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rgassum fulvellum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52초

참모자반 메탄올 추출 분획물의 항산화 및 숙취해소능과 α-glucosidase 활성저해효과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s for Solvent Fractions from Methanol Extracts of Sargassum fulvellum and Its Antioxidant and Alcohol-Metabolizing Activities)

  • 강수희;조은경;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420-1427
    • /
    • 2012
  • 참모자반 분획물은 극성에 따라 핵산, 메탄올, 부탄올 및 수층 순으로 분획하여 4개의 분획층을 얻었으며, 각 분획층의 생리활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항산화 활성은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메탄올 분획 층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아질산염 소거능 실험에서는 부탄올 층이 pH 1.2에서 57.8%로 4개의 분획물중 가장 높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냈다. 숙취 해소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ADH 활성과 ALDH 활성을 측정하였다. 대조구로 사용한 흡광도 값을 100으로 하였을 때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hepos가 150~167%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4가지 분획층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특히 ALDH에서는 메탄올 분획층이 10 mg/ml 농도에서 167.4%의 활성을 나타내어 hepos와 비슷한 효과를 보였다. 참모자반 분획물의 혈당강하 효과는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 효과로 측정하였다.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 효과는 핵산 분획층에서 2 mg/ml의 농도에서 94.1%로 아주 높은 항당뇨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런데 부탄올층, 메탄올층 및 수층은 혈당강하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주름예방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행한 elastase 저해효과 실험에서 메탄올 분획층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주름개선효과가 나타났으며 2 mg/ml 농도에서 93.2%의 효과를 나타냈으며,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Vit. C (1 mg/ml) 보다 더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모자반 메탄올 추출물 중 특히 메탄올 분획층이 탁월한 주름개선 효과, 숙취 해소능과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핵산층은 혈당강하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자반 유기용매 분획물은 천연 기능성소재로서의 사용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갈조류 양식 모자반(Sargassum fulvellum)과 해적생물에 대한 pH와 염분의 효과 (Effects of pH and Salinity on the Cultivated Brown Alga Sargassumfulvellum and Associated Animals)

  • 황은경;하동수;백재민;위미영;박찬선
    • ALGAE
    • /
    • 제21권3호
    • /
    • pp.317-321
    • /
    • 2006
  • The effects pH and salinity on the brown alga Sargassum fulvellum were investigated in the context of the removal of two major associated animals, Caprella scaura and Gammaropsis utinomi. Optimum quantum yield (Fv/Fm) of S. fulvellum was also examined in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s as an index of stress. Experiments on pH and salinity tolerances of the two animal species indicated that mortality was more than 80% at extremes of pH (2, 3, 4, 10, 11, 12) and salinity (0, 3.5, 7, 10, 44 psu) after a 5 min treatment. Lethal time (LT50) from pH 2 to pH 4 was less than 90 sec in C. scaura, and less than 70 sec in G. utinomi. From 0 to 10 psu, LT50 was less than 20 sec in C. scaura and less than 60 sec in G. utinomi. The quantum yield of S. fulvellum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s within the pH range 4~10, and within the salinity range of 7-40 psu. When exposed to pH and salinity conditions outside these ranges,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the removal of two animal species was higher, but quantum yield was highly reduc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optimal conditions for removing the animal species without affecting optimum quantum yield were pH 4-10, and salinities 7-10 psu and 44 psu.

참모자반 (Sargassum fulvellum) 물 추출물의 염증 억제 활성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Water Extract of Sargassum fulvellum)

  • 정다현;김꽃봉우리;강보경;정슬아;김현지;정희예;박시우;안동현
    • KSBB Journal
    • /
    • 제27권6호
    • /
    • pp.325-329
    • /
    • 2012
  •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argassum fulvellum water extracts (SFWE) were investigated using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potential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SFWE, the NO, TNF-${\alpha}$, IL-6, IL-$1{\beta}$, and cell proliferation were measured. It was confirmed that the NO and TNF-${\alpha}$ secretion were significantly suppressed when SFWE was added to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Moreover, the expression of IL-6 and IL-$1{\beta}$ cytokines was suppressed by SFWE in a dose-dependent manner. Especially, IL-6 inhibition activities were over 50% at 1% of SFWE. The cytotoxicity of SFWE and the proliferation of macrophages was measured by MTT assay. As a result, there was no cytotoxicity in the macrophage proliferation treated with SFWE compared to the control.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FWE ma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flammatory factors and can be a potential anti-inflammatory therapeutic materials.

