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ene

검색결과 2,682건 처리시간 0.037초

A Study on Dissonance Functions of Scenes and Background Music in Movies

  • Um, Kang-i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9권4호
    • /
    • pp.96-100
    • /
    • 2020
  • Soundtrack dissonance, which appears in the background music of a movie scene, is a phenomenon of using songs or compositions that contrast with the general sentiment of the situation. A sad scene usually uses a slow tempo of sad music to match the mood of the scene. However, sometimes, in order to play background music that follows a depressing, sad, or anxious scene, there is a case of inserting music with an opposite atmosphere such as bright music, exciting music, fast-tempo music, or magnificent music. The method of presenting music that is contrary to the mood of the scene is a kind of psychological technique that inflicts a kind of mental shock on the audience and makes them remember a particular situation.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meaning coming from scenes and Soundtrack Dissonance in movi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ole that music and images play.

중증외상환자에서 병원전 외상 처치가 현장체류시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rehospital care on on-scene time in patients with major trauma)

  • 양진철;문준동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7-76
    • /
    • 2020
  • Purpose: Effective time management, as well as life-saving care, are important in maximizing the prognosis of patients who have sustained major traumas. This study evaluated the appropriateness of emergency medical system (EMS) provider's essential care and how this care impacted on-scene time in patients with major traumas. Methods: Thi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analyzed the EMS major trauma document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hysiological criteria (Glasgow coma scale <14, systolic blood pressure <90mmHg, Respiration rate <10 or >29) in Daejeon, from January, 2015 to December, 2018. Results: Of the 707 major trauma cases, the mean on-scene time was 7.75±4.64 minutes. According to EMS guidelines, essential care accuracy was 67.5% for basic airway, 36.4% for advanced airway, 91.2% for cervical collar, 81.5% for supplemental oxygen, 47.0% for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19.9% for intravenous access and fluid administration, and 96.0% for external hemorrhage control. Factors affecting on-scene time were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p<.004), and intravenous access and fluid administration (p<.002). Conclusion: Adherence to guidelines was low during advanced airway procedures,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intravenous access, and fluid administration. In addition, the on-scene time was prolonged when the practitioner provided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intravenous access, and fluid administration; however, these durations did not exceed the recommended 10 minutes.

경찰 과학수사요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발생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Crime Scene Investigators)

  • 노선미;김은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39-48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especially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PTSD in police crime scene investigator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226 police crime scene investigators from 7 Metropolitan Police Agenci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during July and August, 2015.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chi}^2$-test, Fisher's exact test,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WIN 21.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for PTSD in police crime scene investigators was 13.69 .11 points. Of the crime scene investigators 181 (80.1%) were in the low-risk group and 45 (19.9%) in high-risk group. Social support (t=5.68, p<.001) and resilience (t=5.47, p<.001) were higher in the low-risk group compared to the high-risk group.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resilience (OR=4.74, 95% CI: 1.57~14.35), and social support (OR=2.13, 95% CI: 1.23~3.69) are effect factors for PTSD low group. Conclusion: For effective improvement of PTSD in police crime scene investigators, intervention programs including social support and strategies to increase should be established.

고속도로변 사면경관의 인지적 관계분석 (Analysis on Perceptual Relationship in the Slope Scene of Highway)

  • 정성관;박정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3-43
    • /
    • 1992
  • The perceptual characteristic on the slope scenery around highway is very similar as the general perceptual characteristic in the landscape. This process determines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enery observ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place.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a analysis on highway slope scenery in our particular culture in Korea since our country's highways are done by cutting mountains : therefore, we have a lot of slopes around highway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n the highway scenery determines how we should build scenery around highway to a satisfactory level. The results drawn from this research work are as follow: 1) The satisfaction for slope scene had been affected by sex, native and experience of travel. I thought that the slope scene having peculiar form will offer the highest satisfaction. 2) Psychological factor, reflected satisfaction of slope scene, 몽 a grip of three factors as the factor of evaluation, texture, formation, and presumption formula is : Satisfaction=1.04(Evauluation factor)+0.83(Texture factor)+0.15(Formation factor)+4.28)R2=0.69). 3) Vine among the vegetation componeents of slope scene highly correlated with the evaluation factor and grass, shrub correlated with the texture factor. 4) Rock among the structual components of slope scene highly correlated with the formation factor, and stockade, lattice correlated with the evalution factor. 5) Gradient among the properties which determined slope form, highly correlated with the formation factor.

  • PDF

MPEG system의 DCT변환영역에서 DC성분과 움직임 벡터를 이용한 영상 장면전환 검출기법 (Scene Change Detection Techniques Using DC components and Moving Vector in DCT-domain of MPEG systems)

  • 박재두;이광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28-34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DCT 영역에서 DCT블록내의 DC성분과 매크로블록내의 움직임 벡터성분을 이용하여 동영상 장면전환 자동 검출에 관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압축된 MPEG 신호열내의 픽쳐 종류와 상관없이 임의의 신호열에서 장면전환을 검출한다. 이를 위해 MPEG 신호열의 DCT 영역에서 픽쳐구성요소의 특징을 이용하여 새로운 비교잣대를 정의하고 움직임 벡터에 예민한 B-picture 의 특성을 이용하여 정확한 장면전환을 검출한다. 이때. I-picture를 가지고 급격한(cut) 장면전환을 검출하고 P. B picture 를 가지고 점진적인(gradual) 장면 전환을 검출한다. 제안한 방법은 다양한 MPEG 신호열에 대하여 시험결과 그 효율성이 우수함을 보인다.

