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monella

검색결과 2,518건 처리시간 0.043초

국내 박물과 환경에 분포하는 미생물의 분리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in Domestic Museum Environments)

  • 이상준;이재동;차미선;이나은;윤수정;조현혹;권영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8호
    • /
    • pp.793-800
    • /
    • 2005
  • We isolated and identified microorganisms from the aerial environment of domestic museums. The fungi, Penicillium spp., Alternaria spp., and Cladosporium spp. were isolated in many museums. It seems that these fungi are related to biological degradation of textile remains. A total of 14 kinds of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Acinetobacter spp., Pseudomonas spp., Neisseria spp., Alcaligenes spp., Shigella spp., Klebsiella spp., Corynebacterium spp., Aerococcus spp., Bacillus spp., Micrococcus spp., Citrobacter spp., Erwinia spp., Salmonella spp., and Providencia spp. Acinetobacter spp., Pseudomonas spp., Neisseria spp., and Alcaligenes spp. were the predominate bacteria found in samples with a variety of bacteria.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bacteria and the damage of textile remains. In the museum, we isolated Alternaria spp, Geotrichum spp., Penicillium spp. Acinetobacter spp., Pseudomonas spp., Alcaligenes spp. from the entrance, exhibit hall and storage, but they were found in smaller number and species in the exhibit cases and paulownia cases. We concluded that paulownia cases were not influenced by the microorganisms because of quality of care provided by the museum staff. Corynebacterium spp., and Bacillus spp. were not detected at the entrance and exhibit hall but were detected in paulownia cases. It is presumed that those bacteria did not flow in from outside, but resulted from contaminants in paulownia cases. In the distribution of microorganisms associated with textile remains, more fungi were detected than bacteria. Acinetobacter spp., Pseudomonas spp., and Neisseria spp., were isolated from silk items. Penicillium spp. and Cladosporium spp. were isolated in the silk and hump items. Aspergillus spp. and Penicillium spp. were isolated from the cotton items. On the other hands, there were no fungi strains in the wool items. Most of the isolated strains from textile remains were aerial microorganisms from the museum environ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extile remains were apt to contaminated by contact with the air.

참기름, 흑참기름, 들기름 및 올리브유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Sesame, Black Sesame, Perilla and Olive Oil Extracts)

  • 김은주;황성연;손종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80-28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참기름, 흑참기름, 들기름 및 올리브유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참기름, 흑참 기름, 들기름 및 올리브유 추출수율은 각각 0.94%, 0.70%, 0.48% 및 0.30%로 참기름의 경우, 추출수율이 가장 높았으며, 올리브유의 경우 가장 낮았다. 참기름, 흑참기름, 들기름 및 올리브유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7%, 1.9%, 3.0% 및 1.4%이었고, 총 페놀 함량은 각각 6.5%, 4.5%, 4.1% 및 10.1%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참기름> 올리브유> 들기름> 흑참기름 추출물의 순으로, 참기름 추출물이 가장 강한 효과를 보였다. 참기름, 흑참기름, 들기름 및 올리브유의 SOD 유사활성은 1,000 ppm일 때 0.1%, 36.2%, 34.5% 및 31.0%, 5,000 ppm일 때 0.2%, 67.2%, 90.2% 및 46.7%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참기름> 흑참기름> 들기름> 올리브유 추출물의 순으로, 참기름 추출물이 가장 강했다. 올리브유 추출물의 경우 B. cereus, M. luteus, E. coli, S. Enteritidis 모두에서 강한 항균효과를 보인 반면, 흑참기름 추출물의 경우는 M. luteus와 E. coli에서만 약한 항균효과를 보였다. 한편 참기름 및 들기름 추출물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케일과 신선초 채소즙의 안전성 및 항돌연변이 효과 (Safety Effects against Nitrite and Nitrosamine as well as Anti-mutagenic Potentials of Kale and Angelica keiskei Vegetable Juices)

