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monella C1 serogroup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7초

살모넬라 C1 serogroup 특이 rfbM 유전자 증폭과 염기서열 분석 (DNA Sequence analysis and rfbM gene amplification using PCR for detect salmonella C1 serogroup)

  • 이성일;정석찬;문진산;박용호;이존화;김병수;백병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09-118
    • /
    • 1996
  • The Salmonella rfb gene encoding for the biosynthesis of the oligosaccharide-repeating units of the O-antigenic determinants was cloned and sequenced. A set of nucleotide primers(a forward and reverse) was selected to target a defined region of the guanosine diphospho-mannose(GDP-Man) pyrophosphorylase synthase gene : rfbM of Salmonella C serogroup. The primer set was used to develop a PCR-based rapid and specific detection system for Salmonella C1 serogroup. Amplification bands of predicted size(1,422bp) were generated from 11 different Salmonella C1 isolates. The bands were verified to be specific for the C1 serogroup by Southern blot analysis using reference homologous DNA specificity was further confirmed by the lack of reactivity with heterologous DNA derived from non-salmonella members of the family enterobacteriaeceae. A specificity of 100% was deduced along with a very high sensitivity shown by a detection limit of 1fg of a purified DNA template. The isolated DNA sequence was found to be 99.8% homologous to S montevideo but the related primers amplified with the predicted band sizes with all the Salmonella C1 serogroups tested. It is concluded that the PCR protocol based on the rfbM gene from S cholerasuis is optimal fast and specific for the detection of Salmonella C1 serogroup and also the corresponding probe is suitable for rapid detection of all Salmonella C1 serogroup DNA tested. This technology should facilitate the identification of contaminated pig products and for any other products contaminated with the Salmonalla C1 serogroup. The immediate impact of this developed method will be in the area of food safety of pig products with the potential prospect for adaptation to other food inspection technologies.

  • PDF

SefA 유전자 PCR에 의한 Salmonella serogroup D1의 특이적 검출 (Specific detection of Salmonella serogroup D1 by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for sefA gene)

  • 전무형;김태중;장경수;강경임;김귀현;김기석;유상식;김현수;신광순;김철중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523-530
    • /
    • 1999
  • Sal enteritidis thin fimbriae, SEF14, were found to be restricted to the predominantly poultry-associated members of the Salmonella serogroup D1 that are considered as the important pathogens in poultry industry. SefA together with sefB and sefC encode the proteins involved in SEF14 biosynthesis. In order to develop the rapid and specific detection methods for Salmonella serogroup D1, a PCR technique for the amplification of sefA gene was established, and its specificity and sensitivity were investigated with various microorganisms. The bacterial genomic DNA was extracted by colony-picking and rapid boiled-lysate technique. In comparison of Sef I and Sef II primers used in the PCR, Sef I primer for sefA gene of 513bp showed higher specificity than that of Sef II. The established PCR was as sensitive as to detect 1pg of Sal enteritidis DNA. When 73 strains in 28 genera including the reference strains and the field isolates of various Salmonella serotypes, Bacillus subtilis, Bordetella bronchisepdca, E coli, Listeria spp., Micrococcus luteus, Rhodococcus equi, Staphylococcus spp., Streptococcus spp., Vibrio parahemolyticus, Yersinia spp. were studied, the established PCR yielded specifically positive results with only Salmonella serogroup D1.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CR for sefA gene could be a potential candidate among the specific detection methods for Salmonella serogroup D1.

  • PDF

도축장 출하 직장협착 돼지에서 분리된 살모넬라균 혈청형 및 항생제 감수성 (Serotyping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Salmonella species from pigs with rectal stricture found in slaughterhouses)

  • 김지연;곽진주;서두리;이재기;임대웅;김하나;박지영;최종욱;윤병철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37-145
    • /
    • 2023
  • From November 2021 to October 2022, 151 pigs were discarded due to the suspected salmonellosis, when assessed by antemortem inspection at slaughterhouses in Gwangju. Among them, 85 cases shown with the rectal stricture were confirmed to be infected with Salmonella spp, when assessed by postmortem inspection and Salmonella-oriented culture in the laboratory, accounting for 56.3% of the carcass discard cases. Salmonella spp. were isolated in 58 cases (68.2%) out of 85 total discard cases. As for serotyping of the Salmonella isolates, 28 cases (48.3%) belonged to serogroup B and 28 cases (48.3%) belonged to serogroup C, those were the most frequent isolates, and 2 cases (3.4%) belonged to serogroup E. The most prevalent serotype was Rissen (39.7%), followed by I4,[5],12:i:-(37.9%), Derby (8.6%), Bareilly (5.2%), Infantis (3.4%), Give (3.4%), and Typhimurium (1.7%). The 58 isolates of salmonellae showed resistance to tetracycline (63.8%), chloramphenicol (56.9%), ampicillin (53.4%), and ampicillin-sulbactam (51.7%). S. Rissen showed resistance to chloramphenicol (82.6%), ampicillin (52.2%), ampicillin-sulbactam (52.2%), and tetracyclin (47.8%). S. I4,[5],12:i:-was resistant to tetracycline (90.9%), ampicillin (81.8%), ampicillin-sulbactam (77.3%), and chloramphenicol (59.1%). Among the isoates, S. Bareilly (3 strains), S. Infantis (2 strains), S. Give (2 strains), S. Rissen (3 strains), and S. I4,[5],12:i:- (1 strain) showed no resistance to the tested antimicrobials. As for the prevalence of the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 AM-SAM-TE-C was the most common, which was shown in 15.5% of S. Rissen. At second, the resistance pattern was occurred as AM-SAM-TE (12.1%) and AM-SAM-CF-CZ-FOX-CTX-NA-TE-C (12.1%), respectively in the case of S. I4,[5],12:i:-.

