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erimental Study to Parameterize Salt-Wedge Formations in Coastal Aquifer

해안대수층에서 담수-염수 경계면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에 대한 실험적 연구

  • Park, Hwa-Jun (Dept. of Civil Engineering, Suwon University) ;
  • Kim, Won-Il (River Environment Technology Institute of Suwon University) ;
  • Ho, Jung-Seok (Dept. of Civil Engineering, University of New Mexico) ;
  • Ahn, Won-Sik (Dept. of Civil Engineering, Suwon University)
  • 박화준 (수원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김원일 (수원대학교 하천환경기술연구소) ;
  • 호정석 (뉴멕시코대학교 토목공학과) ;
  • 안원식 (수원대학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9.11.30

Abstract

Saltwater intrusion in coastal aquifer was investigated using a laboratory model. Salt-wedge profiles were reproduced in a porous media tank 140 cm long, 70 cm high, and 10 cm wide.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various conditions of porous media hydraulic conductivity, salinity, and ground surface slope to assess relationships on salt wedge location and inclination. Salt-wedge profiles induced by saltwater intrusion were observed in porous media equilibrium state, and compared with previously derived formulas of the Glover (1959), Henry (1959) and Strack (1976). It was found that salt-wedge shape and formations were affected by the water level ratio ($H_F/H_S$) due to high hydraulic conductivity, saltwater salinity and ground surface slope. High $H_F/H_S$ of porous media having high hydraulic conductivity shifted the saltwater interface toward the saltwater reservoir. Increasing surface slope of the porous media caused the salt-wedge profile inclination to decrease. Saltwater salinity also contributed to the location of saltwater interface, yet the impact was not more significant than hydraulic conductivity.

해안대수층의 염수침투에 의한 담수-염수 경계면 특성을, 가로 140 cm, 세로 70 cm, 두께 10 cm 의 직사각형 모래수조 모형을 이용하여 모의하였다. 대수층 모형의 특성과 염수의 염도에 따른 총 31가지의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위치흐름 해석법을 유도한 Glover (1959)의 이론식과 호도그래프를 이용한 Henry (1959) 해석식 및 위치흐름 해석법을 이용한 Strack (1976)의 해석해 결과와 비교하였다. 대수층의 수리전도도, 해수의 염도, 그리고 해안가 지표경사에 따른 담수-염수 경계면의 위치와 기울기를 모의하였다. 다공질매체의 수리전도도와 해수의 염도가 높을수록 평형을 이루려는 담수-염수의 수위비($H_F/H_S$)가 높아지고, 이에 따라 경계면이 염수조 방향으로 이동하였다. 또한 염수조 방향의 모래사면의 경사가 급해질수록 경계면의 기울가가 완만하게 형성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정옥 (2006). 연안역 해수침투 방지 및 복원을 위한 인공 하수처리수 주입에 따라 형성된 인공 대수층의 수리화학적 특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2. 김성윤 (2008). 해수 양수를 통한 지하수 해수쐐기 침투 제어 기술.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3. 이영수 (2005). 3차원 축소모형을 이용한 해수침투의 실험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4. 이정호, 윤정호, 문유리 김훈미, 황상일 (2007). 해안지역 지하수 수자원 통합관리방안 연구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5. 최 뢰, 이창해, 박남식 (2008). 'Strack의 단일 포텐셜 해석해를 이용한 해안지하수.'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1권, 제1호, pp. 27-34 https://doi.org/10.3741/JKWRA.2008.41.1.027
  6. 최선영 (2004). GIS의 통계적 공간분석을 이용한 해수침투 분포 양상 파악.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7. 홍성훈, 박남식 (2006). '담수렌즈 수리모형을 이용한 담수-염수 경계면 수치모형의 검정.'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3B호, pp. 263-269
  8. 황세호, 신제현, 박인화, 박기화 (2006). 물리검층 자료를 이용한 제주도 동부지역의 해수침투 특성 고찰, 제6회 지하수 학술 세미나
  9. Glover, R.E. (1959). 'The pattern of fresh-water flow in a coastal aquifer.' J. of Geophysical Research, Vol. 64, No. 4, pp. 457-459 https://doi.org/10.1029/JZ064i004p00457
  10. Goswami, R.R. and Clement, T.P. (2007). 'Laboratory-scale investigation of saltwater intrusion dynamic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3, W04418 https://doi.org/10.1029/2006WR005151
  11. Henry, H.R. (1959). 'Salt water intrusion into fresh water aquifer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64, pp. 1911-1919 https://doi.org/10.1029/JZ064i011p01911
  12. Oosttrom, M., Dane, J.H., Cuven, O., and Hayworth, J.S. (1992).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dense solute plumes in an unconfined aquifer model.'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8, No. 9, pp. 2315-2326 https://doi.org/10.1029/92WR01265
  13. Park, N.S., Kim, J.H., Nagendra, K., Hong, S.H., Kim, H.D.(2004).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Flow in Coastal Aquifers : Laboratory Experiments.' 동아대학교건설기술연구소 연구 및 보고, Vol. 28, No. 1, pp. 131-141
  14. Strack, O.D.L. (1976). 'A single potential solution for regional interface problems in coastal aquifer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2, pp. 1165-1174 https://doi.org/10.1029/WR012i006p01165
  15. Zhang, Q., Volker, R.E., and Lockington, D.A. (2002).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contaminant transport in coastal groundwater.'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Vol. 6, pp. 229-237 https://doi.org/10.1016/S1093-0191(01)00054-5

Cited by

  1. Numerical Simulation on Seawater Intrusion in Coastal Aquifer using N-S Solver Based on Porous Body Model vol.48, pp.12, 2015, https://doi.org/10.3741/JKWRA.2015.48.12.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