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nguisorbae officinalis L.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4초

지유 에탄올 추출물의 식품부패균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of Sanguisorbae Officinalis L. Ethanol Extract)

  • 최무영;임태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7-36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effect against food-borne pathogens of Sanguisorbae officinalis L. ethanol extract.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was determined using a paper disc-diffusion method and the diameter of the clear zone was measured. The diameters of the clear zone in the presence of 10 mg of the ethanol extract were the maximum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mong the tested 4 gram-positive bacteria and Pseudomonas aeruginosa among the tested 7 gram-negative bacteria. Analysis of the 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s (MIC) showed that the ethanol extract exhibited a similar efficacy as sorbic acid, well-known chemical preservatives. The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 in the concentrations of 250, 500, 1,000 and 2,000 mg/L on food-borne pathogens were determined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Salmonella Typhimurium and Pseudomonas aeruginosa. The growth of the microorganisms was significantly (p<0.05) inhibited by the ethanol extract in the concentrations higher than 250 mg/L. Thu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 that the ethanol extract exhibits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food-borne pathogens, suggesting that Sanguisorbae officinalis L. could be used as natural antibacterial agent in food.

지유(地楡)(Sanguisorbae officinalis L.)의 항암 및 항균효과 (Cytotoxic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anguisorbae officinalis L.)

  • 이순애;손준호;곽재훈;박정미;이진영;안봉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141-14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탄닌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장미과 식물 지유의 생리활성기능을 살펴 식품 및 화장품산업의 천연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각종 암세포에 대한 세포증식 억제율은 시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Staphylococcus aureus, S. epidermidis, E. coli와 같은 세균에 대한 clear zone 형성을 관찰한 결과 추출물 0.5 mg/disc, 1 mg/disc의 농도에서 모든균에서 clear zone형성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생균수측정의 결과 500 ppm및 1,000 ppm에서 균수가 서서히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지유 에탄올추출물의 생체외 항산화 활성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Sanguisorbae Radix Ethanol Extracts)

  • 임태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9-15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지유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Pyrogallol의 억제율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DPPH 라디칼을 50% 억제시키는데 필요한 지유 추출물의 농도는 0.33 mg/mL으로 ${\alpha}$-tocopherol의 $IC_{50}$(0.40 mg/mL)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지유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alpha}$-tocopherol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지유 추출물의 superoxide 소거활성은 catechin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지유 추출물의 peroxyl 라디칼 소거활성은 ascorbic acid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지유 추출물의 구리이온 환원력은 ${\alpha}$-tocopherol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지유 추출물은 hydroxyl 라디칼 및 peroxyl 라디칼로 유발된 supercoiled DNA strand의 절단을 억제시켰다. 지유 추출물 0.5 및 5 mg/mL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0.50 및 3.33 mM gallic acid와 동등한 수준이었다. 또한, HepG2 세포주를 이용한 세포배양에서 지유 추출물 0.01, 0.1 및 0.5 mg/mL 농도의 첨가는 0.2 mM t-BHP로 유도된 세포독성을 각각 33.8, 79.1 및 96.9%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들은 지유 추출물의 강력한 항산화 효과와 세포독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효능은 적어도 자유라디칼의 산화억제와 높은 총페놀 함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오이풀잎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기능성 연구 (Biofunctional Activities of Sanguisorbae officinalis L. Leaves Ethanol Extract)

  • 박성진;나영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171-17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재배된 70% 오이풀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총페놀, 총플라보노이드, 페놀릭 화합물과 항산화성(DPPH, ABTS, FRAP, 환원력)에 대해 실험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총페놀과 총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각각 $119.3{\pm}1.54mg$ gallic acid and $59.6{\pm}1.43mg$ rutin를 나타내었다. 또한, 추출물에 함유된 페놀릭 화합물의 주된 물질은 Catechin으로 나타났으며, 항산화성을 나타내는 DPPH, ABTS, FRAP, 환원력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오이풀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성 및 기능성 식품 첨가물로서 좋은 재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산 지유(地楡)(Sanguisorbae officinalis L.)의 항산화 효과 및 천연소재로서의 활용방안 (Antioxidant Effects and Application as Natural Ingredients of Korean Sanguisorbae officinalis L.)

