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apharca subcrenata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41초

새고막 젓갈 숙성 중 함질소 엑스성분 변화

  • 박춘규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88-89
    • /
    • 2002
  • 새고막(Scapharca subcrenata)은 모양이 피조개와 비슷하나 방사륵수가 29∼34줄로서 구별되며, 크기는 피조개 보다 작으나 큰 것은 각장 7cm까지 성장한다. 1970년대 말부터 양식기술이 보급되기 시작하여 1980년도의 양식생산량은 973 톤에 불과하였으나, 전라남도의 1997년도 통계자료에 따르면 연간 생산량이 49,805 톤에 달하고 있다. 새고막의 2000년도 어업권수는 912건에 양식면적은 10,629ha로서 증가 추세에 있다. (중략)

  • PDF

새꼬막의 선별과정 현황과 문제점을 고려한 자동화 선별 시스템 요소기술 (Elemental techniques for automated size sorting system considering problems and status of sorting process of ark shell (Scapharca subcrenata))

  • 정석봉;황두진;윤은아;민은비;최병대;정용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3권3호
    • /
    • pp.256-265
    • /
    • 2017
  • Seafood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future food industry.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fishery equipment of mechanization, automation, and unmanned was increased due to the environment affected by seafood processing, stricter regulations on safety, decline and aging of fishery worker. Ark shell (Scapharca subcrenata) was being produced in many steps in the production process. The process has been made such as collection-landing-washing-first sort (goods/non-goods)-transports-second sort (size). It was undergone first and second steps by delivering to the consumer. Here, the first step is to sort goods to collection and the second step is to sort by size. The fishery workers need ten people in first step and six people in second step. The workload of one hour per kg is 4,247 kg/h in first step and 2,213 kg/h in second step. In addition, the goods ratio by work process was 79% in first step and 98% in the second step. In this process, a lot of fishery worker and working time is needed.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elemental techniques for an automated size sorting system considering the working process problem, time and situation for washing and sorting of ark shell.

Studies on Lectins from Marine Shells (III) : Screening of Lectin-like Agglutinins from Marine Shells

  • Chung, See-Ryun;Kim, Jang-Hwan;Suh, Young-Ah;Jeunechung, Kyung-Hee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9권4호
    • /
    • pp.201-203
    • /
    • 1986
  • Forty species of marine shells were collected from Korean coasts and studied extensively for their lectin activities by using erythrocytes of human blooc A, AB, B. O group and rabbit blood. In total, 7 species contained lectines :Neptunea intersculpta, Omphalius nigerrimus and Scapharca subcrenata, blood group nonspecific; Saxidomus purpuratus, human blood A and AB group specific; Lepidozona coreana, Tegilarca granosa and Neptunea polycosta, rabbit blood specific.

  • PDF

중금속 오염 패류를 먹이로 한 마우스 장기의 조직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Patho-Histologic Study of Mouse which Fed with Heavy Metal Containing Shell Fish)

  • 소진탁;유일수;김재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2-60
    • /
    • 1992
  • Clams were collected from mouth part of Mangeong Gang(river) of which heavy metals were heavily contaminated. Scapharca subcrenata, one of the clams, were fed to mice for 1-2 months with regular food stuffs. Eventhough difference of body weight was recogniz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normal diat group,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examined, cadmium was found 1.16 $\mu\textrm{g}$/gm in liver, 3.31 $\mu\textrm{g}$/gm in kidney and 0.21 $\mu\textrm{g}$/gm in blood of experimental group at 60th day, whereas 0.14 $\mu\textrm{g}$/gm, 0.35$\mu\textrm{g}$/gm and 0$\mu\textrm{g}$/gm respectively in normal diet group ate tje same period. No specific histo pathological finding was found in brain and kidney, although slighr fatty change and focal necrosis were found in liver tissue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second month.

  • PDF

SDS Polyacrylamide Gel 電氣泳動에 依한 斧足綱數種의 蛋白質패턴의 比較 (The Comparison of Protein Patterns of Several Species in Bivalvia by SDS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 Park, Won-Chul;Ha, Man-Joon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61-70
    • /
    • 1985
  • 斧足綱 數種의 蛋白質을 電氣泳動한 結果, 새꼬막과 피조개의 血漿의 蛋白質 패턴은 低分子 蛋白質에서 染色되는 强度가 약간 差異가 있으나 거의 同一하였고, 全血球의 蛋白質 패턴의 差異는 17,800 dalton의 band에서 나타났다. 그렇지만 위의 두 種의 筋內의 단백질 패턴은 거의 비슷해서 10,000$\\sim$100,000 dalton의 分子量 範圍內에서는 差異를 알아 내기가 매우 어려웠다. 그런데 대합과 비늘백합은 類緣關係가 있는 蛋白質 패턴이 많이 나타났으며 재첩은 대합이나 비늘백합과 같은 이들 두 種과 대칭이의 中間 程度에 位置하는 蛋白質 패턴을 나타내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Bivalvia가 함께 다 갖는 6개의 蛋白質 band들과, 꼬막과 새꼬막에서만 나타나는 4개의 特有한 蛋白質 band가 存在함이 發見되었으며 Eulamellibranchia目의 4종에 있어서 다 나타나는 2개의 protein band들 과, 대합과 비늘백합에서만 나타나는 23,000 dalton의 特有한 band도 發見되었다. 그리고 各 種마다 가지는 特有한 蛋白質 패턴의 分子量을 測定하여 比較하였다.

