The time when compressive strength gains 5 MPa, which side form can be removed, is 23 hours, and so the removal time is shortened by 1hours in comparison with plain concrete. But compressive strength is almost same to that of plain concrete at 28 days. The rebound value of P type schmidt hammer show similar tendency to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rebound value of structure is higher than that of standard curing specimen due to heat capacity effect and drying by the air outside.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f the rebound value of P type schmidt hammer is controled. by about 26 in consideration of open air environment, it is very effective to determine the removal time of side forms.

  • PDF

고강도콘크리트 시공시 측면 거푸집 탈형시기의 결정 (Determination of Removal Time of the Side Form in High Strength Concrete)

  • 한천구;한민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327-33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초기재령에서 고강도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발현 특성 검토 및 해석 그리고 콘크리트와 거푸집간의 부착강도 특성을 분석하며, P형 슈미트해머를 이용한 반발도와 압축강도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하므로서 실무의 고강도콘크리트 측면 거푸집 탈형과 연관한 관련규정의 적합성을 재검토하고, 아울러 거푸집제거와 연관한 효율적인 품질관리 방법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W/B가 증가할수록 응결시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의 범위에서 로지스틱 모델에 의한 강도증진 해석 결과 압축강도 8MPa를 발휘하는 시간과 적산온도는 17${\~}$20시간, $21{\~}25^{\circ}D{\cdot}D$ 정도로 나타났다. 거푸집과 콘크리트의 부착강도는 종결시점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그 이후에는 감소함을 보였고, 거푸집에 부착되어 박리되는 콘크리트의 양은 응결이전에 크게 나타났으며, 그 이후에는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형 슈미트해머에 의한 반발도 실험결과 압축강도 발현시점보다 약 2${\~}$3시간 정도 빠르게 측정할 수 있으며, 반발도가 32 이상이면 측면 거푸집을 탈형 할 수 있는 시기로 품질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슈미트 해머 시험에 의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강도 추정식 (Strength Prediction Equations for High Strength Concrete by Schmidt Hammer Test)

  • 권영웅;박송철;김민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389-395
    • /
    • 2006
  • 실존하는 콘크리트 구조체를 평가할 때, 그 콘크리트의 강도를 알아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콘크리트의 강도를 알아내기 위하여 재하시험이나 코어시험을 하는 것은 시험비용, 편의성, 시간, 구조체에 대한 손상, 신뢰성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비파괴 시험과 통게적 해석을 통한 구조해석법이 발전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령 3, 7, 14, 28, 90, 180, 365, 730일에 대하여 28일 표준실린더 압축강도 65.0MPa인 고강도 콘크리트 구조체의 실제강도를 알기 위한 일련의 실험을 하였고, 각 실험결과를 SPSS 프로그램으로 회귀분석 하였다. 회귀분석에 의한 강도추정식과 코어강도값을 비교하여 오차율을 계산하고, 기존식과 비교하여 추정식의 유의성을 검토한 결과 기존식들은 보통강도 콘크리트에는 적용할 수 있지만 고강도 콘크리트에는 적용에 한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40MPa 이상의 고강도 콘크리트의 슈미트 해머 시험에 의한 강도 추정을 위해 다음과 같은 강도식을 제안하였다.

파괴 및 비파괴 검사를 이용한 노후 교량의 교각 두부 조사 (Inspection of A Deteriorated Bridge Pier Cap Using Common Nondestructive and Destructive Test)

  • 김태완;홍성남;한경봉;박선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91-102
    • /
    • 2008
  • 비파괴 검사 기술은 현존하는 구조물의 진단을 위해 빈번하게 사용되었고,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검사들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로는 육안적 검사, 해머 사운딩, 슈미트 해머, 그리고 토모그래피를 포함한 초음파 검사 등이 있다. 완료된 비파괴 검사 결과는 국부적으로 수행될 파괴검사의 위치를 산정하는데 사용되었다. 그래서, 압축강도, 염화물, 암석 분류 실험으로 구성된 파괴검사를 수행하였다. 비파괴검사와 파괴검사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교각두부의 건전성을 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파괴 검사와 비파괴 검사의 적용과 해석, 그리고 이어지는 보수, 보강, 유지 결정 과정에 대해서 나타내었다.

선 타격 반발도 시험기의 반발도 경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Rebound Degree Tendency of Linear Hitting Test Hammer)

  • 안효수;서치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313-322
    • /
    • 2005
  • 최근 들어 리모델링시장이 점차 신축시장의 대체시장으로 부각되고, 재건축아파트에 대한 안전진단의 문제가 사회의 주요 관심사가 되면서 기존 콘크리트 구조체의 상태에 대해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구조물 진단 및 평가가 요구되고 있으며, 비파괴 시험방법에 의한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추정하기 위한 데이터의 신뢰성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 타격 개념의 반발도 시험기를 적용하여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 재령 및 타격각도에 따라 선 타격 반발도 시험기에 적용할 수 있는 압축강도 추정식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선 타격 반발도 시험기는 재령별, 타격각도별로 별도의 추정식을 제안하는 것이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압축강도와 반발도 사이의 상관관계는 초기 및 중기재령, 그리고 타격각도별로 초기재령 $-45^{\circ}$를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선 타격 반발도 시험기 25mm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슈미트해머에 비해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Rock Test Hammer를 사용한 초고강도 콘크리트 강도추정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ng the Ultra-High Strength Concrete using Rock Test Hammer)

