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inity Intrusion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8초

해안대수층에서 담수-염수 경계면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to Parameterize Salt-Wedge Formations in Coastal Aquifer)

  • 박화준;김원일;호정석;안원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11호
    • /
    • pp.1005-1015
    • /
    • 2009
  • 해안대수층의 염수침투에 의한 담수-염수 경계면 특성을, 가로 140 cm, 세로 70 cm, 두께 10 cm 의 직사각형 모래수조 모형을 이용하여 모의하였다. 대수층 모형의 특성과 염수의 염도에 따른 총 31가지의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위치흐름 해석법을 유도한 Glover (1959)의 이론식과 호도그래프를 이용한 Henry (1959) 해석식 및 위치흐름 해석법을 이용한 Strack (1976)의 해석해 결과와 비교하였다. 대수층의 수리전도도, 해수의 염도, 그리고 해안가 지표경사에 따른 담수-염수 경계면의 위치와 기울기를 모의하였다. 다공질매체의 수리전도도와 해수의 염도가 높을수록 평형을 이루려는 담수-염수의 수위비($H_F/H_S$)가 높아지고, 이에 따라 경계면이 염수조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또한 염수조 방향의 모래사면의 경사가 급해질수록 경계면의 기울가가 완만하게 형성되었다.

북태평양어장의 해양환경 (Review of Oceanography of the Subarctic North Pacific Ocean)

  • 장선덕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7권1호
    • /
    • pp.9-27
    • /
    • 1971
  • Oceanography of the Subarctic North Pacific Ocean is reviewed. The submarine topography and the current systems in the region are explained. Recent serial observation data reveals that. though the upper mixed layer of low salinity is relatively thick. the pattern of the property distribution in winter is essencially similar to that in summer. Alaskan Stream Extension Water. which influences the abundance and the location of demersal fishes. extends northward to 58${\circ}$ N Lat in the Bering Sea. A southeastward intrusion of the Bering Borcal Cold Water causes the formation of a sharp oceanic front. where the demersal fishes such as Alaska pollacks and cods arc concentrated. The Alaska pollacks seem to avoid the low salinity water of the Alaskan Coastal Water.

  • PDF

북태평양어장의 해양환경 (Review of Oceanography of the Subarctic North Pacific Ocean)

  • 장선덕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7권1호
    • /
    • pp.8-8
    • /
    • 1971
  • Oceanography of the Subarctic North Pacific Ocean is reviewed. The submarine topography and the current systems in the region are explained. Recent serial observation data reveals that. though the upper mixed layer of low salinity is relatively thick. the pattern of the property distribution in winter is essencially similar to that in summer. Alaskan Stream Extension Water. which influences the abundance and the location of demersal fishes. extends northward to 58${\circ}$ N Lat in the Bering Sea. A southeastward intrusion of the Bering Borcal Cold Water causes the formation of a sharp oceanic front. where the demersal fishes such as Alaska pollacks and cods arc concentrated. The Alaska pollacks seem to avoid the low salinity water of the Alaskan Coastal Water.

한국남해의 여름과 겨울철 성층변동 (Stratification Variation of Summer and Winter in the South Waters of Korea)

  • 이충일;구도형;윤종휘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43-50
    • /
    • 2007
  • In order to calculate the strength and to. see the variation af the stratification in the Southern Waters af Korea, the stratification parameter defined as potential energy anomaly (PEA, $V(J/m^3)$) introduced by Simpson and Hunter (1974) was used The data used in this paper were observed in August 1999 and February 2000 by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FRDI). Also to know the effects af the temperature and the salinity an the stratification respectively, averaged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used in the process af calculation the parameter. V is generally high in the offshore. However, in February, V in the onshore is higher than that of the offshore due to the vertical temperature gradient caused by the expansion of South Korean Coastal Waters (SKCW). In the summer, the increase af the atmospheric heating, the temperature inversion phenomenon act an the stratification as the buoyancy forcing. In most cases, the effects of the temperature on the stratification is stronger than that of the salinity. The temperature effect is predominantly due to the extent af the intrusion of Tsushima Warm Current into the study area. However, at stations where V is high the effect af the salinity is also significant. In the winter, V is very low due to the decrease of the buoyancy forcing, but same stations show the relatively high V due to the expansion of SKCW and Tsushima Warm Current.