  • PDF

전남 여자만 해수 및 새꼬막(Scapharca subcrenata)의 세균학적 위생 평가 (Assessment of Bacteriological Safety of the Seawater and Ark shell (Scapharca subcrenata) in Yeoja Bay, Korea)

  • 신순범;오은경;정상현;이희정;김연계;이태식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5호
    • /
    • pp.1435-144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새꼬막 주 생산해역인 전남 여자만에 대하여 해수 및 패류의 세균학적 분석결과를 근거로 위생상태를 평가함으로써 동 해역의 위생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적용하여 우리나라의 정착성 수산물 등급기준에 따른 해역분류 및 한국패류위생계획에 근거한 '수출용패류생산지정해역'으로의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2014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여자만에 설정한 50개소의 조사정점별 해수의 위생지표세균 조사결과, 대장균군 및 분변계대장균 수의 범위는 각각 <1.8~5,400 및 <1.8~350 MPN/100 mL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우리나라의 '정착성 수산동식물 생산해역 등급설정 기준'(MOF, 2013a)에 따라 청정해역의 기준에 충족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수출용패류생산지정해역으로 지정을 위해서는 미국이나 유럽연합 등의 기준을 충족하여야 하며 본 조사결과 미국의 National Shellfish Sanitation program (U.S. FDA, 2016)에 따라 해수의 수질은 허가해역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여자만은 주변에 오염원이 산재해 있고 강우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오염원 관리가 수반되어야 하는 조건부 허가해역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유럽연합의 Regulation (EC) No 854 (European Commission, 2004)에 근거하여 여자만의 패류(새꼬막)는 계절적 또는 시기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어, 해역 분류기준 중 Class B에 부합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시기에 따른 분류(6~10월은 Class B, 11-5월은 Class A)도 가능 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아울러 여자만의 위생안전성을 확보하고 외국으로 패류를 수출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오염원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체계적인 오염원 현황파악 및 영향평가가 수반되어야 하며, 패류에 대한 중금속 및 패류독소 등의 추가조사 또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만경강 유역 연체동물 내 Cadmium 및 Cadmium-Methallothionein 함량의 실험적 조사 (Experimental Studies on the Cadium and Metallothioneien in Molluscs Collected from Mangyeong River, Korea)

  • 소진탁;유일수;김숙향;김재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6-22
    • /
    • 1993
  • Contamination of heavy metals in water and sediments along Mangyeong Gang(river) has reached up to critical level The object of the study is to elucidate somed molluscs which inhabit along the river on respect to the modulatory role in reducing the pollution. For the purpose, molluscs which are common in numbers and biomass in the area were collected, and Cadmim(Cd) was subjected as a reference metal in the experiment. The corresponding species were; Cipango;aludina chinensis (muddy snail) and Scapharca subcrenata (seashell). As methods, sample species were kept in laboratory under the natural condition as possible. Soil were brought from the site of the collection, dried autoclaved and wetted with ordinary water. It wad utilized as media to maintain the collected species in vitro all the way of the experiment. CdCI$^{2}$ was mixe in the medium according to experimental design. On the result obtained in the study, it is summarized that molluscs which inhabit along Mangyeong Gang(river)consume heavy mital-containing matters, so far Cd is concerned in the study. The amout of Cd concentration in tissues of the benthic natured invertebrates were dose and time related, and MT-Cd was also similar trend. Thus, Cd may eventually combine with low molecular protein forming metalloprotein, then reduce the toxicity of the heavy metal.

