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monella food poisoning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33초

온라인에서 구매한 밀키트 제품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meal kit products purchased via online shopping)

  • 이승훈;남수진;김동우;김기련;박선정;이은지;제현지;구옥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35-240
    • /
    • 2022
  • 본 연구는 온라인 유통 중인 밀푀유나베 5종과 월남쌈 3종의 밀키트의 배송상태와 식재료 122개의 시료 대상으로 일반세균, 대장균군, 대장균에 대한 정량분석과, 병원성 미생물(Salmonella spp., E. coli O157:H7, L. monocytogenes)의 정성분석을 진행하였다. 배송형태는 하나의 제품을 제외하고 일반택배로 배송 되었고 제품 표면 온도 평균은 14.4℃이었다. 일반세균 정량분석 결과, 밀푀유나베 채소류에서 평균 6.66 log CFU/g, 육류에서 평균 3.27 log CFU/g, 땅콩소스에서 일반세균이 평균 1.81 log CFU/g로 나타났다. 월남쌈 채소류에서 평균 5.62 log CFU/g, 육류에서 평균 3.82 log CFU/g, 라이스페이퍼에서 평균 2.11 log CFU/g으로 나타났다. 대장균군·대장균의 정량 분석 결과, 밀푀유나베의 경우 채소류에서 평균 2.94 log CFU/g, 육류에서 1.27 log CFU/g이 검출되었다. 월남쌈 채소류에서 3.31 log CFU/g, 육류에서 1.93 log CFU/g이 검출되었다. 대장균은 밀푀유나베 식재료 중 청경채와 깻잎에서 검출되었으며, 평균 0.86 log CFU/g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육류에 비해 채소류의 오염도가 높았다. 병원성 미생물의 경우 Salmonella spp., E. coli O157:H7는 모든 시료에서 불검출되었으며, L. monocytogenes는 소고기 3개(3.75%)의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일부 시료에서 대장균 최대 허용한계치 값을 초과하였고, L. monocytogenes가 검출된 만큼 식중독 사고 예방을 위해서 세척 과정을 거친 후 섭취 및 조리하는 것이 권장된다.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는 율무차와 우동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평가(II) (The Quality Control of Adlay Tea and Wheat Noodles Served from the Vending Machines Based on the Periods of Storage)

  • 김혜영;이경연;김지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71-177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rve a standard of the good quality control and shelf-life of food and beverage served from the vending machines. So i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temperature (internal & external environmental, food itself), pH, Aw, POV and microbiological quality of Adlay tea and Wheat noodles served from the vending machines based on storage time in the machines. They were assessed to find the critical control point(CCP) during each of the production, delivery, purchasing phases from the vending machine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emperature of foods inside the vending machines was ranged from 4$0^{\circ}C$ to 45$^{\circ}C$. It was in the range of dangerous zone. The average temperature of food showed 71$^{\circ}C$ for Adlay tea and 74$^{\circ}C$ for Wheat noodles. As a result of measuring pH and Aw, they had potential danger. 2. Even though POV was low, it increased as the time passed. 3. As a result of microbial analysis, it showed that the amount of total plate count and coliforms were increased ten times after 1 day respectively. Wheat noodles' coliform and total plate counts exceeded standard value in 1 day. As a result of food poisoning bacteria, it was negative in sample against Vibrio parahaemolyticus, Salmonella, Staphylococcus aureus.

  • PDF

식중독균 항원(Salmonella typhimurium)에 의하여 생성된 계란항체(IgY) 특성과 항균 효과 (Proper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gg Yolk Antibody(IgY) againt Food Poisoning Bacteria (Salmonella typhimurium))

  • 백반석;한준표;배만종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07-213
    • /
    • 1999
  • Salmonella typhimurium 항원에 의해서 면역된 계란 특이항체(IgY)를 분리 정제하여, Anti-S. typhimurium 항체의 온도에 대한 활성을 실험한 결과 6$0^{\circ}C$에서 30분 가열시 91.5%, $65^{\circ}C$에서 15분 가열 시 각각 73.2%의 활성도를 나타내었으며, 8$0^{\circ}C$에서 15분간 가열 시는 거의 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H에 대한 안정성은 pH 7부터 pH 4까지는 각각 98.7%의 활성도를 유지하다가 pH 3부터 급격히 감소하여, pH 2에서는 9.6%로 거의 활성도를 나타내지 않았다. 항균활성은 생균수 측정에서는 항균활성을 확인할 수 없었으나, 응집반응과 disc diffusion susceptibility test에서 측정한 anti-S, typhimurium 항체의 항균활성도는 미약하나 확연한 미생물 억제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 실험에서 사용된 IgY는 항원에 대한 항체특성 및 항균효과 등을 고려해 볼 때 앞으로 식중독균 제거 및 예방 치료뿐만 아니라 식품산업 소재, 각종 질병예방을 위한 의약품 소재, 연구용 kit와 진단용 kit 및 축산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 된다

  • PDF

유산균을 함유한 녹즙의 HACCP 시스템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도 평가 (Microbiological Evaluation for HACCP System Application of Green Vegetable Juice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a)

