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icornia herbacea powder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9초

굴 패각 가루와 함초 가루를 첨가하여 제조한 갓김치의 품질특성과 저장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Properties of Gat Kimchi added with Oyster Shell Powder and Salicornia herbacea Powder)

  • 정복미;정선진;김은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8-197
    • /
    • 2010
  • In this stud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properties of gat kimchi added with oyster shell powder and Salicornia herbacea powder were investigated during a storage time of 80 days at $5^{\circ}C$. After storage for 80 days, the average calcium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kimchi containing the oyster shell powder and Salicornia herbacea powder than the control. In addition, the average hardness 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S4 group(oyster shell powder at 4% and Salicornia herbacea powder at 2%) than the control group, as well as the OS10 group(oyster shell powder at 10% and Salicornia herbacea powder at 2%) during storage for 80 days. The hunter b value of the OS4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During fermentation, gat kimchi containing the oyster shell powder and Salicornia herbacea powder had a higher pH and a lower acidity value than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sensory evalu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calcium-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After 40 days of storage, the OS4 group showed a lower total viable count, as well as lower lactic acid bacteria, yeast and E. coli,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and OS10 groups. Based on the microbial load, the gat kimchi containing the oyster shell powder showed limitations in terms of shelf life.

함초 분말을 첨가한 청포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Gel Added with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 손기옥;이승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72-480
    • /
    • 2014
  • 함초 분말의 첨가 비율(0, 2, 4, 6, 8%)을 달리하여 제조한 함초 청포묵의 수분 함량은 무첨가구와 6% 첨가구가 가장 높고, 8% 첨가구가 가장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염도는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높아졌으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으며,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능은 함초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총 균수는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대장균은 모두 음성으로 불검출되었다. 총 이수율은 함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줄어들었다. 기계적 품질 특성의 경도(hardess)는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함초 첨가시 무첨가군에 비해 증가 수준이 둔화되었다. 응집성(cohesiveness)은 저장 기간에 따른 변화가 미미하였으며, 탄력성(springiness)은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점착성(gumminess)은 함초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소비자 기호도 검사에서 함초 4% 첨가구가 다른 시료에 비해 향, 맛, 짠맛, 텍스쳐, 전체적인 기호도 항목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함초는 동결 건조로 분말을 제조하여 식품조리 및 식품가공 등에 유용하게 활용이 가능하고, 다양한 기능성 식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함초 분말을 이용한 청포묵을 제조할 경우, 수분 함량, 색도, 염도,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총 균수, 총 이수율과 기계적 품질 특성과 소비자 기호도 조사 등을 연구한 결과, 함초 분말 4%의 첨가 비율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함초 분말 첨가가 제빵적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on Making Wheat Flour Bread)

  • 배종윤;박나영;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908-913
    • /
    • 2008
  • 함초의 식품에서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함초의 제빵 적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함초 분말의 수분함량은 9.39%, 조회분은 25.60%, 조섬유는 73.02%이었으며, 철분과 칼슘의 함량은 각각 17.6 mg%, 117.5 mg%였다. 반죽의 pH는 함초 분말 첨가에 의해 뚜렷한 값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함초 분말 6.0% 첨가구의 발효능은 대조구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그 외 함초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굽기 손실률은 함초 분말 0.6% 첨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굽기 손실률이 낮게 나타났다. 함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빵의 무게도 증가하였으나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에 식빵의 부피는 함초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빵 반죽의 색도는 함초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백색도)과 b값(황색도)은 감소하였고, a값(적색도)은 증가하였다. 함초 분말 첨가 식빵의 기호성은 맛과 풍미, 색의 경우 함초 분말 1.2%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증가하였다. 종합적 기호도는 대조구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Optimization of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Salicornia herbacea Powder

  • Kim, Hui-Jeong;Lee, Jun-H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4권2호
    • /
    • pp.129-133
    • /
    • 2009
  • Salicornia herbacea is rich in natural minerals, dietary fibers, and potentially health-promoting phenolic compounds. In this paper, an experimental design was applied for the optimization of the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lyophilized Salicornia herbacea powder.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a five-level, three-variable central composite rotatable design (CCRD), and the effects of solvent concentration, extraction time, and extraction temperature were evaluated vi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were as follows: ethanol concentration, 76.80%; extraction time, 20 min; and extraction temperature, $33.21^{\circ}C$; and the solvent concentra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parameter in this process, under which the predicted total phenolic content was 49.91 mg GAE/g sample.

