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ema Mapping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7초

전기차와 전력계통의 정보교환을 위한 전기차 충전장치의 통신 제어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ommunication Controller of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Electric Vehicle and Power Grid)

  • 한아;신민호;김인택;장혁수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3권11호
    • /
    • pp.1564-1570
    • /
    • 2014
  • An electric vehicle (EV) not only receives electric power from the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 but it also exchanges the information regarding charging process with the power gird through the EVSE. However, the EV and EVSE communicate using the ISO/IEC 15118 standard while the EVSE and power grid communicate using the IEC 61850 standard. Therefore, the EVSE should support both the ISO/IEC 15118 and IEC 61850 standards, and provide a data mapping function between the two communication protocols so that the EV and power grid, which support different protocol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out the charging proces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apping method of the EVSE, which converts the ISO/IEC 15118 data to IEC 61850 and vice versa, based on the XML schema of each protocol. The proposed method converts the data using the XSL (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 method, which defines the data mapping between two XML schemas. Our approach is more flexible and easier to maintain against changes in charging scenarios and the standards than other existing approaches such as one-to-one data mapping methods.

공통 문서 구조 추출을 통한 XML DTD의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스키마 변환 기법 (A Transformation Technique of XML DTD to Relational Database Schema Based On Extracting Common Structure in XML Documents)

  • 안성은;최황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9D권6호
    • /
    • pp.999-1008
    • /
    • 2002
  • XML은 W3C에 제안된 마크업 언어고 HTML의 단순함과 SGML의 복잡함을 극복하여, 웹 상에서 데이터를 표현하고 교환하기 위한 표준으로 등장하고 있다. XML 문서를 질의 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XML 문서 전용 질의 언어가 개발되고 있지만, 데이터의 양이 증가한다면 결국 막대한 양의 데이터를 처리 할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XML DTD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스키마로 변환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XML 데이터의 스키마 역할을 하는 DTD의 트리 구조를 생성하여, XML 데이터들의 공통구조와 비공통구조를 추출한 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추출하는 기법이다. 추출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는 기존의 방법들에 비해 생성 테이블 수가 적으며, 널(NULL)값의 출현을 감소시킨다. 또한, 제안기법은 XML 데이터를 보다 적은 테이블로 맵핑(mapping)시킴으로써 데이터 검색 시 참조 테이블 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질의 처리 시에도 성능 면에서 우수함을 보인다.

XML DTD의 JDBC 기반 SQL 스키마로의 변환 (Transforming XML DTD to SQL Schema based on JDBC)

  • 이상태;주경수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29-40
    • /
    • 2002
  • B2B 전자상거래와 같이 XML을 이용한 정보교환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이에 XML 메시지의 데이터베이스로의 저장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Oracle8i와 9i 및 Informix그리고 SQL2000서버 등과 같이 멀티미디어 응용 등을 위하여 기존의 관계형 DBMS들은 객체-관계형 DBMS로 확장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표준안인 SQL2도 ORDB인 SQL3로 확대 개편되고 있다. 아울러 J2EE와 같이 JAVA를 기반으로 한 XML 응용이 확대됨에 따라 JDBC를 통한 XML 응용과 데이터베이스의 효율적인 연계방안이 요망된다. 본 논문에서는 XML DTD를 토대로 하여 SQL3 스키마로의 변환을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XML DTD를 UML 클래스 다이어그램인 객체모델로 변환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고, 변환된 객체모델을 SQL3 스키마로 모델링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XML DTD를 토대로 한 SQL3 스키마로의 변환 방법은 JAVA를 기반으로 Oracle8i와 9i 및 Informix 그리고 SQL2000서버 등과 같이 객체-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XML 응용을 구축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설계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이동형 간호정보시스템 환경에서의 상이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사상을 위한 모듈의 구현 (An Implementation of schema mapping module for heterogeneous databases in Mobile Nursing Information System)

  • 지태성;전종훈;최진욱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1)
    • /
    • pp.274-276
    • /
    • 2001
  • 진료와 간호가 발생하는 현장에서 직접 임상자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최근 모바일 컴퓨팅기술을 의료분야에 접목시키고자하는 시도가 있었다. 이러한 시도의 하나로서 PDA를 이용한 간호정보시스템이 제안되었으며, 이는 기존의 병원정보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여 사용되도록 구성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간호정보시스템이 병원정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구조에 독립적으로 연동이 가능하도독 하는 스키마사상 모듈을 제안한다. 또한, 간호정보시스템을 활용할 경우, 간호 업무를 위해 PDA와 메이저를 동시에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페이저의 기능이 추가된 PDA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간호사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모듈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 PDF

사양 기반 플랜트 설계 시스템에서 생성된 원자력 플랜트 설계 데이터의 중립 모델로의 통합 변환 (An Integrated Translation of Nuclear Power Plant Design Data ftom Specification-driven Plant Design Systems to a Neutral Product Model)

  • 문두환;양정삼;한순흥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96-104
    • /
    • 2009
  • It gradually becomes important to study on how to efficiently integrate and manage plant lifecycle data such as 2D schematic and 3D solid data, logical configuration data, and equipment specifications data. From this point of view, converting plant design data from various systems into neutral data independent from any commercial systems is one of important technologies for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plants which usually have a very long period of lif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 neutral model for efficient integration and management of plant data was defined. After schema mapping between one of specification-driven plant design systems and the neutral model was performed, a plant data translator is also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mapping result. Finally, by experiments with nuclear power plant design, the feasibility of the translator was demonstrated.