  • PDF

모래상자 수리모형실험을 통한 경계면 모델의 관정 염도 모의실험 (Applicability of a Sharp-Interface Model in Simulating Saltwater Contents of a Pumping Well in Coastal Areas)

  • 시뢰;최뢰;이찬종;홍성훈;박남식
    • 지질공학
    • /
    • 제19권1호
    • /
    • pp.9-1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해안지역 대수층에서 담수와 해수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모의하는 경계면(sharp-interface)모델이 관정규모의 지하수 흐름 문제에도 적용될 수 있는 지 조사하였다. 해안 지역에서 지하수를 개발할 때 고려해야하는 중요한 인자 중의 하나는 해수침투이다. 관정규모의 지하수흐름 문제에서 해수침투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양수관정의 염분도를 모의할 수 있어야한다. 경계면 모델의 양수관정 염도 모의 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소규모 모래상자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고 경계면모델의 모의능력을 평가하였다. 여러 가지 실험에서 측정된 관정의 염분도는 0%에서 12%의 범위를 보였으며 모의된 염분도는 측정치를 잘 나타내었다.

지하댐 설치 시 섬진강 하류 염수침입 방지 효과의 모델기반 분석 (Effect of Underground Dam for the Prevention of Seawater Intrusion at the Seom-jin River)

  • 김성윤;김규범;박준형;신선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8호
    • /
    • pp.51-57
    • /
    • 2011
  • 섬진강 하류지역은 1978년 이후 지속적인 하상 세굴로 인하여 염수 침입이 확대된 지역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댐 설치 시의 염수침입 차단 효과를 수치모델로서 평가하였다. 현재 섬진강 하류 지표수의 염소이온농도는 상류로 가면서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며, 지하수내 농도는 지표수의 1/10 이내로 나타난다. 하구로부터 4.6km 지점에 암반 상부로부터 25m 높이의 지하댐을 설치하는 조건으로 FEM 모델인 FEFLOW를 수행한 결과, 지하댐 상류의 퇴적 작용으로 현재보다 충적층의 두께가 5m 정도 두꺼워진다면 하구로부터 25km 지점에서의 염소이온농도(0.25psu)가 하류로 약 3km 정도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지하댐 상류에 퇴적물이 쌓이지 않을 경우에는 지하댐 설치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해석되었다.

Neuse강 하구의 최대혼탁수 형성과 변동 (Formation and Variation of Turbidity Maximum in the Neuse River Estuary, North Carolina, U.S.A.)

  • 김석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54-770
    • /
    • 1994
  • 미국 북캐롤라이나의 동해안에 위치하는 뉴우스강 하구를 대상으로 1988년 2월부터 1989년 2월까지 매월 부유퇴적물의 분포와 유속 및 염분을 조사하여, 최대혼탁수의 형성과 물리적 환경요인(담수유출량, 풍향 및 풍속, 조석 등)에 따른 시간적, 공간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조사기간동안, 염하구 순환과 관련된 미약한 최대혼탁수의 형성이 염수 침입한계 근처에서 관측되었으며, 염수 침입한계의 연중 이동과 수반하여 강 상류의 약 20 km 지역에 걸쳐 이동하면서 분포하였다. 이 지역 계절풍의 주된 풍향(북동-남서)과 Pamlico Sound의 지형적 방향성의 일치로 인하여, 염분 성충구조와 염하구 순환의 발달정도는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따라서 최대혼탁수의 형성과 변동 양상도 조석의 영향보다는 담수유출량과 바람의 영향을 뚜렷이 나타내었다.