Study of the effect of diet supplemented with powdered Salicornia herbacea L. on glucose transporter and antioxidant capacities in rats

  • Seo, Hyo-Bin;Nam, Ju-Ock;Song, Young-Ju;Kwon, Tae-Dong;Yeo, Yunghi;Ryu, Sungpil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5-92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as a functional food beneficially affecting carbohydrate metabolism and antioxidant capacity. Twenty-four, 6-week old, maleSprague-Dawleyra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normal diet control (CON), high-fat diet control (HFC) and high fat diet + Salicornia herbacea L. (SHF). Related feed was provided to each group for 4 weeks. Weight gain rate increased most in the HFC rats, and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was significantly high in both the HFC and SHF groups, compared to the CON group. The SHF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 expression rate of Glut 4 (21.36%), compared to the CON and HFC groups. The glycogen content in muscle was significantly high in both the HFC and SHF groups, compared to the CON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alondialdehydecontent in muscles between the groups, with the content in the CON and HFC groups being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HF group. All the groups showed a similar tendency to each other in the liver tissue as well. Concerning the expression of Cu,Zn-super oxide dismutase andglutathione peroxidaseproteins, the SHF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 and HFC groups. Overall, the experiment result above implies a possibility that an intake of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can regulate weight by decreasing the weight gain rate, further suggesting its effectiveness as a functional food before exercise by increasing the energy storage capacity and antioxidant capacity.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흰쥐에서 함초 (Salicornia herbacea L.) 분말의 항비만 효과 탐색 (Anti-obesity effect of Korean Hamcho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on high-fat diet-induced obese rats)

  • 김미정;전현영;김정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2호
    • /
    • pp.123-13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함초 (Salicornia herbacea L.)인 퉁퉁마디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동물실험을 실시하였다. 함초 동결건조 분말 및 함초 동결건조 나노화 분말의 항비만 효과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최종체중은 5% 함초 동결건조 분말을 섭취한 5% HS군이 HFC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NC군보다도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식이섭취량은 NC군에 비하여 고지방식이 섭취군 (HFC, 2% HS, 5% HS, 1% HSN)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5% 함초 동결건조 분말을 섭취한 5% HS군은 고지방식이군보다 유의적으로 식이섭취량이 낮았다. 2) 간 무게는 고지방식이의 영향으로 NC군에 비하여 모든 고지방식이 섭취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5% 함초 동결건조 분말 섭취군은 HFC군과 비교해 유의하게 낮았다. 부고환 지방조직의 무게 역시 왼쪽/오른쪽 모두 5% 함초 동결건조 분말 섭취군에서 HFC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NC군보다도 유의적으로 수치가 낮았다. 3) 혈청 중성지질 농도는 NC군이 모든 고지방식이 섭취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혈청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2% HS군을 제외한 모든 고지방식이군에서 NC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혈청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HDL-Cholesterol 농도 모두 HFC군과 비교하여 함초 섭취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간 조직의 중성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NC군에 비하여 모든 고지방식이 섭취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 < 0.05). HFC군은 함초 섭취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5% 함초 동결건조 분말 섭취군의 중성 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HFC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5) 간 세포질 중 FAS 농도의 경우 NC군이 모든 고지방식이 섭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함초분말섭취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6) 혈청 leptin 농도는 HFC군에 비해 모든 함초 섭취군에서 leptin의 수치가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보였다. 특히 5% HS군은 HFC군에 비해 leptin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adiponectin 농도는 NC군이 모든 고지방식이섭취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5% 함초 동결건조 분말 섭취군의 경우 HFC군 비해 그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고지방식이와 함께 섭취한 5% 함초 동결건조 분말은 식이섭취량을 줄여 체중,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를 감소하였고, 혈중 leptin 농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혈중 adiponectin 농도를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이는 등 지질대사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함초의 식이조절 및 지질개선 건강기능성소재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 생각된다.

