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ussurea japonica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3초

해변취의 실체: 큰각시취/각시취와의 관계 (Taxonomic entity of Saussurea taquetii (Asteraceae) compared with S. japonica and S. pulchella)

  • 선은미;윤선아;김승철;임형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78-385
    • /
    • 2021
  • 제주도에서 보고된 해변취는 일반적으로 큰각시취의 이명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한반도의 큰각시취와는 다른 식물이라는 견해가 상존한다. 큰각시취는 총포편의 선단에 옅은 보라색의 건막질 부속체가 있는 이년생 초본으로 취나물속의 깃분취아절(sect. Theodorea)에 속하며, 형태적으로 유사한 분류군인 각시취와 함께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변취의 실체를 확인하기 위해 제주도의 해변취 자생지와 일본 규슈의 큰각시취 자생지에서 채집 및 조사를 하였다. 형태적 유연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채집된 표본과 국립수목원(KH), 전남대학교 표본실(CNU), 토쿄대학 표본실(TI) 소장 큰각시취 및 각시취 표본을 비교 분석하였다. 해변취는 일본 규슈의 큰각시취와 형태적 및 생태적으로 구별되지 않아서 큰각시취의 이명으로 처리하였다. 식물종의 분포에 있어서 기존 견해와 달리 한반도에는 각시취만 분포하며, 제주도에는 큰각시취만 분포한다.

A Preliminary Study on Hypocholesterolemic and Hypoglycemic Activities of Some Medicinal Plants

  • Choi, Jae-Sue;Chung, Hae-Young;Young, Han-Suk
    • 생약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3-157
    • /
    • 1990
  • Total cholesterol level in mice with hypercholesterolemia was determined after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some medicinal plants. From the data obtained, it was suggested that the methanolic extract of Elaeagnus crispa, Ixeris dentata, Prunus davidiana, Eriobotrya japonice, Aralia elata and Phragmites communis produced a significant hypocholesterotemic effect. In the case of the extract of Saussurea diamantiaca, on the other band, the total cholesterol level was markedly increased. The methanolic extract of Ixeris dentata, Prunus davidiana and Phragmites communes also decreased the level of blood glucose in alloxan-diabetic male albino mice while that of Eriobotrya japonica, Allium tuberosum, Houttuynia cordata and Eucommia japonica did not produce this effect.

  • PDF

관매도의 식물상 (Flora of Gwanmae Island)

  • 선은미;손현덕;박한수;임형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09-133
    • /
    • 2022
  • 2016년-2021년의 현지조사와 전남대 표본실(CNU) 소장 표본에 기초하여 전라남도 진도군 관매도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였다. 관매도에서는 103과 307속 461종 4아종 32변종 3품종의 총 500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중에는 홍도서덜취(Saussurea polylepis Nakai)를 포함한 10종의 고유종과, 지네발란(Cleisostoma scolopendrifolium (Makino) Garay), 새깃아재비(Woodwardia japonica (L. f.) Sm.)를 포함한 15종의 적색목록식물이 포함된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V등급종인 새깃아재비 등 4분류군, IV등급종인 애기등(Wisteria japonica Siebold & Zucc.) 등 4분류군, III등급종인 거문딸기(Rubus trifidus Thunb) 등 45분류군, II등급종인 닭의난초(Epipactis thunbergii A. Gray) 등 16분류군, I등급종인 천일담배풀(Carpesium glossophyllum Maxim.) 등 5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로는 냄새명아주(Cerastium glomeratum Thuill.) 등 3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Inhibitory Effect of Oriental Herbal Medicines on Tumor Necrosis $Factor-{\alpha}$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264.7 cells

  • Cho, Jae-Youl;Park, Ji-Soo;Kim, Pyung-Su;Chae, Sook-Hee;Yoo, Eun-Sook;Baik, Kyong-Up;Lee, Jong-Soo;Park, Myung-Hwa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5권1호
    • /
    • pp.12-19
    • /
    • 1999
  • Eleven out of 118 herbal medicines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Korean traditional prescriptions for inflammatory diseases exhibited more than 50% of inhibition on $TNF-{\alpha}$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by their total ethanol extracts with 0.1 mg/ml as a final concentration. The active 11 total extracts were prepared from Angelica koreana, Coptis japonica, Cynanchum paniculatum, Magnolia frgesii, Magnolia officinalis, Panax ginseng, Patrinia scabiosaefolia, Pterocarpus santalius, Rhapontica uniflora, Saussurea lappa. Of them, Coptis japonica, Magnolia fargesii and Saussurea lappa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TNF-{\alpha}$ production in vivo. These total extracts were sequentially fractionated with n-hexane,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n-butanol and water. Among the solvent-fractionated extracts with 0.05 mg/ml as a final concentration, inhibitory effects of Angelica koreana, Magnolia fargesii, Magnolia officinalis, Pterocarpus santalinus, Rhapontica uniflora and Saussurea lappa markedly showed in one or two solvent fractions suggesting that the principles may be concentrated by subfractionation as the main compounds.