MPEG 비디오의 특성 추출을 이용한 효과적인 장면 전환 검출 기법 (Effective scene change detection methods using characteristics of MPEG video)

  • 곽영경;최윤석;고성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8B호
    • /
    • pp.1567-1576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압축되어 있는 MPEG 비디오 시퀀스로부터 DCT의 AC 계수를 이용한 에지 영상을 구하여 급격한 장면의 전환을 검출하는 방법과 매크로블록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점진적 장면 전환인 디졸브(dissolve) 구간을 검출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에지 추출에 기반한 장면 전환 검출 기법은 밝기의 변화에 덜 민감하며, AC 성분을 이용하면 DC 성분을 이용한 경우보다 원영상을 더욱 잘 표현하는 에지를 추출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장면 전환을 검출할 수 있다. 제안한 디졸브 검출 기법에서는 영상을 복원하지 않고, MPEG 비트스트림 내의 매크로블록 타입 정보로부터 계산된 인트라 매크로 블록의 개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적은 계산량으로 디졸브를 검출할 수 있다. 제안한 장면 전환 검출 방법은 기존의 방법들에 비해서 성능이 우수함을 실험을 통해 입증하였다.

  • PDF

H.264 비디오 스트림의 히스토그램 및 헤더 정보를 이용한 장면 전환 검출에 관한 연구 (Changing Scene Detection using Histogram and Header Information of H.264 Video Stream)

  • 김영빈;로버트 스크라바시;류광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197-20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H.264 비디오 스트림의 히스토그램 정보와 헤더 정보를 이용한 장면 전환 검출에 관한 연구이다. 비디오 데이터에서 장면의 변화를 검출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히스토그램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히스토그램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 해제 하여 각각의 장면에 대한 히스토그램 차이를 계산하기 때문에 연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반면에 H.264 비디오 헤더 정보를 이용하면 이러한 연산의 과정 없이 실시간 검출이 가능하다.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장면 전환을 검출하고 헤더 정보를 함께 이용하였을 때 동일한 프리시전 및 리콜을 수행하면서 검색 속도에서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모바일 장치를 위한 MPEG-4 콘텐츠의 객체 및 장면 트리 변환 (Transforming Objects and a Scene Tree of MPEG-4 Contents for Mobile Devices)

  • 김상욱;김경덕;이숙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1권2호
    • /
    • pp.124-13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장치를 위한 MPEG-4 콘텐츠 저작을 위하여 객체 및 장면 트리 변환을 이용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저작시 MPEG-4 콘텐츠의 객체와 장면 트리를 변환하여 모바일 장치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재구성한다. 이 방법은 모바일 장치의 작은 인터페이스에서 재생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장면에 표현되는 각 객체를 기하 객체로 변환하고 그 외형을 축소하여 초기 로딩 시간을 감소시키며, 원 객체의 재생은 사용자가 재생 장면에서 해당 기하 객체를 선택할 때 재생된다. 그리고 제안한 방법을 기존 저작 도구에 적용하여, 모바일 장치의 재생기에서 효율적으로 MPEG-4 콘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An End-to-End Sequence Learning Approach for Text Extraction and Recognition from Scene Image

  • Lalitha, G.;Lavanya, B.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7호
    • /
    • pp.220-228
    • /
    • 2022
  • Image always carry useful information, detecting a text from scene images is imperative. The proposed work's purpose is to recognize scene text image, example boarding image kept on highways. Scene text detection on highways boarding's plays a vital role in road safety measures. At initial stage applying preprocessing techniques to the image is to sharpen and improve the features exist in the image. Likely, morphological operator were applied on images to remove the close gaps exists between objects. Here we proposed a two phase algorithm for extracting and recognizing text from scene images. In phase I text from scenery image is extracted by applying various image preprocessing techniques like blurring, erosion, tophat followed by applying thresholding, morphological gradient and by fixing kernel sizes, then canny edge detector is applied to detect the text contained in the scene images. In phase II text from scenery image recognized using MSER (Maximally Stable Extremal Region) and OCR; Proposed work aimed to detect the text contained in the scenery images from popular dataset repositories SVT, ICDAR 2003, MSRA-TD 500; these images were captured at various illumination and angles. Proposed algorithm produces higher accuracy in minimal execution time compared with state-of-the-art methodologies.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방송 시스템 설계 (The Design of Object-based 3D Audio Broadcasting System)

  • 강경옥;장대영;서정일;정대권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592-602
    • /
    • 2003
  • 본 논문은 오디오를 동반한 방송 서비스에 있어서 기존의 단순 청취형의 오디오 서비스에서 탈피한 대화형의 객체 기반 3차원 오디오 방송 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한다. 객체기반 3차원 오디오 방송 시스템은 3차원 오디오 입력부, 3차원 오디오 편집/제작부, 3차원 오디오 부호화부, 3차원 오디오 복호화부, 3차원 오디오 장면합성부 및 3차원 오디오 재생부로 구성된다. 오디오 입력부에서는 3차원 배경음 객체와 독립적인 오디오 객체들을 획득한다. 편집/제작부에서는 오디오 객체들에 대한 3차원 음상정위 및 오디오 이미지 생성을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이들을 조합하여 3차원 오디오 장면을 편집/제작한다. 부호화부에서는 장면정보와 오디오 객체들을 부호화하고, 복호화부에서는 오디오 객체들을 복원하고 장면정보를 획득한다. 장면 합성부에서는 장면정보와 오디오 객체들을 이용하여 오디오 장면을 구성한다. 3차원 오디오 재생부에서는 3차원 오디오 객체들 재생하고, 사용자의 제어신호를 이용한 대화형 기능을 구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