  • 김종대;이옥환;이종석;정혜연;김보경;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8호
    • /
    • pp.1207-121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유기농 및 일반농 케일과 신선초를 착즙하여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안전성 및 항돌연변이 활성을 비교하였다. 유기농 채소즙의 안전성 측정을 위해 질산염과 아질산염 함량을 분석한 결과 케일즙의 경우 유기농 및 일반농의 함량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신선초즙의 경우 유기농이 일반농보다 질산염 및 아질산염 함량 모두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한편 7종류의 니트로사민 모두가 이들 채소즙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니트로사민의 저해물들이 반응하는 위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공위액에서의 소화과정 중 질산염과 아질산염 함량을 분석한 결과, 유기농 및 일반농 채소즙의 질산염 함량은 인공소화 전보다 후의 함량이 현저히 낮아졌다. 인공 위액계에서 채소즙은 아질산염과 2급 아민에 의해 생성되는 니트로사민의 생성을 오히려 크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질산염과 아질산염을 함유하고 있는 채소즙의 돌연변이 유발 및 저해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Ames test를 한 결과 항돌연변이 활성이 있었으며, 유기농 채소즙의 항돌연변이 효과가 일반농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결과 채소즙의 주재료가 되는 유기농 케일 및 신선초는 질산염, 아질산염 등의 함량이 낮을 뿐만 아니라 소화과정에서 전환되어 니트로사민을 생성하지 않았고 항돌연변이 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흑마늘박 추출물의 항균 활성과 미생물 제어를 위한 시금치 세척에의 이용 (Antimicrobial Activity of Black Garlic Pomace Extract and Its Application to Cleansing of Fresh Spinach Leaves for Microbial Control)

  • 강지훈;손현정;민세철;오덕환;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50-45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흑마늘 진액 가공 후 발생하는 흑마늘박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흑마늘박 추출물의 항균성과 시금치에 대한 세척 적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흑마늘박 추출물은 주요 병원성 미생물인 L. monocytogenes, S. aureus, E. coli O157:H7, S. Typhimurium에 대해 모두 항균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그람 양성균인 L. monocytogenes와 S. aureus에 더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시금치에 0.5% 흑마늘박 추출물을 처리한 후 $4{\pm}1^{\circ}C$에서 9일 동안 저장하면서 미생물 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흑마늘박 추출물 처리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저장 9일 동안 시금치의 총 호기성 세균 수를 1.23~1.35 log CFU/g, 효모 및 곰팡이 수는 0.82~1.12 log CFU/g 감소시켰다. 또한, 흑마늘박 추출물 처리는 저장 9일 동안 시금치의 Hunter 색도 값 및 총색차 값을 저장 초기와 유의적인 차이 없이 지속시켰기에 색도 품질 유지 측면에서 단순 물 세척 처리구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흑마늘박 추출물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 높은 항균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시금치와 같은 신선 농산물의 미생물 제어를 위한 효과적인 세척 처리 물질로써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활나무 부위별 추출물의 유지에 대한 항산화 효과 및 항균성에 관한 연구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Crotalaria sessiflora L.)

  • 우나리야;김태수;박춘근;성하정;고상범;강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948-952
    • /
    • 2005
  • 본 연구는 활나물의 항산화제와 항균제로의 이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수행되었다. 활나물의 용매 추출수율은 줄기, 잎, 뿌리 순이었고 줄기추출수율이 $4.47\%$로 가장 높았다 총 페놀성화합물 함량은 잎, 뿌리, 줄기의순이었고, 잎 추출물이 2.98 mg/mL로 가장 높았으며, 줄기 추출물에서 가장 낮았다. 활나물 부위별 추출물의 유지에 대한 항산화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옥수수유에 추출물과 항산화제를 각 농도별로 첨가하여 $60\pm2^{\circ}C$에 저장하면서 3일 간격으로 POV를 측정한 결과, 활나물의 잎, 줄기, 뿌리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하여 저장기간 동안 높은 항산화성을 나타내었고, $0.05\%$의 추출물을 첨가한 군의 항산화 활성이 높았다. 또한 저장기간에 따른 CDV측정 결과 POV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산화 유도기간은 잎, 줄기$0.05\%$ 추출물이 대조군에 비해 연장되었다 활나물추출물의 항균성을 측정한 결과 잎 추출물이 모든 균종에서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줄기, 뿌리 추출물 순으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Pseudomonas florescens에 대해서는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활나물 추출물의 항산화효과와 항균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부위에서 강한 활성을 나타내어 천연 첨가물로의 개발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Aspergillus oryzae 또는 Bacillus natto 발효콩의 Isoflavone 함량과 생리활성 (Isoflavones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Soybeans Fer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or Bacillus natto)

