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rcoma-180

검색결과 394건 처리시간 0.031초

영지(Ganoderma lucidum)의 β-Glucan에 의한 Sarcoma-180 육종암 생장 억제 (In vivo Growth Inhibition of Sarcoma-180 Cells by a β-Glucan from the Mushroom Ganoderma lucidum)

  • 한만덕;김용현;김완종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721-727
    • /
    • 2014
  • 버섯 다당류 ${\beta}$-glucan의 항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영지균사체로부터 단백다당류(GLP)를 분리하고 Sarcoma-180 육종암을 이식시킨 마우스에 복강 투여하여 항암활성을 확인하였다. 육종암이 서혜부에 이식된 마우스에 GLP를 20 mg/kg의 농도로 10일간 복강투여 한 후 30일차에 확인한 결과, Sarcoma-180 육종암은 대조군대비 71.4% 억제되었으며, 마우스의 혈청, 종양조직 및 간조직 내의 TNF-${\alpha}$의 농도는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GLP는 생체 내 TNF-${\alpha}$의 양적증가를 유도하며, 종양괴사 또는 에폽토시스와 연관된 육종암의 생장억제가 확인되었다. 이때 생장이 억제된 육종암 세포의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상대적으로 큰 핵과 세포의 에폽토시스에서 전형적으로 보여지는 염색질 응축이 관찰되었으며, 핵막은 특징적으로 뭉쳐져 불규칙한 모양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영지에서 분리된 GLP는 종양 세포의 에폽토시스를 유도하여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들깻잎에서 동정한 Phytol의 항암 및 면역활성증강 효과 (Antitumor Activity of Phytol Identified from Perilla Leaf and its Augmentative Effect on Cellular Immune Response)

  • 김광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6권4호
    • /
    • pp.379-389
    • /
    • 1993
  •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extracts from yellow-green vegetables reveal antitumor activiti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phytol in order to elucidate the immunological mechanism of antitumor activity of this substanc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experiment as follows: 1) Phytol showed cytotoxic effect on sarcoma 180 cells in vitro. 2) When phytol was injected into the peritoneal cavity of mice transplanted with sarcoma 180 cells, the average survival time (24.0 days) tended to increase as compared with the nontreated control (19.2 days). 3) When sarcoma 180 cells were injected subcutaneously into the right groin of mice, and then phytol was injected into the peritoneal cavity, the tumor inhibition ratio was 33%. 4) The natural killer(NK) cell activity was significantly augmented by phytol in vitro and in vivo. Similar augmentations of NK cell activity were obtained with culture supernatants of phytol exposed spleen cells and peripheral blood mononuiclear cells. 5) Phytol on the macrophage from peritoneal cavity showed a higher effectiveness in vivo than in vitro.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hytol shows the inhibitory effect for growth of sarcoma 180 cells in vitro, also it can augment macrophage and NK cell activities in vivo.

  • PDF

Antineoplastic natural products and the analogues V - Antitumor Activity of Skullcapflavon II

  • Ryu, Sung-Ho;Ahn, Byung-Zun;Pack, Moo-You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8권4호
    • /
    • pp.253-256
    • /
    • 1985
  • The effect of skullcapflavon II, 5, 2'- dihydroxy-6, 7, 8, 6'-tetramethoxyflavone, on the growth of transplantable L 1210 and sarcoma 180 tumors in mice was studied. Intraperitional treatment of skullcapflavon II cased a significant (T/C = 166%) and a moderate (T/C = 122 %) prolongations of the life spans of ICR and $BDF_{1}$ mice respectively, which had been intraperitioneally inoculated with sarcoma 180 and L 1210 cells. Peritumoral injection of skullacapflavon II on the solid form of sarcoma 180 in mice inhibited the tumor growth strongly (Inhibition rate = 71%).

  • PDF

닥나무(Broussonetia kazinoki) 추출물의 항암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nticancer Effect of Broussonetia kazinoki Extracts)