  • 남경용;김성덕;최석;이영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29-237
    • /
    • 2019
  • 본 논문은 암반용 압축강도테스트 해머를 이용하여 초고강도 콘크리트 모의부재 압축강도 실험을 통한 강도추정에 대해서 검토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본 실험 데이터값을 토대로 기존에 주로 사용되던 강도 추정식을 적용할 경우 각 식마다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압축강도 30MPa 이상으로 갈수록 실측 데이터를 과소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강도 영역에서 실측치의 분포범위를 크게 벗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W/B 종류별 타격방향 및 굵은 골재 유무와 상관없이 암반용 테스트 해머가 N형 슈미트 해머보다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모르타르가 콘크리트보다 좀 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굵은 골재 유 무에 따른 모의부재 반발도 측정결과 모르타르(2.26%/1.36)의 변동계수와 표준편차가 콘크리트(4.06%/2.5)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굵은 골재의 치수가 작을수록 변동계수가 작아져 보다 정확한 값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현무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슈미트 햄머법 비파괴 시험에 의한 강도 평가 (Evaluation of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Using Aggregate of Basalt by Schmidt Hammer Testing)

  • 김상우;표대수;홍상희;이백수;한천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57-262
    • /
    • 200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compressive strength and rebound number of Schmidt hammer of concrete using basalt aggregate to that using granite aggregate. And is to provide the reference data on the standardization of nondestructive test of concrete. According to test results,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using basalt aggregate is highly estimated under the same rebound number compared to that using granite aggregate about 5~15%. It is urgently that newly suggested estimation formula of compressive strength using basalt aggregate must be prescribed because estimation formula of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using basalt aggregates overestimates the strength compared to that using granite aggregate.

  • PDF

감은사지(感恩寺址) 서탑출토(西塔出土) 보단측면석(步段側面石)의 보존처리(保存處理) (Conservation Treatment of Stairway-side Stone Panels Taken Out from West Pagoda of Gameunsa-site)

  • 김종우;정태화;정수연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9권
    • /
    • pp.59-66
    • /
    • 2008
  • 국립경주박물관 옥외전시장에 전시되고 있었던 보단측면석은 과거 접합·복원부분의 풍화로 인하여 박리 및 박락이 진행되었다. 따라서 풍화된 암석에 대한 편광현미경 관찰 및 분석을 통한 암석 내의 팽윤성광물의 확인, Schmidt Hammer 반발경도 측정 및 Karsten Tube를 사용하여 모세관물흡수율을 조사하였다.

부순모래 콘크리트의 비파괴 시험에 의한 압축강도 추정 (The Compressive Strength Prediction of Crushed Sand Concrete by Non-Destructive Test Method)

  • 김명식;장희석;백동일;신남균;김강민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II)
    • /
    • pp.145-148
    • /
    • 2006
  • Schmidt hammer and ultra-sonic method are commonly used for crushed sand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test in a construction field. At present, various of equations for prediction of strength are present, which have been used in a construction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prediction strength by presentation equations and destructive strength to test specimen, and find out which is a suitable equation for the construction site, In this study, a strength test was carried out destructive test by means of core sampling and traditional test. Non-destructive test was conducted Schmidt hammer and ultra-sonic method, the experimental parameter were concrete age, curing condition, test method and strength level. It is demonstrated that the correlation behavior of crushed sand concrete strength in this study good due to the perform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core, destructive strength and non-destructive strength.

  • PDF

경기도내 농업용 저수지의 제체 및 구조물의 노후도 조사 연구 (Studies on Structural Degradation of Agricultural Reservoirs in Kyungki Province)

  • 장병욱;송창섭;박영곤;우철웅;원정윤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90-97
    • /
    • 1997
  • Field inspections and laboratory tests for 31 agricultural reservoirs in Kyungki province were perfor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maintenance and rehabilitation of agricultural reservoirs and to evaluate structural degradation of agricultural reservoir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From survey's results of embankments, signs of settlement and lateral movement are appeared in 17 reservoirs. Crest settlement of 20~80cm, downstream settlement of 10~90cm, and 20~160cm lateral movement of embankments are detected from settlement and movement analysis of 17 reservoirs. Crest and downstream settlements and lateral movement are greatly occurred in 20 ~ 40 years after embankment construction. 2) About 39% of total reservoirs shows seepage problems occurred in the lower part of berm and retaining wall located between embankment and spillway. Probability of seepage problems is higher at retaining wall than others. 3) Concrete strength estimated by Schmidt hammer in structures of reservoirs is a range of 100~l50kgf/$cm^2$ and average deviation of concrete strength is about l0kgf/$cm^2$. Strength difference$({\delta}S)$ between compressive strength estimated by Schmidt hammer and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core is about $\pm$100kgf/$cm^2$. This difference is due to absence or presence of reinforced bar in concrete core, variable length of concrete core and limitation of Schmidt hammer. 4) About 68% of total reservoirs shows leaching, 58% alkali-aggregate reaction and 71 % abrasion/frost. Leaching, alkali-aggregate reaction and abrasion/frost occurred in most reservoirs when passed 10 years after construction of structure par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