거대 갈조류 모자반으로부터 환원당과 레불린산의 생산 (Production of Total Reducing Sugar and Levulinic Acid from Brown Macro-algae Sargassum fulvellum)

  • 정귀택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77-18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거대해조류 중 갈조류에 속하는 모자반으로부터 환원당 및 platform chemicals로 알려진 levulinic acid의 생산을 위하여 묽은 산 촉매를 이용한 수열가수분해법을 수행하였다. 반응조건의 최적화를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을 적용하였다. 모자반으로부터 환원당과 levulinic acid의 생성에 미치는 반응인자들의 영향 및 상호작용을 알아본 결과, 실험조건 내에서 반응온도, 촉매농도, 반응시간이 낮거나 짧을수록 많은 양의 환원당이 생성되었다. 반면에 높은 반응온도와 촉매농도에서 levulinic acid 농도가 증가하였고, 일정 반응시간 이후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환원당 생성에 있어서 최적의 반응조건은 반응온도 $160.1^{\circ}C$, 촉매농도 1.0%, 그리고 반응시간 20.2분의 조건에서 15.28 g/l가 생성되었다. 또한 $189.5^{\circ}C$, 2.93%, 48.8분의 조건에서 2.65 g/l의 levulinic acid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해양자원 중 거대 해조류로부터 당과 platform chemicals을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화석자원의 대체에 활용할 기본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톳과 모자반 fucoidan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Properties of Fucoidans from Hizikia fusiformis and Sargassum fulvellum)

  • 구재근;조길석;도정룡;박진희;양차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59-666
    • /
    • 1995
  • 톳과 모자반으로 부터 fucoidan을 추출, 정제하여 그 성질을 분석, 검토하였다. Fucoidan의 추출 조건은 pH 2.0의 산성 추출액으로 $65^{\circ}C$에서 1시간씩 3회 추출을 하고 cethylpyridinum chloride를 사용하여 부분 정제하였다. 부분 정제 fucoidan의 수율은 톳 $2.51\%$, 모자반 $1.56\%$였다. DEAE-Sephadex A-25 이온 교환 칼럼으로 부분 정제 fucoidan을 분획한 결과 톳, 모자반 모두 3종의 획분으로 분획되었고, 각 획분은 전기 영동상에서 2종 이상의 band가 검출되어 불균일함을 알 수 있었다. 분획한 주획분을 다시 알콜 분별 침전법으로 재분획한 결과 톳은 에타놀농도 $60-70\%$에서 침전된 획분 (P-70)이, 모자반은 에타놀농도 $60-65\%$에서 침전된 획분 (P-65)이 cellulose acetate 전기 영동 및 젤 여과 크로마토그라프상에서 각각 균일성을 나타내었다. 균일하게 정제 된 톳과 모자반 fucoidan의 fucose : galactose : 황산기의 mole 조성비는 각각 1:0.66:2.74와 1:0.24:1.46였으며, 분자량은 톳은 26,000, 모자반은 105,000이었다.

  • PDF

무모 마우스 피부에서 모자반 추출물의 자외선비(ultraviolet B)에 의해 유도된 광노화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Mojaban (Sargassum fulvellum) extract on ultraviolet B-induced photoaging in hairless mouse skin)

  • 임동빈;김창희;황재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467-475
    • /
    • 2020
  • 자외선(Ultraviolet radiation)은 피부 주름 형성과 피부 건조를 특징으로 하는 광노화의 주요 원인이다. 모자반과(Sargassaceae)에 속하는 모자반(Sargassum fulvellum)은 항염증, 항산화, 항아토피 활성을 갖고 있다. 특히, 모자반은 인간 각질세포(keratinocyte)와 실험동물의 피부에서 UVB에 의한 염증 반응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모자반 추출물의 광노화 억제 효과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광노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UVB를 SKH-1 무모 마우스의 등 부분에 8주간 처리하였으며, 동시에 모자반 추출물을 300 mg/kg의 농도로 매일 경구 투여하였다. 현상학적으로, 모자반 추출물은 주름 형성, 홍반 및 피부 두께를 감소시켰으며, 피부 탄력을 증가시켰다. 모자반 추출물은 콜라겐 합성 유전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matrix metalloproteinase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콜라겐의 하이드록시프롤린(hydroxyproline) 함량을 증가시켰다. 추가적으로, 모자반 추출물의 경구 투여는 무모 마우스의 피부 수분 함량을 증가시켰으며, 경피수분손실(transepidermal water loss)을 감소시켰다. 모자반 추출물은 각질세포막 형성에 관여하는 involucrin, loricrin, transglutaminase의 발현과 자연보습인자 관련 생체지표인 filaggrin 및 caspase-14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종합적으로, 모자반 추출물은 피부의 콜라겐 손실과 건조를 완화함으로써 광노화 억제 활성을 제공하였다. 모자반 추출물은 피부 광노화를 억제하기 위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해양 갈조류를 생물흡착제로 이용한 납흡착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Lead Biosorption by Biosorbents of Marine Brown Algae)