동물(젖소)건강 Monitoring System 모델 개발 V. 유우의 사육규모에 따른 Salmonella spp., Escherichia coli O157:H7 및 Listeria monocytogenes의 분리 빈도 (Development of a Model for Animal Health Monitoring System V. Iso1ation Frequence Of Salmonella spp., Escherichia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from Dairy Cow with different herd size)

  • 김용환;김종수;김곤섭;최민철;이은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16-320
    • /
    • 2000
  • The present study conducted to evaluate the isolation frequency of Salmonella sap., Escherichia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fecal samples collected form 33 dairy cow feedlots in West Gyeong-nam province from tan. 179\ulcorner to Feb. 1999. Salmonella spp. were isolated from 8.7% of fecal samples and 57.5% of dairy cow feedlots participaiting in this study had at least one positive fecal 7ample. The isolation rates of Salmonella spp. in each herd size were 42.9% in ln less than 125 heads, 63.6% in 25% to 50 heads and 75% in more than 50 heads. Of the positive sample, the most common serogroup recovered was Bl(31.5%), followed by C1 and D(22.9%), C2(16.2%), A(4.2%) and E(2.1%), in order. However, E.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were net detected in the fecal samples collected from all feedlots.

  • PDF

국내 노계 운반 전용 차량에서의 살모넬라 오염율 및 차량소독에 따른 오염도 감소 효과 (Prevalence of Salmonella Species Isolated from Old Hen Delivery Trucks in Korea and Application of Disinfectant for the Reduction of Salmonella Contamination)

  • 나덕환;홍영호;윤미영;박은진;임태현;장준혁;김병윤;이동훈;송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16
    • /
    • 2013
  • 살모넬라는 농장, 부화장, 도계장 그리고 가공장 등, 양계산업 전반에 걸쳐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가져다 줄 뿐만 아니라, 축산물 소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현대인들의 건강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축산업 및 현대 식생활에 있어 살모넬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있는 상황에서 살모넬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농가 및 도계장에 살모넬라 오염을 일으킬 수 있는 노계 운반 전용 차량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노계 운반을 위해 종계장에 출입하는 전용차량 200대를 선발하여 살모넬라 오염도를 파악하고, 분리된 살모넬라균을 그룹별, 혈청형별, 계절별로 분석하였으며, 노계 운반 차량에서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살모넬라를 저해하는 방법인 소독제 분무 방법과 이에 따른 살모넬라 저해율 그리고 소독제 희석 비율에 따른 저해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노계 운반 전용 차량의 50%가 살모넬라균에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룹별로 C1그룹이 65.8%로 가장 높은 분리율을 나타냈고, 총 25종의 살모넬라균속이 분리, 이 중 C1 그룹에 속하는 S. Infantis가 가장 높은 분리율을 나타냈다. 계절별로 여름철에 채취한 시료에서 73.1%로 가장 높은 분리율을 나타냈다. 포름알데히드(79.8 g/L), 글루탈알데히드(50 g/L), 4급암모늄(60 g/L) 합제 성분이 들어간 소독제를 사용하여 노계 운반 차량에 적용한 결과, 소독 전에 비해 소독 후에 유의적인 살모넬라의 저해 효능을 보였다. 특히, 일반적인 소독제 권고 희석비율인 200:1의 비율에서는 낮은 저해율을 보인 반면 50:1의 희석 비율로 희석한 소독제를 적용한 실험에서는 유의적으로 높은 살모넬라 저해율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노계 운반 전용 차량이 농가 및 도계장의 살모넬라 오염원으로써 충분한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 있으므로 노계 도태 차량 또는 도계장으로 실용계를 운반하는 차량에 대하여, 적절하고 철저한 소독을 통해 농가 및 도계장 재오염에 대비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Mix LPS-ELISA법을 이용한 살모넬라균 복합감염항체 동시 모니터링 (Application of mix LPS-ELISA for monitoring of antibodies to major serogroups of Salmonella in animal)

