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nd bed

검색결과 325건 처리시간 0.035초

대두의 근계에 관한 연구 제 1 보 지상부와 근계와의 관계 (Studies on the Root System of Soybeans I. Relations between the top and the root)

  • 장권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3권
    • /
    • pp.77-81
    • /
    • 1973
  • 대두의 근계에 관한 연구의 제1보로 3개품종을 상토와 모래의 2개토양에서 각시기별로 재료를 채취하여 몇 개형질에 대한 조사측정을 하고 통계처리를 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직경의 비대는 발육초기 1개월까지는 완만하며 8월하순이후부터 급격하여지고 모래보다 상토에서 그 비대정도가 높았다. 2. Top의 길이의 신장도 발육 1개월이후부터 급격하여지고 모래보다 상토에서 더욱 신장이 잘된다. 3. Top길이보다 Root길이가 발육초기 1개월까지는 길고 Root의 길이는 반대로 상토보다 모래에서 신장이 잘된다. 4. Top무게도 발육초기 1개월까지는 완만히 증가하고 모래보다 상토에서 무겁게 나타나나 Top길이보다 Top무게의 경우에 그 증가의 정도가 완만하다. 5. Top무게보다 Root무게는 발육초기 1개월까지는 무거우며 상토에서 모래보다 무겁게 나타난다. 6. 5개형질 상호간에는 모래, 상토, 전체에 있어서 어느것이나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Root길이와의 관계를 보면 Top무게, Top길이, Root무게, 경직경의 순서로 높은 상관계수를 나타내었다. 7. Root무게와의 관계를 보면 경직경, Top무게, Top길이, Root길이의 순서로 상관계수가 높았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for Analysis of the Self-Burial of Pipelines with Spoilers in Current

  • Kang, Min Joon;Lee, Seung Jae;Hwang, Jae Hyuk;Jo, Hyo Jae
    • Journal of Advanced Research in Ocean Engineering
    • /
    • 제2권1호
    • /
    • pp.22-27
    • /
    • 2016
  • This experimental study deals with the mechanism of spoilers that cause scouring around pipelines. The design methodology was applied to spoilers for accelerating pipelines that undergo self-burial into the sand-bed and evaluated using approaching experimental analysis. The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elf-burial ability of submarine pipelines with two types of sand-bed models: silt and sand. Spoilers of different heights were attached to the top of the pipeline for each experiment ca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ive scour depth and spoiler height was evaluated by applying different flow velocities and sand diameters and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values obtained from similarity experiments and theory. The experimental study will be useful in establishing a database for the design of spoilers.

Numerical Predictions of Heat Transfer in the Fluidized Bed Heat Exchanger

  • Ahn, Soo-Whan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4호
    • /
    • pp.29-43
    • /
    • 2010
  • The numerical analysis by using CFX 11.0 commercial code was done for proper design of the heat exchanger. The present experimental studies were also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irculating solid particles on the characteristics of fluid flow, heat transfer and cleaning effect in the fluidized bed vertical shell and tube type heat exchanger with counterflow, at which a variety of solid particles such as glass ($3mm{\Phi}$), aluminum ($2{\sim}3mm{\Phi}$), steel ($2{\sim}2.5mm{\Phi}$), copper ($2.5mm{\Phi}$) and sand ($2{\sim}4mm{\Phi}$) were used in the fluidized bed with a smooth tube. Seven different solid particles have the same volume, and the effects of various parameters such as water flow rates, particle diameter, materials and geometry were investigated. The present experimental and numerical results showed that the flow velocity range for collision of particles to the tube wall was higher with heavier density solid particles, and the increase in heat transfer was in the order of sand, copper, steel, aluminum, and glass. This behavior might be attributed to the parameters such as surface roughness or particle heat capacity.

광산배수 부유물질 저감을 위한 다양한 여과 매질의 특성 및 적용성 평가 - H 석탄광산 배수 (Feasibility Tests for Treating Fine Suspended Solids from Mining Drainage, using Various Media by Column Methods - A Case from H Coal Mine)

  • 이상훈;권혁현;오민아;이재영;김덕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7권6호
    • /
    • pp.112-118
    • /
    • 2012
  • Fine suspended solids from mine drainage draw attentions due to their potential adverse influences on the water quality, such as increasing turbidity and degrading aesthetic landscape. Currently, sand filter beds are adapted in some mine drainage treating systems. However, more efficient system is in demand, as the existing sand beds reveal some problems, such as frequent maintenance intervals. Various filtering mediums including fly ash, mine tailing aggregates and the sand were tested for improving the current system, using column experimental set-up. Mine drainag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current treating systems in the abandoned H coal mine. The experiment was run for 7 days. Suspended solids recorded as 100.9 mg/L and the value exceeds the current standard, 30 mg/L. Sand was proved to still be the optimum medium for the fine suspended solids, compared to fly ash and fly ash + sand. Mine tailing aggregates were placed at the exit of the columns, substituting gravels. The tailing aggregates is made by mine tailings and clay. Sand bed filters can also be improved by mixing granular activated carbon, which was found to be economical and efficient in the batch experiment, conducted at the same time.