  • 권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924-4931
    • /
    • 2011
  • 본 연구는 유산균을 함유한 녹즙제품의 HACCP(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시스템에 의한 제조공정도 작성과 공정별 원료 농산물과 제조 시설에 대한 일반 세균수와 병원성 미생물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공정별 원료농산물의 원재료보관공정 단계의 4가지 시료에서 일반세균이 검출되었으며, 용수(water)는 8.67~14.67 CFU/$m{\ell}$ 검출되었다. 하지만 자외선살균공정 이후, 모든 시료는 법적기준치인 $10^5\;CFU/m{\ell}$이하로 검출되었다. 식중독균인 E. coil, E. coli O157:H7, B. cereus,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Staph. aureus 실험결과, 보관공정에서 E.coli는 자외선 살균 전단계 공정까지 검출되었으며, B. cereus는 1차세척까지 일부 검출되었다. 모든 세균 및 진균류는 주원료에서 많이 검출되고 있어 주원료의 초기 균수를 최소화하는 선행관리방법을 수립할 필요가 있으며, 세균수와 황색포도상구균 등의 교차 오염방지를 위한 제조설비 등의 효과적인 세척 소독방법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상기 결과을 바탕으로 유산균을 함유한 녹즙류의 일반세균 및 식중독균을 감소 또는 제거할 수 있는 중요한 공정으로 UV살균공정이 CCP로 관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자외선살균공정의 관리기준 및 이탈시 조치방법, 검증방법, 교육 훈련과 기록관리 등 철저한 HACCP 계획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도축돈에서 분리된 살모넬라의 혈청형 및 유전형 (Serotypes and genotypes of Salmonella isolates from slaughtered pigs)

  • 최원종;정지헌;원호근;강정무;한태욱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16
    • /
    • 2008
  • Salmonella infections cause the disease in pigs but also some zoonotic Salmonella serotypes can be transmitted to human through swine products, resulting in food poison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acteriological prevalence and detection of invA gene using Salmonella 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he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Salmonella strains cultured from pig samples in Gangwon areas using serotyp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nd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methods. During the period of November 2001 through April 2002, 1,174 ileocecal lymph node were collected from the slaughtered pigs raised in 38 farms located in Gangwon province. The samples were submerged in boiling water and macerated in saline and lymph node homogenates were inoculated into Tetrathionate broth with iodine (TTB, Difco, 0.5% iodine was added) for enrichment growth. Then additional tests were performed using several mediums, and suspects were identified by API 20E kit (BioMerieux) and PCR. Of total 1,174 samples from 38 farms, 44 (3.7%) were isolated as Salmonella spp from 13 farms (34.2%). Of 44 isolates, 31 were in Yangyang region, followed by 9 in Goseong, 2 in both Gangneung and Sokcho.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gional isolation frequency. All isolates have a 521bp amplified product in Salmonella specific PCR with primer invA which encodes in proteins for invasion of epithelial cells. Of 44 recovered serotypes, 23 (52.3%) were S Eingedi, 10 (22.7%) S Schwarzengrund, 9 (20.5%) S Typhimurium, and 2 (4.5%) S Mbandaka. In RAPD analysis, there appeared to be unique bands distinguishing each serotype, although similarities exist between the different serotypes. Four serotypes of 44 Salmonella isolates appeared to fall into 14 different RAPD types. In PFGE analysis, 9 S Typhimurium were tested with XbaI enzyme and SpeI enzyme. The combination of results obtained with two enzymes subdivided the 9 S Typhimurium into 4 PFGE types.

Salmonella enteritidis 감염에 의해 장내 점막에서 유도되는 면역반응에 관한 연구 (Research for Intestinal Mucosal Immunity Induced by Salmonella enteritidis Infection)

  • 이강희;이세희;양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6-43
    • /
    • 2022
  • 점막면역체계는 병원체에 대항하여 정밀하게 설계된 생물체의 방어체계로 그 중 위장관은 최전방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을 하는 기관이다. 숙주 감염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 가운데 식중독을 유발하는 살모넬라는 구강경로로 체내로 들어와 파이어판을 통해서 침입한다. 다양한 혈청형의 살모넬라 균주는 여러 톨유사수용체의 리간드를 통해서 숙주의 선천면역을 자극하지만, 숙주 특이성과 병원성에 따라 장내 점막에서 다양한 후천면역반응을 유도하기도 한다. 우리는 살모넬라 균주 중 비교적 연구가 덜 되어있는 S. enteritidis에 의해 감염되었을 때 장 내에서 일어나는 면역반응을 연구하였다. 우선 마우스에 처리할 적정 농도의 살모넬라 농도를 정하기 위해 살모넬라의 농도를 다르게 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고농도의 살모넬라 처리군에서 더 낮은 생존율과 높은 몸무게 감소율을 관찰하였다. 반수치사량의 반에 해당하는 농도의 살모넬라를 마우스에 감염시켰을 때 장 내 수지상세포와 T 세포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동일한 조건의 마우스에서 회장조직을 염색했을 때 뮤신 분비의 증가와 술잔세포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밀착연접단백질 유전자의 상대적인 발현량을 분석하였고 살모넬라 처리군에서 Claudin의 유의적인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 살모넬라 감염 후 DSS를 처리한 실험에서 살모넬라 처리군에서 생존율이 낮아짐을 확인하여 S. enteritidis가 염증반응을 악화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재배방법별 주요엽채류의 생산단계에서 세척단계까지 미생물상의 변화 (Changes of Microbial Populations on Major Leafy Vegetables Cultivated by Different Methods from Production to Washing Stages)