  • PDF

수종의 생약 헥산분획 추출물에 의한 Streptococcus sobrinus 억제 효과 (Effects of the Medicinal Plants Against Streptococcus Sobrinus B13 in Hexane Fraction)

  • 윤혜정;하명옥;이경희;박영남;조민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97-200
    • /
    • 2007
  • 본 연구는 생약의 추출분획 용매 중 헥산추출에 따른 우식원인균의 억제효과와 배양시간 경과에 따른 항균력을 시간별로 비교 검토함으로써 치아우식예방제재로서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헥산 분획에 의한 생약추출물 11종을 대상으로 우식원인균인 S. sobrinus B13를 사용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생약 추출물에 S. sobrinus를 접종한 직후, 6, 12, 24시간 후의 항균효과를 측정해 보았을 때, 단삼이 가장 좋은 항균효과를 나타냈고, 그 다음으로 향부자와 목향, 백출 순으로 나타났다.

  • PDF

Inhibitory Activity of Medicinal Herbs on Nitric Oxide Synthesis in Activated Macrophages

  • Lee, Hwa-Jin;Kim, Ji-Sun;Jin, Chang-Bae;Ryu, Jae-Ha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1권1호
    • /
    • pp.16-21
    • /
    • 2005
  • Nitric Oxide (NO), derived from L-arginine, is produced by two types (constitutive and inducible) of nitric oxide synthase (NOS: cNOS and iNOS). The NO produced in large amounts by the iNOS is known to be responsible for the vasodilation and hypotension observed in septic shock, cancer metastasis and inflammation. The inhibitors of iNOS, thus, may be useful candidate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accompanied by the overproduction of NO. We prepared alcoholic extracts of herbal drugs which have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in oriental medicine. We have screened the inhibitory activity of NO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LPS)-activated macrophages after the treatment of these extracts. Among 82 kinds of extracts of herbal drugs, 35 extracts showed the potent inhibitory activity of NO production above 50% at the concentration of $50\;{\mu}g/mL$.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NO production were also evaluated for several solvent fractions at two different concentrations. Especially, hexane and EtOAc fractions of Alpinia officinarum, Angelica gigas, Ostericum koreanum, Saussurea lappa, Torilis japonica, and hexane fractions of Agrimonia pilosa, Machilus thunbergii, Hydrangea serrata, Magnolia obovata, Prunella vulgaris, Tussilago farfara, and EtOAC fractions of Perilla frutescence showed a significant activity at 10 and/or $25\;{\mu}g/mL$. In Western blot analysis, the hexane fractions ($5\;{\mu}g/mL$) of Magnolia obovata and Saussurea lappa, and EtOAc fractions ($20\;{\mu}g/mL$) of Hydrangea Serrata, Perilla frutescence and Torilis japonica inhibited the expression of iNOS protein in LPS-activated macrophages. These plants may be promising candidates for the study of the activity-guided purification of active compounds and might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and endotoxemia accompanying overproduction of NO.

경주국립공원 내 주요습지의 관속식물상 - 토함산습지, 암곡습지, 남산습지를 중심으로 - (Vascular Plants of Major Wetlands in Gyeongju National Park - Focused on Tohamsan wetland, Amgok wetland and Namsan wetland -)

  • 유주한;권순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1-5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fundamental data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wetland ecosystem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major wetlands, Gyeongju National Park. The study sites were Tohamsan wetland, Amgok wetland and Namsan wetland.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200 taxa including 70 families, 145 genera, 171 species, 2 subspecies, 23 varieties and 4 forms. The threatened species designa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was Utricularia yakusimensis, and the rare plants were 7 taxa including Utricularia yakusimensis, Drosera rotundifolia, Mosla japonica, Utricularia bifida, Pogonia japonica, Utricularia racemosa and Iris ensata var. spontanea.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Lespedeza maritima and Weigela subsessilis.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12 taxa including 3 taxa of grade V, 1 taxa of grade IV, 1 taxa of grade III, 2 taxa of grade II and 5 taxa of grade I. The plants with approval for delivering oversea were 9 taxa including Glycine soja, Saussurea pulchella, Habenaria linearifolia and so forth. The naturalized platns were 5 taxa including Rumex obtusifolius, Ambrosia artemisiifolia, Bidens frondosa, Erigeron annuus and Erigeron strigosus, the invasive alien plant was Ambrosia artemisiifolia.