  • 이민규;서정대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5호
    • /
    • pp.531-539
    • /
    • 1997
  • Lead sorption performances by biomass of nonliving, dried marine brown algae Undaria phnaunda, Hlzikia hsyormls. and Sugassum fulvellum used as biosorbent materials were investigated. As the amount of biosorbent materials added was increased, the lead removal by biosorbent materials Increased but the lead biosorption capacities decreased. However, with increasing Initial lead concentration the lead biosorption capacities by the biosorbent materials Increased but lead removal efficiencies decreased. In the range of Initial lead concentration(Co) 10-500 mg/L the lead biosorption capacities and removal efficiencies by the biosorbent materials Increased with increasing pH. Among the biosorbent materials used in this study, the lead biosorption capacities decreased in the following sequence: U. plilnaunda > H. fusiformis > S. fulvellum. The lead biosorption by biosorbent materials were expressed by the Langmuir Isotherm better than the Freundlich Isotherm. The biosorption rate could be expressed by the first order reaction rate equation for initial lead concentration like that rad : 0.288Co for U. phanda, rad = 0.255Co for H. fusiformis, and rad : 0.161Co for S. fulvellum. Key words : Lead, biosorption, biosorbent, Undaria pinnatinda, Hiztkia fusiformis, Sargassum fulvellum, Langmuir isotherm, Freundlich isotherm, biosorption rate.

  • PDF

모자반, Sargassum fulvellum (Turner) C. Agardh의 조기채묘를 위한 성숙 유도

  • 황은경;박찬선;김철원;백재민;손철현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89-190
    • /
    • 2003
  •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모자반류는 모두 24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와 강 19861 이 가운데 식용으로 이용되는 것은 모자반 (S. fulvellum)이 대표적이다. 모자반의 양식은 주로 서남해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의 종묘생산은 자연에서 생식기탁의 성숙되는 4-5월경에 이루어지는데, 유배의 대량 방출을 위한 성숙 모조의 다량 확보가 어렵고 일시에 유배의 대량 방출을 유도하기 위한 성숙 유도 기법의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중략)

  • PDF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rasshopper Ketone from Sargassum fulvellum Ethanol Extract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RAW 264.7 Cells

  • Kim, Min-Ji;Jeong, So-Mi;Kang, Bo-Kyeong;Kim, Koth-Bong-Woo-Ri;Ahn, Do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5호
    • /
    • pp.820-826
    • /
    • 2019
  • This study evaluated the anti-inflammatory potential of a grasshopper ketone (GK) isolated from the brown alga Sargassum fulvellum o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W 264.7 murine macrophage cell line. GK was isolated and purified from the n-hexane fraction and its structure was verified on the basis of NMR spectroscopic data. GK up to $100{\mu}g/ml$ is not cytotoxic to RAW 264.7, and is an effective inhibitor of LPS-induced NO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IL-6, $IL-1{\beta}$, and $TNF-{\alpha}$ was found significantly reduced in $0.1-100{\mu}g/ml$ dose ranges of GK treatment (p < 0.05). We confirmed the dose-dependent and significant inhibition of iNOS and COX-2 proteins expression. In addition, it has been shown that GK induces anti-inflammatory effects by inhibiting MAPKs (ERK, JNK, and p38) and $NF-{\kappa}B$ p65 phosphorylation. Our results show that the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GK may be due to the inhibition of the $NF-{\kappa}B$ and MAPKs pathways,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attenuation of cytokine secre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