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uvagin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Protein-Protein Interaction Analysis of Corticotropin - Releasing Hormone Receptor 1 with 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 and Sauvagine

  • Nagarajan, Santhosh Kumar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01-106
    • /
    • 2018
  • Corticotropin - releasing hormone receptor 1 (CRHR1) forms an integral part of the pathophysiology of disorders lik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tress, anxiety, addiction, and depression. Hence it is essential to look for new, potent and structure-specific inhibitors of CRHR1. We have analysed the protein-protein interaction complexes of the CRHR1 receptor with its native ligand CRF and full agonist Sauvagine. The structure of Sauvagine was predicted using homology modelling. We have identified that the residues TYR253, ASP254, GLU256, GLY265, ARG1014 and LY1060 are important in the formation of protein-protein complex formation. Future studies on these residues could throw light on the crucial structural features required for the formation of CRHR1-inhibitor complex and in studies that try to solve the structural complexities of CRHR1.

최적의 luminescence 신호 분석을 위한 유전자 전달 방법의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ies of various transfection processes for the optimal luminescence signal analysis)

  • 박서현;이승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640-647
    • /
    • 2016
  • 형광 간섭 현상을 최소화시켜 상대적으로 민감한 측정이 가능한 aequorin기반 luminescence기술은 $G_{{\alpha}16}$ 단백질 도입을 통해 세포 내부의 칼슘 이동 신호를 감지하여 G 단백질 결합 수용체(G protein-coupled receptor, GPCR)의 기능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세포 기반 분석 기술로 수용체 및 G 단백질 유전자 전달의 최적화 과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 corticotropin releasing factor receptor subtype 2(CRF2) 수용체를 모델 시스템으로 CRF2와 $G_{{\alpha}16}$ 단백질이 구축된 세 가지 안정화 세포주를 제작하였고, 이들을 이용한 서로 다른 세 가지 조건의 임시 발현 세포주에서 작용제(sauvagine)와 길항제(K41498)의 반응성을 분석하여 최적의 유전자 전달 방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sauvagine 및 K41498의 농도에 따른 반응에서 CRF2-$G_{{\alpha}16}$ 안정화 세포주가 임시 발현 세포주보다 10배 이상의 유효신호 비율을 나타내었고(z'=0.77) 임시 발현 세포주의 경우 $G_{{\alpha}16}$의 안정화 발현 이후에 CRF2를 전달하는 경우가 다른 임시 발현 조건보다 2배 이상 높은 효율을 보였다(z'=0.84). 따라서 임시 유전자 전달 기술을 GPCR 세포 기능 분석 시스템에 활용할 경우 $G_{{\alpha}16}$ 단백질에 대한 안정화 세포주를 우선적으로 구축하고, 목표하는 다양한 수용체들을 단계적으로 발현시키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 판단된다.

CRF1 길항제 스크리닝을 위한 에쿼린 기반 세포실험 개발연구 (Development of an aequorin-based assay for the screening of 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receptor antagonists)

  • 노효진;이승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575-7581
    • /
    • 2015
  • corticotropin releasing factor(CRF)는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되는 신경펩타이드 물질들 중 하나로서 모발의 손실 및 재성장에 영향을 미친다고 광범위하게 제기되어 왔다. 이에 CRF1 수용체 길항제 개발을 위하여 세포 내 칼슘 신호전달 기전을 이용한 스크리닝 시스템을 개발하고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에쿼린 모체세포에 CRF1 수용체와 만능 G 단백질인 G${\alpha}$16 유전자를 동시에 발현시켜 안정화 세포주를 구축하였다(HEK293a16/hCRF1). 표준 효현제인 sauvagine의 반응이 임시 발현세포와 비교하여 안정화 세포주에서 농도 의존적 반응 범위가 1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EC_{50}:15.21{\pm}1.83nM$), 이에 따라 길항제 스크리닝에 필수적인 안정적인 신호와 높은 용매 허용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CRF1 수용체에 대한 표준 길항제인 antalarmin과 CP154526에 대한 $IC_{50}$ 수치는 각각 $414.1{\pm}5.5$$290.7{\pm}1.9nM$로 확인되었는데 냉동보관세포의 경우에도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에쿼린 기반 세포 기능실험의 최적화 연구를 통해 구축된 CRF 수용체 안정화 세포주는 모발의 재형성과 관련된 신규의 기능성 화장품 및 조절물질 개발 연구에 적극적으로 활용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