  • 민경진;정승희;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1-237
    • /
    • 1999
  • 닥나무 추출물의 항암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닥나무뿌리 껍질 methanol 추출물로부터 얻은 분획물(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butanol, aqueous 층)들의 0.05∼1.0mg/ml 농도에 대해서 MTT assay를 통한 세포독성 측정 및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in vitro로 검색하였고, in vivo에서 BALB/c mouse를 이용한 고형암 성장저지 실험 및 비장 장기 중량변화의 항암실험을 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세포독성 실험에 의한 MTT assay 결과 모든 분획물들은 농도 의존성으로 효과가 나타났으며 1.0 mg/ml 농도에서 ethylacetate층은 sarcoma 180 cell에 대하여 75.7%의 가장 높은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고 그 다음 aqueous, hexane, butanol, chloroform 층 순으로 각각 62.7%, 58.7%, 52.6%, 40.1%의 효과를 보였다. 각 분획물들에 의한 sarcoma 180 cell에 증식억제 효과는 배양일(1, 2, 3, 6일)이 증가함에 따라 암세포수는 증가하였으며 처음 1일째에 암세포 증식억제가 가장 많이 되었다. 1.0mg/ml 농도로 시료를 첨가하여 6일간 배양했을 때 ethylacetate 층은 60%의 억제율로 가장 현저 한 활성을 보였고 aqueous(42%), hexane(31%), butanol(30%), chloroform(19%)층 순으로 암세포 증식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암세포 증식에 대한 현미경 관찰을 해 본 결과 ethylacetate층은 대조군에 비하여 암세포 증식억제 정도와 형태 변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BALB/c mouse에서 sarcoma 180 cell에 대한 각 분획물들의 고형암 성장저지효과는 1.0mg/kg으로 시료투여했을 때 ethylacetate 층은 대조군에 비하여 41%의 유의적인 저지율을 나타냈으며(p<0.05), 그 다음은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aqueous 층 처리구가 39%,의 저지율을 나타내었다. 비장의 체중에 대한 중량변화는 대조군의 경우 1.08%인데 비해, ethylacetate층 처리군은 2.10%로 증가하였고 나머지 처리군에서는 대조군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한편, mouse의 체중 변화는 대조군과큰 차이가 없었으므로 시료 추출물로 인한 체중 및 장기의 독성 문제는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닥나무 뿌리 껍질 methanol 추출물로부터 얻은 분획물중 ethylacetate와 aqueous 층은 세포독성 효과와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 및 고형암 성장 저지 효과가 크게나타났으며, 체중에 대한 면역관련 장기인 비장의 중량증가로부터 면역계 활성과도 관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닥나무 뿌리 껍질의 효능이 큰 분획물로부터 항암활성 물질을 분리 정제하고 기전확립의 연구가 앞으로 더욱 보충되어야 할 것이며, 암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 및 치료제의 개발에 대한 가능성 확인을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의 Sarcoma-180 세포에 대한 항암 효과 (Antitumor Activity of Corni Fructus Ethanol Extract in Sarcoma-180 Cancer Cells)

  • 권승혁;권순재;김재용;강갑석;심기환;이미경;서권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960-965
    • /
    • 2010
  • 산수유를 항암 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sarcoma-180 암세포에 대한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의 증식 억제 및 마우스에서의 수명 연장효과를 검토하였다.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을 10, 100, 300 및 $500\;{\mu}g/mL$ 농도로 24, 48 및 72시간 별로 sarcoma-180 암세포에 처리하여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농도 및 시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500\;{\mu}g/mL$ 농도에서 48시간 배양 시 60% 이상의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을 $100\;{\mu}g/mL$ 농도 이상으로 처리한 암세포에서는 대조군의 증식이 감소되었으며, 형태학적 변화도 관찰되었다. 또한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핵을 응축하고 apoptotic bodies를 생성하였으며, 300 및 $500\;{\mu}g/mL$의 농도에서는 DNA fragmentation을 유도하였고 이러한 apoptosis 유도는 caspase-3 활성과 관련이 있었다.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을 sarcoma-180 암세포가 접종된 마우스 복강에 7일간 100 및 300 mg/kg/day의 농도로 연속적으로 투여하였을 때, 산수유 투여군의 수명이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되었다. 따라서 이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산수유는 암 예방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뽕나무버섯(Armillaria mellea)의 자실체에서 추출한 조다당류가 생쥐의 Sarcoma 180에 미치는 억제효과 (Inhibitive Effect of Mouse Sarcoma 180 by Crude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Fruiting Body of Aramillaria mellea)

  • 김상범;이건우;김혜영;심미자;노현수;이현숙;이민웅;이우윤;이태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8-104
    • /
    • 2006
  • 뽕나무버섯은 담자균문 송이과에 속하며 예로부터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식용버섯으로 알려져 있다. 뽕나무버섯 자실체로부터 중성염용액, 열수 및 메탄올 추출물을 분리하여 생쥐에 대한 항암 및 면역증강효과를 조사하였다. Sarcoma 180 복수암 세포를 주사하고 뽕나무버섯 조다당류를 투여한 실험군의 생쥐가 조다당류를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생쥐에 비해 생명연장효과가 67.5%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세포독성 실험결과, NIH3T3와 Sarcoma 180 세포주는 중성염용액, 열수 및 메탄올 추출물 $1000{\mu}g/ml$의 농도에서 배양하였을때 70% 내외의 생존률을 보였으며, 각 농도 구간에서도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중성염용액 추출물을 투여한 생쥐의 B 임파구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약 3.0배 내외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총 복강 세포수도 대조군에 비해 최고 3.5배 가량 증가하였으며, 혈액 중 백혈구의 수도 대조군에 비하여 약 2.5배 증가하였다. 그리고 면역에 관련된 장기인 간, 비장 및 흉선의 체중도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뽕나무버섯의 조다당류 추출물을 투여한 생쥐는 Sarcoma 180에 대한 항암 효과는 면역 활성의 증가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복령 및 인삼추출물이 Sarcoma -180 Mouse의 혈액상(血液象)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oria cocos and Panax ginseng Extracts on Hemogram of Sarcoma-180 Mouse)