  • 이희수;임숙경;우승룡;이유영;김종염;주이석;김종만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793-802
    • /
    • 1998
  • Salmonellosis caused by a number of serotypes of Salmonella is an infectious, acute or chronic, zoonotic disease and characterized by enteritis and diarrhea, septicemia in animal. In these studies we investigated the prevalent serotypes of Salmonella causing animal salmonellosis in Korea and the 71 strains of Salmonella spp. were isolated from materials such as mesenteric lymph nodes, fecal samples from slaughtered animal. With the identification test results, the most prevalent serotypes were, in order, S stanley 31 strains (43.7%), S typhimurium 19 strains (26.8%) and S montevideo 11 strains (15.5%), respectively. And we could establish the method for detection of antibodies to broad variety of Salmonella serotypes. Lipopolysaccharide(LPS) antigen extracted from Salmonella was more sensitive and specific than outer membrane protein antigen from that for detection of Salmonella antibody by using an indirect ELISA.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antigen was 100ng/ml of LPS, the dilutions of conjugate and serum were 1 : 1,000~2,000 and 1 : 200~400, respectively. The mix LPS-ELISA which was used by mixing LPS from S typhimurium (group B), S choleraesuis (group C) and S enteritidis (group D) were more rapid and effective than that used LPS from individual strain for detection of Salmonella serogroup O4, O7 and O9 antibody at the same time. We could obtain the high values of optical density ($0.73{\pm}0.32$) by mix LPS-ELISA on the farm which had occurred salmonellosis, but very low values of $0.17{\pm}0.06$ on the negative farm of salmonellosis. So, the mix LPS-ELISA may be used to monitor the serological surveillance for the presence of infection with a number of serotypes of Salmonella and would be useful for prevention and control of salmonellosis in animal.

  • PDF

대전지역 살모넬라증 환아에 대한 임상적 연구(1994~1999년) (Salmonellosis in Children in Daejeon, Korea, 1994~1999)

  • 전성수;이경일;이형신;김상용;한지환;허재균;황경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7권2호
    • /
    • pp.211-217
    • /
    • 2000
  • 목 적 : 장티프스와 세균성 위장염의 주된 원인인 살모넬라 병원체는 우리 나라에 토착화되어 있으며 최근 장티프스의 발생 수는 줄고 있으나 살모넬라 위장염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살모넬라증 환아의 연도별, 계절별 발생 례를 분석하고 임상양상과 검사실 소견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4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6년간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소아과에 급성위장관염으로 입원한 환아 중 살모넬라균이 대변에서 배양된 83명의 환아의 입원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1996년부터 1999년 사이의 발생수는 14~23례로 최근 4년간 증가한 경향을 보였으며 여름철에 45.8%, 가을철 32.5%가 발생하였다. 남아가 48명(57.8%)으로 남녀비는 1.4 : 1을 보였고, 5세 이하가 64명(77.1%)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1세 이하의 영아에서 18명(21.7%)이 발생하였다. 임상증상은 설사가 80례로(96.4%) 가장 흔한 증상이었으며 발열(91.6%), 구토(49.4%), 혈변(42.1%), 복통(40.1%), tenesmus(12.0%), 두통(7.2%), 경련(3.6%), 기면(2.45%) 등의 순으로 관찰되었다. 살모넬라균의 혈청학적 아군(serogroup)은 전체 83례 중 A군 0%, B군 41.0%, C군 3.6%, D군 51.8% 및 E군 3.6%이었다. Widal 검사에서 B, C 및 E군 37례에서 O titer 1 : 80 이상은 5례(13.5%), 1 : 320 이상은 1례(2.7%)가 있었으며, D군 36례 중 O titer 1 : 80 이상은 19례(52.7%), 1 : 320 이상은 9례(25.0%)에서 관찰되었다. 항생제 내성율 검사에서 ampicill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과 chloramphenicol의 내성율은 각각 23.2%, 10.1%와 51.4%로 나타났으며, aminoglycoside계 및 3세대 cephalosporin계에 대한 내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최근 소아 위장염 환아 중 살모넬라 감염이 흔히 관찰되며 특히 학동기 이전의 소아에서 호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장티프스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대변 배양검사를 통한 균의 동정이 필요하며, 살모넬라 위장관염의 치료에서 항생제 치료의 적응증을 엄격히 적용하여 다약제 내성균의 발생을 방지하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 PDF

소아에서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 위장관염의 임상양상과 항생제 내성률에 대한 연구 (Non-typhoidal Salmonella Gastroenteritis in Childhood: Clinical Features and Antibiotics Resistance)