건조방법에 따른 함초 분말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alicornia herbacea Powder as Influenced by Drying Methods)

  • 김희정;이준호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2호
    • /
    • pp.105-109
    • /
    • 2009
  • 함초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기능성 부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실험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초를 열풍건조, 진공건조 및 동결건조 등 건조방법을 달리하여 분말을 제조한 후 각 시료의 물리화학적 분말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열풍건조하여 제조한 시료의 수분함량이 3.16%로 가장 낮았으며, 진공건조 분말이 3.42%, 동결건조 분말이 3.80%로 나타났으며 시료의 pH는 6.12-6.27의 범위값을 나타내었다. 동결건조한 시료의 명도는 다른 시료들과 비교하여 가장 높았고 적색도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p<0.05).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미세구조 관찰결과 동결건조된 시료의 입자가 보다 규칙적이고 치밀하게 배열된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다공성구조는 관측되지 않았다. 또한 동결건조된 시료의 수분 용해도는 다른 시료들과 비교하여 가장 높은 반면 팽윤력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5). 한편 총당 및 환원당의 함량은 동결건조한 시료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소금을 함초 분말로 대체한 저염 김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Salt Kimchi with Salt Replaced by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 김순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74-683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salt kimchi with salt partially replaced by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SH). We prepared kimchi with seasonings in which salt was replaced by 0% (S00), 10% (S10), 20% (S20) and 30% (S30) SH. The salinity level of kimchi was about 1%,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Although lactic acid bacterial numbers of kimchi replaced with SH (S10~S30)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S00), the pH and titratable acidity of kimchi replaced with S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ardness of kimchi tended to increase as fermentation progressed and with SH addition.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corroborat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Furthermor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upon addition of SH.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despite replacement of salt in kimchi seasoning by SH up to 10%.

Spherical Granule Production from Micronized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Powder as Salt Substitute

  • Shin, Myung-Gon;Lee, Gyu-H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60-66
    • /
    • 2013
  • The whole saltwort plant (Salicornia herbacea) was micronized to develop the table salt substitute. The micronized powder was mixed with distilled water and made into a spherical granule by using the fluid-bed coater (SGMPDW). The SGMPDW had superior flowability to powder; however, it had low dispersibility. To increase the dispersibility of SGMPDW, the micronized powder was mixed with the solution, which contained various soluble solid contents of saltwort aqueous extract (SAE), and made into a spherical granule (SGMPSAE). The SGMPSAE prepared with the higher percentages of solid content of SAE showed improved dispersibility in water and an increase in salty taste. The SGMPSAE prepared with 10% SAE was shown to possess the best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its relative saltiness compared to NaCl (0.39). In conclusion, SGMPSAEs can be used as a table salt substitute and a functional food material with enhanced absorptivity and convenience.

함초를 이용한 브라운소스에 관한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Sauce Made with Freeze-dried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 김자경;유승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243-255
    • /
    • 2012
  • 본 연구는 동결 건조 함초 분말을 첨가한 브라운소스의 최적의 제조법을 알아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동결 건조 함초 분말 함량을 달리하며 브라운소스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동결 건조 함초의 최대 염도는 정제수인 SP1에 1%의 동결 건조 함초 분말을 첨가했을 때 0.15%이었다. 함초 분말을 첨가한 브라운소스의 최대 명도는 1.2%로 45.29인 BSP12가 가장 높게 측정이 되었다. 염도와 명도는 분말함량이 증가할수록 시료 간에 유의적(p<0.001)인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다. 적색도는 BSP0이 6.79로서 가장 높았다. 황색도는 동결 건조 함초 분말을 1.2% 첨가한 BSP12가 24.79로 가장 높았다. 동결 건조한 함초 분말을 첨가한 브라운소스는 DPPH 자유 radical 소거능이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다. 점도는 4.45로 대조군 BSP0에서 가장 높았고, BSP3 및 BSP6와도 큰 차이가 없었다. 맛은 6.36로 동결 건조 함초 분말을 0.6% 첨가한 브라운소스가 가장 높았고, BSP6, BSP9와 큰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이 결과를 통해 동결 건조 함초 분말을 첨가한 브라운소스는 산화 방지 특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염도는 0.6% 함초분말 첨가한 경우가 가장 좋았다. 동결 건조한 함초 분말은 소금을 일부분 대체할 수 있는 염도를 가지고 있었고, 브라운소스에서 산화 방지 특성과 관능검사 결과에 좋은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