  • 이진태;이순애;곽재훈;박정미;이진영;손준호;안봉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2호
    • /
    • pp.244-250
    • /
    • 2004
  • 본 연구는 탄닌 성분을 다량 함유한 지유를 각종 효소학적 생리활성을 검토함으로서 식품 및 화장품산업에 응용 시 제품의 안정성과 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는 천연소재로서의 역할을 검토하였다. 효소학적 생리활성 실험에서의 전자공여능은 10 ppm에서는 54.9%, 50 ppm이상의 시료농도에서는 90% 이상의 높은 전자 공여능을 나타내었고, SOD-유사활성능은 1000 ppm에서 65.4%의 높은 활성이 나타내었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의 저해활성을 관찰한 결과 200 ppm의 농도에서 17.9%로 나타내었으며, 500 ppm에서는 36.9%로 비교적 낮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지방 산패도 측정 결과 시료농도 모두 지방 산패를 저해하는 능력이 뛰어 났으며, 지방 산화 촉진인자인 $Fe^{2+},\;Cu^{2+}$ 이온에 대한 금속이온 포집능력을 관찰한 결과 $Fe^{2+}$보다 $Cu^{2+}$ 이온의 포집 능력이 뛰어 났으며,시료농도 모두 50 ppm에서 40% 이상의 포집능력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지유 추출물은 기능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식품 및 화장품 제조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어 천연소재로서의 개발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오이풀 아세톤 추출물을 이용한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Solvent Fraction from Sanguisorbae officinalis L. with Acetone)

  • 김희영;여신일;이진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2호
    • /
    • pp.89-93
    • /
    • 2011
  • 오이풀 아세톤 추출물로부터 용매분획물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후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electron donating ability을 측정한 결과 ethyl actate 층과 n-butyl alcohol 층이 전 농도에서 대조군 BHA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결과 ethyl acetate 층, n-butyl alcohol 층, water 층 모두 전 농도에서 99%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어 BHA와 유사하였다.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ssay 결과 ethyl acetate 층, n-butyl alcohol 층이 대조군 ascorbic acid 보다 효과가 높았다. Superoxide dismutase (SOD) 유사 활성 측정 결과, n-butyl alcohol 층이 1,000 ${\mu}g/mL$ 농도에서 50% 이상의 효능이 있었으며, Superoxide anion 라디칼 소거능은 n-butyl alcohol 층의 1,000 ${\mu}g/mL$에서 45%의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오이풀 아세톤 추출물의 분획물 중 ethyl acetate 층과 n-butyl alcohol 층에서 항산화 효과가 있었으며, 새로운 항산화 화장품의 소재로서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Protective Effect of Sanguisorba officinalis L. Root on Amyloid ${\beta}$ Protein (25-35)-induced Neuronal Cell Damage in Cultured Rat Cortical Neuron

  • Ban, Ju-Yeon;Cho, Soon-Ock;Jeon, So-Young;Song, Kyung-Sik;Bae, Ki-Hwan;Seong, Yeon-Hee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219-226
    • /
    • 2005
  • Sanguisorbae radix (SR) from Sanguisorba officinalis L. (Losaceae) is widely used in Korea and China due to its various pharmacological activity.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ethanol extract of SR on amyloid ${\beta}$ Protein(25-35) $(A{\beta}\;(25-35))$, a synthetic 25-35 amyloid peptide, -induced neurotoxicity using cultured rat cortical neurons. SR, over a concentration range of $10-50\;{\mu}g/ml$, inhibited the $A{\beta}$ (25-35) $(10\;{\mu}M)-induced$ neuronal cell death, as assessed by a 3-[4,5-dimethylthiazole-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nd the number of apoptotic nuclei, evidenced by Hoechst 33342 staining. Pretreatment of SR $(50\;{\mu}g/ml)$ inhibited $10\;{\mu}M\;A{\beta}$ (25-35)-induced} elevation of cytosolic calcium concentration $([Ca^{2+}]c)$, which was measured by a fluorescent dye, fluo-4 AM. SR $(10\;and\;50\;{\mu}g/ml)$ inhibited glutamate release into medium induced by $10\;{\mu}M\;A{\beta}(25-35)$, which was measured by HPLC, an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R prevents $A{\beta}$ (25-35)-induced neuronal cell damage in vit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