  • 오소영;남기웅;윤덕훈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8-4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농법별 주요 엽채류의 생산단계에서 부터 수확된 농산물의 모의유통과 세척단계까지 동일 개체를 대상으로 미생물상의 변화를 비교하여 단계별 미생물적 안전성 관리방안을 수립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하였다. 생산 및 유통중 위생지표균 및 식중독 균의 검출량을 조사한 결과 호기성 세균을 제외한 조사대상 미생물은 발병량 이하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생산단계에서 검출되지 않거나 낮은 수준이었던 위생지표균 및 식중독균의 검출량은 엽채류의 종류, 재배방법에 관계없이 생산단계보다 모의유통 중 증가하였으나, 세척단계에서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산과정에서 검출되지 않았던 미생물이 모의유통중 검출된 것은 수확후 처리과정 중 교차오염으로 예상되며, 생산단계에서 낮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던 미생물의 증가는 유통과정 중 증식한 결과로 판단된다. 따라서 유통단계에서는 저온유통시스템의 확대 적용과 운반도구 등에 대한 위생관리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중쇄지방산을 활용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화학 합성 및 항균 활성 (Chemical Synthesis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Glycerine Fatty Acid Esters Using Medium-Chain Fatty Acid)

  • 이경행;이은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354-359
    • /
    • 2023
  • A mono-type glycerine fatty acid ester compound was chemically synthesized using medium-chain fatty acids with antibacterial activity, and the physicochemical quality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synthesized glycerine medium-chain fatty acid ester compound were measured. At a reaction molar ratio of MCT(medium chain triglyceride) to glycerine of 1:2.5, 48.15% mono ester was produced. The physicochemical analysis of the synthesized glycerine fatty acid ester compound showed an acid content of 0.38~0.60%, which tended to increase slightly as the glycerine molar ratio increased. The saponification value decreased as the synthesized molar ratio of glycerine increased from 218 to 284. The number of bacteria was measured to confirm the degree of antibacterial activity of glycerine medium-chain fatty acid esters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Bacillus cereus and Salmonella typhi. The number of bacteria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MCT:glycerine molar ratio increased. In particular, the antibacterial effect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was the highest when at an MCT:glycerine molar ratio of 1:2.5.

조미김의 HACCP 시스템 구축을 위한 생물학적 위해도 평가 연구 (A Study on Microbiological Risk Assessment for the HACCP System Construction of Seasoned Laver)

  • 김강열;윤성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68-278
    • /
    • 201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system to the production of seasoned laver products. The hazard analysis examined microbial evaluations and developed a HACCP management plan through the heating process. Methods: In this study we chose three companies and performed the analysis thrice. During this study, general bacteria along with other food poisoning bacteria such as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 E.coil, O157:H7, Vibrio parahaemolyticus, were studied at varying temperatures from 100 to $300^{\circ}C$. Results: The presence of general bacteria was detected in raw laver in the samples analyzed from all the three companies, and the number ranged from $10^5-10^7$. Bacillus cereus was detected in samples from only two of the three companies analyzed. However,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E.coil, O157:H7, and Vibrio parahaemolyticus were all negative. General bacteria was reduced to $10^5$ after being subjected to temperatures of $100-250^{\circ}C$, but heating to over $270^{\circ}C$ reduced the number to below $10^3$, and the other microbes such as Bacillus cereus were not detected.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heating process ($270-280^{\circ}C$) along with RPM of 100-1200 were identified as CCP to reduce biological hazards.

유해미생물에 대한 참나무과 식물 잎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ies of Quercus spp. Leaf Ethanol Extract Against Foodborne Disease Microorganism)

  • 공영준;홍거표;권혜정;홍정기;박부길;오덕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15-420
    • /
    • 2001
  • Eighteen kinds of medicinal edible herbs, which are nontoxic and has been widely used in traditional folk medicine, were extracted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xtracts was investigated against various foodborne pathogens or food poisoning microorganisms. Among them, the ethanol extract of Quercus mongolica show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Gram positive and Gram negative bacteria and followed by Quercus aliena and Quercus dentata, respectively. Thus, further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Quercus species extracts. The plants were extracted with ethanol, methanol and water, respectively. The ethanol, methanol, and water extracts of Quercus mongolica leaf showed 10~21 mm inhibition zone against Gram positive and Gram negative bacteria at two thousand $\mu\textrm{g}$ per disc, but little antimicrobial activity was observed against fungi and yeast.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 of the ethanol extract of Quercus mongolica leaf was 250$\mu\textrm{g}$/mL against Bacillus cereus. Salmonella typhimurium, and Pseudomonas aeruginosa and 62.5~125 $\mu\textrm{g}$/mL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Listeria monocytogenes,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