벼 육모일수에 따른 양분흡수와 배유양분 소모 (Nutrient Absorption and Endosperm Consumption in Rice Seedling)

  • 김상수;최민규;이선용;조수연;전병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05-410
    • /
    • 1996
  • 벼 육묘 일수에 따른 양분 흡수 양상을 밝혀 어린모 기계이앙 상자육묘시 시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1990년 모래를 HCI로 세척후 시비량을 달리하고 동진벼를 상자당 200g을 파종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토의 질소 함유율은 모래(N-lg), 인공상토 모두 파종 후 3일부터 감소하였으며, 파종 후 11일부터는 모래(N-lg)에서 질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2. 식물체 질소 함유율은 파종 후 9일까지는 모래 N-lg, 인공상토, 모래 N-0g의 순으로 높았으나 파종후 11일부터는 인공상토>모래 N-g>모래 N-0g의 순으로 높았다. 3. 질소 흡수량은 출아 직후인 파종 후 3일부터 인공상토>모래 N-lg>모래 N-0g의 순으로 많았으며, 파종 후 9일까지는 인공상토와 모래 N-1g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 후 11일부터는 흡수량 차이가 컸다. 4. 인산의 흡수량은 파종 후 7일부터 인공상토>모래 N-lg>모래 N-0g의 순으로 많았고 칼리 흡수량은 모래의 시비량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5. 모의 초장과 건물중은 파종 후 3일부터, 엽수는 파종 후 5일부터 인공상토>모래 N-lg>모래 N-0g의 순으로 많았다. 6. 배유 소모율은 인공상토>모래 N-lg>모래 N-0g의 순으로 많았으나 배유 의존도(배유소모량/지상부 건물중)는 모래 N-0g>모래 N-lg>인공상토의 순으로 많았다.

  • PDF

기일고류동층내류동화(氣一固流動層內流動化) 및 전열특성(傳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II) (Fluidization and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in the Fluidized Bed(II))

  • 박종순;백고길;김은영;전성탁
    • 태양에너지
    • /
    • 제14권2호
    • /
    • pp.51-60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Furan foundry sand 유동층에서 유동화 특성과 Single spiral coil tube에 대한 열전달 특성을 실험하였으며, 전열관의 Pitch와 직경의 비(p/Do=1.58, 2.37, 3.17, 4.75) 및 전열관의 Pitch와 유동입자 크기의 비(p/dp=21.25, 25.15, 30.18, 35.93)가 전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Do가 증가 할수록 평균 열전달계수는 증가한다. 2) 평균 Nusselt수의 증가율은 p/Do=4.75일 때보다 1.58 일 때가 더 크다. 3) 평균 Nusselt수와 Re수, $Pr_g$수 및 p/dp의 상관 관계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었다. $Nu_{mean}=C\;Re^m\;Pr_g^{0.4}(p/dp)^n$.

  • PDF

자연정화공법에 의한 소형 하수처리장치 개발을 위한 최적 깊이 및 호기.혐기 비율 (Optimum Depth and Volume Ratio of Aerobic to Anaerobic Bed for Development of Small-Scale Sewage Treatment Apparatus by Natural Purification Method)

  • 서동철;박미령;곽내운;황하나;이홍재;조주식;허종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4-24
    • /
    • 2006
  • 자연정화공법에 의한 농촌 전원 독립가구 하수처리장치의 적정 설치방법을 결정하기 위하여 호기성조와 혐기성조로 구성된 소형 하수처리장치를 설계 및 시공하였다. 소형 하수처리장치에서 여재 깊이에 따른 수처리 효율을 조사한 결과 호기성조와 혐기성조 모두 여재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수처리 효율이 증가함으로 여재의 깊이를 90 cm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소형 하수처리장치의 최적 깊이인 90 cm하에서 호기성조 대 혐기성조 비율에 따른 수처리 효율을 조사한 결과 모든 여재에서 1 : 2 및 1 : 3의 호기 혐기 비율이 1 : 1에 비해 약간 높은 경향이었다. 따라서 소형 하수처리장치에서의 최적조건은 여재의 깊이는 90 cm이었고, 호기 혐기 비율은 1 : 2의 비율이었으며, 최적 여재는 왕사와 쇄석이었으며, 최적조건하에서 수처리효율은 BOD가 $97{\sim}99%$, COD가 $87{\sim}97%$, SS가 $88{\sim}99%$, T-N이 $57{\sim}68%$ 및 T-P가 $96{\sim}99%$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을 자연정화공법을 이용한 하수처리장치에 적용하면 하수처리장치의 부지면적을 최대한 줄이면서 높은 하수처리효율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파랑작용에 의한 준설토 지반의 안정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Stability of Dredged Soil Bed under Cyclic Wave Actions)

  • 강윤구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3-49
    • /
    • 2006
  • Detailed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on the stability of the dredged soil bed against wave actions, aimedat establishing the design method of artificial tidal flats using dredged soil. The soil was dredged at Nagoya port, Japan, and has a mean grain size of 0.013mm. Basic features of artificial dredged soil bed against wave actions were explained from a series of model experiments in a wave flume. The two types of section shapes were employed; one is a horizontal bed and the other is a sloped one. Changes of the bed profile, shear strength, grain size distribution and water content, according to the wave actions, were measured in detail. The cumulative effect of the wave actions, over about one week, was investigated. A dredged soil bed moves withthe wave actions with relatively small wave height. It should be especially. noted that the clay component is dissolved and flown out, away from the surface layer, and consequently the surface layer hardens, as if it is covered with sand. Wren the wave height is gradually increased, the bed is not liquefied and the shear strength of the dredged bed is increased by a wave-induced dissipation of pore pressures in the bed and a decrease of clay component by the wave-induced leak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