폐석탄광산지역에 적용가능한 자생식물종의 중금속 흡수능력 평가 (Evaluation of Heavy Metal Absorption Capacity of Native Plant Species in an Abandoned Coal Mine in South Korea)

  • 양금철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8권4호
    • /
    • pp.290-298
    • /
    • 2021
  • 본 연구는 장기간 중금속 오염에 노출된 폐 석탄매립지의 토양 및 자생식물을 조사하고 온실 재배 실험을 통해 자생식물의 중금속 축적 능력을 평가하여 식물정화 기술 적용 가능성을 위해 수행되었다. 강원도 정선 화절령에 위치한 폐 탄광 주변에서 자생하는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 지역에 생육하는 동일속의 자생식물 2 종 (Carex breviculmis. R. Br.,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과 일반적으로 분포하는 식물 3 종 (Artemisia japonica Thunb.,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및 Saussurea pulchella (Fisch.) Fisch.)을 온실에서 인공적으로 오염된 토양에서 12 주 동안 재배하였다. 비소와 납으로 오염된 토양은 각각 25, 62.5, 125, 250 mg kg-1의 비소 농도 구배와 200, 500, 1000, 2000 mg kg-1의 납 농도 구배로 생성하였다. 실험 결과 비소 고농도 처리 (125 및 250 mg kg-1)로 5 개 식물이 모두 죽었고, 일부 식물은 2,000 mg kg-1 납농도 처리토에서 죽었다. 식물 이동계수는 비소 처리에서 H. hakuunensis에서 가장 높았고 납 처리에서는 A. japonica에서 각각 가장 높았다. 생물 축적계수는 비소 처리에서 모든 식물종에서 1 이상이었고 H. hakuunensis에서 가장 높았다. 그리고 모든 식물종은 납 처리에서 1 미만이었다. 특히 2000 mg kg-1 농도 납 처리에서 A. japonica는 1000 mg kg-1 이상의 납을 축적하여 납 과다 축적 물질이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결론적으로 A. japonica와 H. hakuunensis는 비소 중금속 축적이 뛰어났고 S. koriyanagi는 납 축적능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위의 3 가지 자생식물은 식물정화 기술에 적용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가리왕산의 산채(山菜) 분포(分布)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Wild Edible Herb Species in Mt. Kariwang)

  • 김갑태;엄태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4호
    • /
    • pp.422-429
    • /
    • 1997
  • 본 연구는 임산 부산물의 생산성과 산림관리를 통한 임산물의 생산성을 유지하는 방안을 강구하고자, 주요 산채의 분포와 임분구조 및 환경인자들과의 상관관계를 강원도 평창군 장전리 지역의 국유림에서 조사하였다. 곰취는 벌채지나 초원, 신갈나무림에 분포하며, 참나물은 활엽수 혼효림, 신갈나무림에 주로 분포하며, 수리취는 벌채지나 초원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침엽수 조림지에서는 주요 산채의 분포가 극히 제한적이었다. 참나물과 곰취는 토양수분 조건이 좋은 곳에서 주로 분포하였고, 더덕, 서덜취 및 수리취는 토양수분과는 무관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면 방위별 분석에서는 곰취와 참나물은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더덕, 서덜취 및 수리취에서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곰취의 경우는 사면 방위별로는 북향이나 서향에서 많이 분포하고 남향이나 동향에서는 극히 제한적으로 분포하였다. 참나물의 경우에도 사면 방위별로는 북향이 다른 방위에 비하여 월등히 많이 분포하였다. 곰취와 참나물, 투구꽃 및 박새 참나물과 풀솜대, 투구꽃 및 박새 등의 종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인정되어 비슷한 환경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충청북도 백운산 일대의 식물상 (The Flora of Mt. Baekwoon in Chungcheongbuk-do)

  • 유주한;진연희;장혜원;이동우;윤희빈;이귀용;이철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0-223
    • /
    • 2003
  • 본 연구는 백운산의 식물상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기간은 2000년 10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조사하였다. 충북 백운산(1,087m)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90과 273속 411종 1아종 49변종 7품종 등 총 468종류(Taxa)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본 대상지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을 조사한 결과 천마. 말나리, 금강제비꽃, 매미꽃. 도깨비부채, 쥐방울덩굴, 개족도리, 태백제비꽃, 미치광이풀. 토현삼 등 총 10종류로 나타났으며. 한국 특산식물은 개족도리. 가는장구채, 할미밀망, 진범, 매미꽃, 흰털괭이눈, 조팝나무, 가시딸기, 광릉갈퀴, 뽕잎피나무, 서울제비꽃, 금강제비꽃, 자란초, 토현삼, 병꽃나무, 털잔대, 고려엉겅퀴, 각시서덜취, 분취 등 19종류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