  • PDF

2004년 7월 봇돌바다의 썰물, 전류 및 밀물시 수온과 염분 분포 (Distribution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in relation to ebb, turn of tide and flood of the Bottol Bada in July, 2004)

  • 최용규;조은섭;이용화;이영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67-175
    • /
    • 2005
  • Based on the observation on 20, 23 and 26 July 2004, the distribution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stratification was investigated in relation to ebb, turn of tide and flo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 The high temperature and low saline water with $23.5\~24.0^{\circ}C\;and\;32.4\~33.0psu$ existed at Naro Island. 2) The cold surface water below $21.0^{\circ}C\;and\;33.0\~33.4psu$ appeared in the area near Gae Island and Geumo Island. 3) The cold and saline water, below $24.0^{\circ}C$ at the surface and $17.0^{\circ}C$ near the bottom, $32.8\~33.8psu$ at the surface and $33.8\~34.0psu$ near the bottom, existed in Sori Island. These waters were more saline compared to the South Sea Coastal Water with about 31.8psu. This suggests that the oceanic saline water intruded into the Bottol Bada through the area near Sori Island. The stratification appeared during all the observation periods due to a high solar radiation of $22MJ/m^2$, and a weak wind speed of 2.9m/s on the average while the mean speed of wind in July is around 3.9 m/s. It qualitatively suggested that the stratification was maintained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s because of a high solar radiation, a weak wind speed and intrusion of saline oceanic water.

새만금 하구역의 이화학적 환경요인에 따른 수질 평가 (The Evaluation of Water Quality in Coastal Sea of Saemangeum by Chemical Environmental factors)

  • 김재옥;김원장;조국현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9권5호
    • /
    • pp.57-65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hemical water quality by hourly monitoring(25hr) of Saemangeum esturary. For this study, we selected 2 sites like a Mangyong Bridge(St. 6) and Dongjin Bridge(St. 7). Inflow of salt water was not detected during low tide(maximum 553, 508cm) of all stations, while the salinity rises were detected in spring tide(750cm). When 602m of maximum tide was reached, salinity concentration was increased at St. 7, while there was no change in St. 6. Therefore, We know that salinity variation is greatly influenced by tide height at survey site. Also, significant variance of salinity(p<0.05) was found between St. 6 and St. 7 because dike construction made the flood tide move into the Dongjin river. Total suspened solids(TSS) concentration was increased because of the river runoff at St. 6, and also the turbulance and resuspension according to salt intrusion at St. 7. During the high tide, the water discharge from the sea seemed to dilute the nutrient but to elevate TSS concentration in St. 7. Silicate and nitrate concentrations in the studied site were decreased by the mixing of sea water, whereas the evident trend of phosphate concentration was not found. This result can be explained by the phosphorus condition. Phosphorus exists inactive when it is affected by hydrated iron and adsorbed onto suspended matters. Compared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St. 6 and St. 7, physic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dissolved oxygen and TSS have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p<0.001), but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higher at St. 6 than St. 7. It could be suggested from these results that it is important to control the discharge of fresh water by sewage treatment plants located in St. 6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한강 하구역의 염분 분포 및 생태환경특성 (Salinity Distribution and Ecological Environment of Han River Estuary)

  • 박경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49-166
    • /
    • 2004
  • 한강 하구의 염분 및 생태 환경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기존에 발표된 논문과 국립수산과학원의 국가해양환경측정망 자료를 이용하여 한강 하구의 염분 분포 특성을 구명하였으며, 염분과 연관하여 동식물플랑크톤, 저서생물 및 어류플랑크톤의 분포를 논의하였다. 염분의 시공간적 분포를 고려할 때 인천북항 주변 해역은 계절에 무관하게 연중 한강 유입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으며, 담수 유입량이 많은 하계에는 팔미도 해역까지 담수 영향권이 확대되었다. 반면 해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상한선은 한강 본류인 경기도 김포시 고촌면 신곡리의 신곡수중보에 이르며, 해침이 상시적으로 발생하는 수역은 이보다 더 하류인 경기도 김포시 하성면 전류리로 판단된다. 동식물플랑크톤의 분포는 담수 및 해수 지역에서 혼재되어 분포하며, 일반적으로 염분의 분포 범위보다 훨씬 광범위한 분포를 보였다. 그러나 기수성 어류플랑크톤은 매우 제한된 수역에 분포하는 반면, 성어는 그 분포범위가 담수에서 해수에 이르는 광범위한 분포를 보였다. 경험적 분석에 의한 한강하구 환경의 문제점은 1)한강 하구 및 유수지역의 개발 압력에 따른 환경 파괴, 2)갯벌 매립에 의한 조간대 상실, 3)군사용 철책에 의한 육수전이환경(陸水轉移環境)의 생태적 단절이 매우 심각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