  • 정우열;김성기;손종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41-14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Asp. oryzae 및 B. natto로 각각 발효시킨 콩의 이소플라본의 함량변화, 생리활성에 대하여 비교, 조사하였다. 총 이소플라본 함량은 비발효콩이 81.80 mg/100 g, Asp. oryzae 발효콩이 130.70 mg/100 g, B. natto 발효콩이 139.50 mg/100 g이었다. 비발효콩, Asp. oryzae 발효콩 및 B. natto 발효콩의 총 페놀 함량은 각각 2.1, 4.3 및 7.6%이었고, 아질산염소거능은 각각 34.2, 55.2 및 92.5%로 측정되었다. 항균효과의 경우, B. natto 발효콩은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와 Escherichia coli에서 가장 강한 항균효과가 나타났다. Asp. oryzae 발효콩은 Staphylococcus aureus와 Salmonella Enteritidis에서 항균효과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B. natto 발효콩의 항균성이 강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Asp. oryzae 발효콩에서 가장 강했던 반면, 전자공여능에서는 B. natto 발효콩에서 가장 강한 radical 소거능이 측정되었다. 리놀레산 기질에 대한 Asp. oryzae 발효콩의 항산화 효과는 비발효콩이나 B. natto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식품위해성 세균의 증식 억제 및 세포구조 변화 (Inhibition of Foodborne Pathogens and Spoilage Bacteria and Their Structural Changes by Ethanol Extract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 김세령;김미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9-11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의 천연 항균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식품 위해성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Paper disc diffusion test와 최소저해 농도(MIC) 측정에서는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이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 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해 큰 생육저해환과 낮은 MIC를 나타내었다. Time-kill assay에서는 L. monocytogenes의 생육이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에 의해 가장 저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E. coli, E.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에서는 ${\beta}$-galactosidase와 o-nitrophenyl-${\beta}$-D-galactoside가 높은 반응을 나타냄으로써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로 인해 세포막 손상이 유발됨을 유추할 수 있었다. 또한 E. coli, E. coli O157:H7, P. aeruginosa, Salmonella Typhimurium 등 그람음성균에서는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의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세포구성물의 유출과 세포 외막의 투과성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시차주사현미경(SEM)과 투과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관찰한 세포구조에서도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 처리 시 세포막의 부분적인 파괴와 세포 팽윤이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 결과는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이 식품위해성 세균에 대해 높은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천연 항균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생육 시기에 따른 자두류 중 후무사의 식중독균에 대한 저해효과 (Antimicrobial Activities of 'Formosa' Plum at Different Growth Stages against Pathogenic Bacteria)

  • 이인선;김현정;유미희;임효권;박동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69-573
    • /
    • 2003
  • 자두류중 후무사를 6월 말경에 처음으로 수확하여 5일 간격으로 6차례 채취한 다음 최종 수확 10∼25일전 까지의 후무사 1-4를 미숙과로, 최종 수확 0∼5일전까지의 후무사 5, 6은 완숙과로 구분한 후 각각 메탄을 추출물을 제조하여 대표적인 식중독 세균 4종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하였다. 각 균에 대한 후무사의 항균력은 시료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은 저해를 보였고, 특히 5.0 mg/disc의 농도에서는 이들 4종의 균 모두에서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완숙과에 비해 미숙과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후무사 1, 2의 경우 가장 강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E. coli O157:H7와 S. tyhimurium에 대한 후무사의 항균력도 완숙과에 비해 미숙과에서 항균력이 높았고, 특히 5.0 mg/disc 농도에서는 E. coli에 비해 S. typhimurium에서 항균활성이 감소되었다. 그람양성균인 고 L. monocytogenes와 S. aureus에 대한 후무사의 항균력도 완숙과에 비해 미숙과에서 높은 항균활성을 보이고, 시료 농도가 증가할수록 더 큰 억제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후무사 미숙과의 최소 저해 농도는 E coli의 경우 320 $\mu\textrm{g}$/mL, S. aureus에서 160 $\mu\textrm{g}$/mL, S. typhimurium과 L. monocytogenes은 640 $\mu\textrm{g}$/mL이었다. 이와 같이 후무사 메탄올추출물은 4종의 식중독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였고, 특히 완숙과에 비해 미숙과에서 높은 항균활성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발효숙성생강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ginger with aging and fermentation)