Development of a GML 3.0 Encoding System Using Mapping Rules

  • Lee Yong Soo;Kim Dong O;Hong Dong Sook;Han Ki Joon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723-728
    • /
    • 2004
  • Recently, because of the extensive use of geographic information in the various fields, the requirement for the easy circulation and utilization of the various geographic information among the individuals, organizations, societies and countries is raised. In order to support the interoperability of the heterogeneous geographic information in the various fields, OGC(Open GIS Consortium) proposed the GML(Geography Markup Language) specification that defines the XML encoding rule about the heterogeneous geographic information. In addition, ISO/TC 211 adopted the GML specification to make it as the international standard. Therefore, in this paper, we first analyzed the GML 3.0 specification in detail that can support the interoperability of the heterogeneous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n we suggested and applied the mapping rule that define the encoding method to improve the encoding process easily and efficiently. Finally, w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GML 3.0 encoding system using the mapping rule to encode the geographic information that was constructed in spatial databases into the GML 3.0 document. Especially, we used ZEUS as a spatial database system to test our encoding system in this paper.

  • PDF

BIM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토목 시설물 IFC 확장요소기반의 정보모델링 방안 (Civil Infrastructure Information Modeling Method Based on Extended IFC Entities using BIM Authoring Software)

  • 이상호;박상일;권태호;서경완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1호
    • /
    • pp.77-86
    • /
    • 2017
  • Industry Foundation Classes(IFC)는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을 위한 표준 데이터 스키마로 정보의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핵심이지만, 건물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토목 시설물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기존 IFC에 토목 시설물을 위한 새로운 요소를 추가하는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상용 소프트웨어가 해당 기능을 추가하기 전에는 새로운 스키마를 활용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토목 시설물에 적용하기 위한 IFC 데이터 스키마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 토목시설물을 위한 확장 요소와 기존 IFC 요소와의 정보 매핑을 통한 확장 IFC기반의 토목 시설물 정보모델링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철도의 궤도 및 침목에 대한 IFC 확장 스키마를 제시하고 제시한 방법을 적용하여 그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모바일 클라우드 환경에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위한 XMDR-DAI를 이용한 소셜 기반의 협업 시스템 (Collaborative System based on Social using XMDR-DAI for Business Process in Mobile Cloud)

  • 이종섭;문석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2331-2340
    • /
    • 2015
  • 기업들은 클라우드 협업 환경에서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비용과 시간을 투자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 처리에 대한 최적화 작업을 진행하는데, 소셜 비즈니스를 기반으로 협업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협업 비즈니스 프로세스 처리는 전통적인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 방식에서 클라우드, 모바일 클라우드 환경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클라우드 환경에서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리를 위한 소셜 기반의 협업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모바일 클라우드 기반의 협업 업무를 처리하기 때문에 데이터 상호운용에 적합한 XMDR-DAI을 적용하였다. 이 XMDR-DAI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로컬 시스템간의 데이터 공유 및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소셜 기반의 협업 비즈니스 프로세스 운영을 담당한다. 소셜 기반의 협업 비즈니스 프로세스 처리는 내부 쿼리로 인한 스키마 매핑상의 구조, 의미 충돌, 그리고 데이터간의 단위 변환등과 같은 충돌이 발생하게 되는데, 각 매핑 과정에서 일어나는 충돌문제를 XMDR-DAI로 해결하였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시맨틱 기반 키워드 탐색 시스템 (Semantic-based Keyword Search System over Relational Database)

  • 양영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91-101
    • /
    • 2013
  • 키워드의 모호성은 효율적인 키워드 탐색에 있어서 일반적인 이슈가 되어왔는데, 이 모호성은 탐색결과의 신뢰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질의에 사용된 용어 자체가 가지는 문맥상 의미의 모호함에 기인한다. 질의 자체의 모호함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이 그 탐색 결과를 적절하게 해석하기 위해 결과에 나타나는 키워드간의 관계도 중요하므로 명확하게 명시 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질의 용어와 스키마 용어/인스턴스간의 키워드 매핑기법을 적용하여 키워드 탐색의 모호성을 해결한다. 용어간의 매핑에서는 질의 키워드와 스키마 용어간의 구문적 유사성은 물론 시맨틱 유사성까지 고려하기 때문에 기존의 시스템에 비해 매핑과 정밀도가 50% 이상 상승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탐색결과에 나타나는 용어간의 불분명한 관계를 점 더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시맨틱 웹 기술을 적용하여 키워드간의 의미 있는 관계를 더 많이 지식베이스 내에서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메타데이터 스키마의 적절한 선택과 조합을 위해 태스크 모델을 활용한 업무중심의 어플리케이션 프로파일 모델 제안에 관한 연구 (A Proposal for Creating Task-Centric Application Profile: Utilization of Task Model for Suitable Selection and Combination of Metadata Schema Properties)

  • 백재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407-428
    • /
    • 2018
  • 메타데이터 표준은 디지털 정보자원의 기록생애주기를 기술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메타데이터 표준은 정보자원에 행해지는 업무의 목적과 내용에 영향을 받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정보자원의 관점을 중심으로 정의 및 설계되었기 때문에 기록생애주기 전체를 보는 업무의 관점은 반영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정보자원의 기록생애주기 전체를 커버하기 위해서는 정보자원의 업무 관점에서 메타데이터 속성을 적절하게 선택하고 조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록생애주기를 커버하고 정보자원에서 실행되는 업무와 요구조건에 따라 적절한 메타데이터 속성을 선택하여 조합할 수 있는 업무중심의 어플리케이션 프로파일을 작성하여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