  • PDF

울산의 신현층에서 산출된 이매패 Anadadra 화석의 형태와 내부 구조

  • 임일화;김종헌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4-105
    • /
    • 2010
  • 울산 퇴적 분지에 분포하는 신현층의 이암층 노두에서 이매패에 속하는 Anadara 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연체동물 화석을 채집하였다. Anadara 화석은 해성 기원의 연체동물로 Vicarya japonica Yabe and Hatai와 함께 소위 Vicarya-Anadara 군집에 속한다. 이 군집은 우리나라의 제3기 생층서를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에서는 Andara 화석의 형태적 특징과 내부 구조를 고찰하고, 현생종과 비교하였다. 신현층에서 산출된 Anadara 화석은 1속 2종으로 구성된다. 각의 형태적 특징은 각의 외형이 삼각형에 가깝고, 표면에 25~30개의 방사륵이 발달해 있으며 인대면은 삼각형 모형으로, 교치선은 직선이다. 각의 내부 구조를 박편상에서 관찰한 결과, 4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Anadara 화석과 현생종 Scapharca subcrenata 을 비교한 결과, 각의 외형은 조금 다르나 내부구조는 서로 거의 유사하다. A. (H.) kakehataensis의 내부 구조는 최외층, 외층, 광휘층, 내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층은 교차판 구조(crossed- lamellar structure)로 되어 있다. 또한 성장선이 발달되어 있으며, 복연부에 불규칙한 균열이 부분적으로 나타난다. 이는 외부로 노출되어 건조되고 다시 물기를 머금은 상태가 반복되어 수축 팽창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되며, 별개의 층은 아니다. 내층은 엽상구조(foliated structure)가 관찰된다. 외층과 내층 사이에 아라고나이트로 구성된 광휘층이 나타나며, 능주 구조(prismatic structure)를 보이는 얇은 층이다. 최외층이 나타난다. A. (H.) daitokudoensis의 내부 구조는 A. (H.) kakehataensis와 서로 거의 유사하고, 내층, 외층, 광휘층 및 최외층의 4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엽상 구조인 내층, 교차판 구조인 외층, 능주 구조인 광휘층 및 최외층은 유기질층으로 되어있다.

  • PDF

Genetic Diversity of Foodborne Pathogen Detected in Commercial Shellfish in Metropolitan Area

  • Park, Jung Hun;Cho, Kyu Bo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83-91
    • /
    • 202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ontamination status of microorganisms that cause food poisoning in shellfish distributed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outh Korea. The analyse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sample type, season, and region. In particular, the genotype of food poisoning viruses that explosively cause collective food poisoning was analyzed. Total 483 each of four types of shellfish (Crassostrea gigas, Mytilus coruscus, Pectea albicans albicans, and Scapharca subcrenata) were collected from four distribution sit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We investigated foodborne pathogen by multiplex PCR and RT/Nested PCR from shellfish. As a result, Vibrio parahaemolyticus and Bacillus cereus were detected in 13 and 21 samples and Norovirus (NoV) GI and GII were detected in 7 and 12 samples, respectively. V. parahaemolyticus and NoV GI and GII showed differences in types of shellfish and seasons, and no correlation was confirmed with regional differences. Also, as a result of genotyping for the detected NoV GI and GII, they were confirmed as NoV GI.7, GI.5 and GII.3, which are causes of collective food poisoning. Therefore, cross-infection with shellfish can cause food poisoning. In particular, attention must be paid to the handling and cooking of shellfish in organizations that implement group feeding,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anagement system for microorganisms that cause food poisoning in the process of shellfish farming and distribution.

해창만 벗굴, Ostrea denselamellosa 서식지의 환경특성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Conditions of the Flat Oyster, Ostrea denselamellosa in Haechang Bay, Korea)

  • 양문호;한창희;김형섭;최상덕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5-113
    • /
    • 1999
  • 벗굴을 양식산업에 적용하여 그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기 위하여 이 종에 대한 자연서식지의 환경특성과 이매패의 자원량을 조사하였다. 벗굴 서식지 주변해역에서 수온은 5.5$^{\circ}C$-27.4$^{\circ}C$의 범위였고, 염분은 31.2-33.4 로 평균 32.3 였다. DO, COD, DIN 및 PO$_{4}$$^{3}$-P은 각각 평균 7.11 mg/L, 0.44 mg/L, 4.55 $\mu\textrm{g}$-at./L 및 0.36 $\mu\textrm{g}$-at./L이었다. 표층퇴적물의 입도조성은 사력질, 니사질, 사니질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퇴적물의 IL, COD 및 AVS는 각각 평균 2.6%, 13.70 mg/g dry 및 0.33 mg/g dry였다. 한편,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90.3(9월)-1,272.0 cell/ml(2월)이었으며, 우점종은 Skeletonema costatum, Paralia sulcata, Eucampia zodiacus, Chaetoceros curvicetus, Chaetoceros affinis, Chaetoceros debilis, Chaetoceros decipiens, Asterionella glacialis, Pseudo-nitzschia longissima, Pseudonitzschia seriata, Ceratium furca, Ceratium fusus 등이었다. 벗굴 서식지에서 출현한 조개류는 벗굴(Ostrea denselamellosa), 참굴(Crassostrea gigas), 바지락(Tapes philippinarum), 새고막(Scaphaca subcrenata), 피조개(Scaphaca broughtonii), 키조개(Atrina pectinata), 새조개(Fulvia mutica), 진주담치(Mytilus edulis), 살조개(Protothaca jedoensis), 갈색이랑조개(Megacardita ferruginosa) 등 모두 10종이었다. 그리고 이매패류의 평균 자원량은 21개체/$m^2$(479.14 g/$m^2$)이었고, 벗굴은 0.25 개체/$m^2$(231.25 g/$m^2$)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