  • 이복임;홍인표;김동원;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18-224
    • /
    • 1990
  • Sarcoma-180 에 감염된 mouse 에 복령(Poria cocos) 및 인삼 (Panax ginseng) 추출물을 투여하여 mouse의 혈액상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육종암(肉腫癌)에 감염된 mouse에 인삼추출액과 복령추출액을 혼합하여 투여한 구(區)에서는 암컷은 40%, 수컷은 42%의 사망율을, 복령추출액만 단독으로 투여한 구(區)에서는 암컷은 45%, 수컷은 50%의 사망율을 나타내어 추출물을 투여한 구(區)에서는 모두 50% 이상의 생존율을 보인 반면 추출액을 투여하지 않은 무투여군에서는 100%의 사망율을 나타내였다. 2. 암세포를 접종하고 추출물을 무투여한 구(區)에서 는 암(癌)이 진전됨에 따라서 복수(腹水)의 형성으로 인하여 체중이 증가하였으나 추출물을 투여한 구(區)에서는 복수(腹水)의 형성이 경미하여 체중증가율이 낮았다. 3. 적혈구수와 헤모글로빈수에서는 육종암(肉腫癌)을 접종하고 추출물을 투여한 구(區)나 추출물을 무투여한 구(區)모두 변화가 없었으나, 백혈구수 특히 임파구에서는 추출물을 투여한 구(區)에서는 정상치와 비슷하였고 추출액을 투여하지 않은 구(區)에서는 감소량이 현격하였다. 4. 적혈구용적, 평균적혈구용적, 평균적혈구혈색소량 등은 추출물을 투여한 구(區)나 추출물을 무투여한 구(區) 모두 큰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5. 백혈구, 혈소판의 분포는 복령추출액을 투여한 구(區)에서는 정상치와 비슷하였으나 추출물을 투여하지 않은 무투여한 구(區)에서는 크기 및 개체수의 이상 현상이 관찰되었다.

  • PDF

오미자 물추출물의 항종양 활성에 대한 효과 (Study on Antitumor Activity of Water Extract of Omija(Schizandra chinensis Baillon))

  • 이정숙;이성우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03-107
    • /
    • 1992
  • The antitumor activity of Omija water extract on sarcoma 180 transplanted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in ICR mice was investigated. combined treatment with Omija water extract and Cyclophosphamide augmented antivity against the solid form of Sarcoma 180 in ICR mice.

  • PDF

큰눈물버섯 (Psathyrella velutina)으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 PVP의 항암 . 면역활성 (Antitumor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PVP a Protein-polysaccharide Fraction Prepared from a Wild Mushroom Psathyrella velutina)

  • 정경수;이지선
    • 약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617-622
    • /
    • 2001
  • A protein-polysaccharide fraction of a Korean wild mushroom Psathyrella velutina, PVP, was prepared and its antitumor immunomodulatory activity was investigated. When PVP was administered once daily for seven days from day 1 to day 7 into male ICR mice implanted with 1 $\times$ 10$^{5}$ cells of sarcom 180 tumor cells into the peritoneum on day 4, it inhibited the growth of sarcoma 180 cells by 92.8%. In XTT assay, PVP also exhorted in vitro anti-proliferation activity on U-937, a human monoblastoid cell line, as well as sarcoma 180 cells. PVP showed marked stimulatory activity on the immune system in that it induced the accumulation of PEC (the stimulation index, Sl=4.90 at 100 mg/kg), stimulated the BALB/c mouse splenic lymphocytes to form lymphoblasts (Sl=5.75 at 100$\mu\textrm{g}$/ml), and upergulated the expression of CD25 molecules. All these results strongly support that PVP exhorts its antitumor activity through stimulation of the immune system as well as anti-proliferative activity on the tumor cells.

  • PDF

Pheflinus baumii 자실체 추출물의 Sarcoma-180 에 대한 항암 및 면역효과 (Antitumor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of a hot water extract of Phellinus baumii using Sarcoma-180 in the mouse)

  • 하효철;김현표;심지영;장윤희;김현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169-174
    • /
    • 2004
  •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약용버섯인 상황(P. baumii) 자실체의 열수 추출물로 부터 건강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항암실험 및 면역효과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PMO-P4의 경우 rDNA의 ITS부위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계통분석결과 P. baumii로 판명 되었으며, PMO-P4 자실체로부터 열수 추출한 성분(HWE-P4)을 160mg/kg/day의 농도로 하여 Sarcoma-180 암세포를 유발한 마우스에 경구투여한 결과 A군의 경우, 종양억제효과는 35.3%로 대조군보다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p<0.05), 생명연장 효과는 156%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의 경구투여 방법에 있어서도 시료를 먼저 2주간 투여한 후 암세포를 접종한 A군의 경우가 시료 투여와 암세포 접종을 동시에 실시한 B군의 경우 보다 종양억제효과 및 생명연장효과가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A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CD4/CD8의 비율이 71.4%증가 하였으며, CD25(IL-2receptor chain)분자의 발현을 5배정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P. baumii로 밝혀진 PMO-P4 자실체로부터 열수 추출한 성분의 항암효과는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여 항암효과를 나타내기 보다는 T cell등의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암세포를 억제 혹은 사멸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