  • 나소영;김병찬;양혜란;정수진;이경훈;고재성;이환종;김의종;서정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5권2호
    • /
    • pp.150-157
    • /
    • 2002
  • 목 적: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균은 세균성 위장관염 및 장열 등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균으로 전 세계적으로 발생률이 증가할 뿐 아니라 항생제에 대한 다제내성률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소아에서의 연구 보고는 많지 않아 저자들은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 위장관염의 임상양상과 항생제 내성률 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0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 내원하여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 위장관염으로 진단받은 환아를 대상으로 임상양상, 항생제 내성률 및 변역 상태에 따른 내성률과 다제내성률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대변 검사상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균이 분리된 99례 중, 남아가 66례 여아가 33례였다. 2세 이상 3세 미만이 23례로 가장 많았으며 5세 미만에서 발생한 경우가 전체의 71%에 해당하였고 평균 연령은 4.0세였다. 25례는 항암 화학요법이나 스테로이드 및 면역 억제제 치료 등으로 면역 기능이 저하된 환자였다. 혈청군 중 D군이 65례로 가장 많았고 B군이 16례, C군과 E군이 각각 8례였다. 3례에서 균혈증이 동반되었다. 항생제에 대한 내성률을 보면 ampicillin에 31%, chloramphenicol에 12%, TMP-SMX에 20%, cefotaxime에 11%, cefixime에 8%의 내성률을 보였으며 ciprofloxacin은 모든균주에서 감수성을 보였다. Cefotaxime과 cefixime에 대한 내성률은 변역가능이 저하된 환아군에서 각각 24%, 14.3%로 정상군에서의 6.8%, 5.6%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0.05). 연령별(5세 미만 vs 5세 이상), 혈청군별(D군 vs 비D군) 내성률의 차이는 없었다. 한편 3가지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다제내성균은 11례에서 동정되었고, 변역가능이 저하된 환아군에서의 동정률이 24%로 정상군에서의 동정률인 6.8%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 론: 비장티푸스성 살모넬라 위장관염인 소아환자에서 항생제 치료를 해야 하는 경우에, 소아에서 안정성이 확립되지 않은 quinolone을 제외한다면 3세대 cephalosporin을 1차 선택제로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처럼 변역 가능이 저하된 환자에서는 cefotaxime과 cefixime에 대한 내성률과 다제내성률이 유의하게 높으므로 적절한 항생제 선택에 주의해야 할 것이며 향후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최근 12년간 발생한 살모넬라증 환아의 임상적 특성: 단일기관 연구 (Clinical Manifestations of Salmonellosis in Children during the last 12 Years: A Single Institution Experience)

  • 박재홍;이택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0권1호
    • /
    • pp.1-8
    • /
    • 2013
  • 목적 : 장티푸스와 세균성 위장염의 주된 원인인 살모넬라균에 의한 감염증은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관찰할 수 있는 질환이며 최근 장티푸스의 발생 수는 줄고 있으나 살모넬라 감염증은 꾸준히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12년간 살모넬라증 환자의 임상적 양상과 배지에서 동정된 살모넬라 균주의 변화, 항생제 내성을 연구하기로 하였다. 방법 : 2000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12년간 분당 차병원에 입원한 18세 이하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의무기록을 통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환아의 임상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 환아 수는 총 53례였으며 환아의 연령별 분포를 보면 2세가 10례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중간값은 3세(최소 12일, 최대 18세)였다. 대상 환아 중 남아의 수는 33례(62.3%)이다. 계절별로는 여름(6,7,8월)이 21례(39%)로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으며, 연도별로 비교하였을 경우 2001년이 11례로 가장 많았으며, 2003년에는 7례가 진단되었으나 2004년에는 2례로 급감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2009년과 2010년에는 진단된 환아가 없었다. S. typhi가 배양된 환아는 모두 3명이었으며 모두 혈액에서 S. typhi가 배양된 균혈증을 보이고 있었다.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 결과에서는 ampicillin에 대한 내성이 16례로 가장 높았으며 S. typhi는 항생제 감수성 결과 내성을 보이는 항생제가 없었다. 2000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와 2006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의 두 군으로 나누어 전 6년군과 후 6년군으로 나누었으며, 전 6년군의 환아는 40례였으며 후 6년군의 환아는 13례였다. 연도에 따른 ampicillin에 대한 내성율은 후 6년군에서 더 증가한 소견을 보이고 있으나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으며(25% vs. 38.5%, P=0.349) 연도에 따른 혈청군별 항생제 내성율의 분포상 전 6년군에서는 D군이 가장 많았고, 후 6년군에서는 C군과 D군이 많았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살모넬라 감염증은 2000년대 초반에 많았으나 2004년부터 급감하는 소견을 보이고 있으며 연도별로 본 혈청형과 항생제 내성의 경향에는 뚜렷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