  • 서영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180-1187
    • /
    • 2017
  • 본 연구는 생강의 천연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마쇄한 생강과 숙성 후 발효시킨 생강을 이용하여 항산화 및 항균활성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생강 추출물의 pH는 6.68 산도는 0.39로 나타났으며, 생강을 발효숙성 시켰을 때 pH는 감소하였으나, 산도는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 일반 생강의 6-gingerol 함량은 $404.8{\mu}g/g$ 이었으며, 6-shogaol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발효숙성생강 추출물의 6-shogaol 함량은 $128.8-196.4{\mu}g/g$로 증가하여 발효숙성 과정 중 6-gingerol이 6-shogaol로 변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총 페놀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결과, 일반생강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이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유의차는 없었다. ABTS 활성소거능은 발효숙성 생강이 88.11-101.32%로 65.43%의 일반생강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DPPH radical 소거능도 발효숙성생강 추출물이 10-20% 정도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p<0.05) 특히 S. thermophilus로 발효한 생강에서 가장 높았다. 일반생강과 발효숙성생강 추출물의 항균효과를 확인하고 활성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한 디스크확산법에 의한 결과는 그람양성균인 S. aureus와 L. monocytogenes 균주에서 발효숙성생강 추출물의 항균활성이 유의적으로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L. brevis로 발효시킨 추출물의 항균효과가 가장 높았다. 또한 그람음성균인 Salmonella spp. 균주에서도 일반생강에서는 clear zone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발효숙성생강 추출물에서는 1.88-2.51 cm의 clear zone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E. coli에서는 clear zone이 관찰되지 않았다. 최소억제농도인 MIC 결과 항균효과를 위해 발효숙성생강보다 일반생강에서 보다 많은 양의 시료가 요구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생강을 숙성 후 발효시키면 천연기능성 식품소재로서 radical 소거 및 항균활성이 높게 측정되었음을 확인하였으며, 발효 중 생강의 매운맛이 감소되었을 것으로 판단되어 향후 식품산업에서 발효숙성생강을 이용할 때 항산화 및 항균성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여겨진다.

6-[(N-3,4-디플루오로페닐)아미노]-7-클로로-5,8-퀴놀린디온의 항진균작용 및 안전성 평가 (The Evaluation of Antifungal Activities and Safeties of 6-[(N-3,4-Difluorophenyl)amino]-7-Chloro-5,8-Quinolinedione)

  • 유충규;김동현;윤여표;이병무;허문영;정해문;권상미;정성희
    • 약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08-615
    • /
    • 1996
  • 6-[(N-3,4-Difluorophenyl)amino]-7-chloro-5,8-quinolinedione(RCK4) was tested for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systemic infections with Candida albicans in normal mice.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RCK4 had been assessed in comparison with ketoconazole and fluconazole. RCK4 had $ED_{50},\;0.30{\pm}0.14$ but ketoconazole and fluconazole had $ED_{50},\;8.00{\pm}0.73,\;10.00{\pm} 0.43mg/kg$ respectively.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RCK3 at the $ED_{50}$ for 7 days and 14 days reduced Candida albicans colony count in the kidneys and liver as well as ketoconazole and fluconazole at these $ED_{50}$. And administered RCK4 at the $ED_{50}$ for 14 days improved survival rates as well as ketoconazole. Acute oral toxicity studies of RCK4 were carried out in ICR mice of both sexes. These acute oral toxicities of RCK4 were low and $LD_{50}$ values were over 2,850mg/kg in ICR mice. The genotoxicities of RCK4 had been evaluated. RCK4 was negative in Ames test with Salmonella typhimurium and chromosomal aberration test in CHL cells. The clastogenicity was tested on the RCK4 with in vivo mouse micronucleus assay. RCK4 did not show any clastogenic effect in mouse peripheral blood and was negative in mouse micronucleus assa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CK4 has no genotoxic potential under these experimental condi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