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es Tax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36초

자산 노후화율이 원가의 비대칭성에 미치는 영향 (The Empirical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the obsolescence assets and Asymmetric Cost Behavior)

  • 차상권;김동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59-266
    • /
    • 2020
  • 본 연구는 기업의 자산 노후화가 원가의 비대칭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원가의 비대칭성이란 매출액이 증가할 때 원가의 증가율보다 매출액이 하락할 때 원가의 감소율이 더 낮은 것을 가리킨다. 선행연구에서는 경영자의 설비용량 조정이나 유형자산의 비중이 높을수록 원가의 비대칭성이 보다 강하게 나타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으나 주로 경영자의 재량적 의사결정에 산물로써 진행되었다. 그러나 원가의 비대칭성은 설비자산의 규모와 비중, 자산의 노후화율 등과 같은 구조적인 문제에 기인한 현상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어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산의 노후화가 높을수록 총원가, 판매비와관리비의 하방탄력성이 나타났다. 둘째, 유형자산의 비중이 높은 경우 설비자산의 노후화가 높을수록 매출원가의 하방경직성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선행연구가 주로 경영자의 의사결정, 설비용량의 조정, 무형자산의 비중에 관해 다루었다면 본 연구는 설비자산의 노후화와 설비자산의 집중도를 고려하여 분석함으로써 선행연구를 확장하였다.

The Polarization of Wealth: The Effect of Support of Knowledge Management on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and Company Performance

  • Yang, Hoe-Chang;Lee, Chun-Ho;Kim, Jung-Ho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1
    • /
    • 2017
  •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effects of CEO' supports, compensation and educational training and those of individual annual salaries and company's sales on promotion of knowledge management expected to contribute to enhancing construction industry's competitiveness, from the perspective of person-organization fit. For the analysis, a total of 368 effectiv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nduct independent sample t-test,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show that individual annual salaries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mpany's performance and company's sales also hav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both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nd company performance, and CEO's supports, compensation and educational training are important factors that can improve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In addition, the principle that the rich get richer and the poor get poorer is also operated in construction industry, as in other industries. Therefore, members in a company should conduct optimal strategies to enhance the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through selection and concentration, while governmental agencies require the establishment of IT system for it and supports for related cost and consulting of it.

치킨 프랜차이즈의 COVID-19 상황 속 경영성과 분석 - 재무제표 분석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Chicken Franchises during the COVID-19 - Focusing on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 정재량;최종우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5권1호
    • /
    • pp.61-78
    • /
    • 2024
  • Purpose: Dining out at restaurants was limited during the COVID-19 period. In order to confirm the impact of COVID-19 on the chicken market, this study selected three chicken companies, Kyochon, BBQ, and BHC, and conducted financial statement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Research design and methodology: Each company's financial statements were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the rate of change and financial ratio for each item were calculated to see if there were any significant changes, and the impact of COVID-19 on each company's sales was identifi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Resul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crease in sales and assets of each company continued, and the influence of COVID-19 could be confirm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It can be inferred that COVID-19 indeed affected the expansion of the chicken market. Conclusion: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COVID-19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growth of the chicken market. While individual chicken small business owners are grappling with declining sales per outlet, the decline of commercial areas, and a surge in closures, the broader chicken franchise industry is witnessing a surge in demand and business expansion prompted by the pandemic.

소비자물가와 금리, 매출실적이 종합주가지수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 of Consumer Price, Interest Rate and Sales Performance on the KOSPI)

  • 양승권;최정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0호
    • /
    • pp.169-176
    • /
    • 2019
  • 최근 한국경제는 일본의 경제보복조치와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 한국은행의 0.25% 기준금리 인하,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 수정으로 혼잡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종합주가지수와 소비자물가지수, 국고채(3년) 금리, 전산업의 매출실적을 분석하여 각 지수별로 종합주가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분석기간은 2003년 1월부터 2019년 6월까지이고, 각 지수별로 종합주가지수에 미치는 정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수치분석에서 상관계수와 회귀분석을, 모형분석에서 분포도, 사분위도, Scatter, Box-Plot, Impulse Response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각 지수별 변동성과 동행성을 찾아보았다. 분석결과 종합주가지수는 매출실적과 국고채금리 순으로 높은 동행성과 변동률을 보인 반면 소비자물가지수와는 매우 낮은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앞으로 종합주가지수는 매출실적과 금리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여 꾸준한 관심이 필요해 보인다.

외식사업 신규창업을 위한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사례와 투자경제성 분석에 관한 연구 (Case Studies on Preparing a Business Plan for the Foundation of Food Service Business and Analysis of Investing Economy.)

  • 홍기운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3권
    • /
    • pp.385-421
    • /
    • 1997
  • This study was performed as placing stress on business plan preparation and investing economy analysis centered to cases upon presenting the premises of study for new foundation of food service business.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he aspect of carrying out process of practical project, establishing the promotion strategy, the facility project program, the menu program, the facility and furniture program, organization & manning schedule, the business operation schedule, review of all laws & provisions and the allout promotion schedule in order were deployed. 2. Analysis of investing economy for review of profitability 1) In case of investment, excluding 600million for the real setate lease among the total investment of 1billion, it was required by 161, 235, 000 for interior project, 161, 110, 000 for facility & equipment, 19, 235, 000 for fittings, 27, 600, 000 for menu plate & uniform, 27, 600, 000 for furniture, 13, 800, 000 for sign article. 2) In case of loss & profit presumed the annual turnover is to be 1, 115, 856, 000 the contigent profit(before tax) is to be 148, 966, 000 which is 13.3% in comparson to the sales amount and the net profit(after tax) for this term s to be 104, 276, 000 which is 9.3% against the sales and the profitable ratio to the equity investment( 500 million) is 20.9% and it satisfies 20% of the premises of study. 3) In case of the payback period will be approximately two(2) years which indicated within three(3) years that is standard of new project evaluation term of ordinary enterprise. 4) In case of internal rate of return it will be 21.5% which is favorable profitability as taking into account of 15% that is standard of new project evaluation by ordinary enterprise based on general downtown money interest. That the investing value of Happy Day profitability is hinted as it is sufficient enough as the case under this study based upon such results and considered that securing supremacy is competitive power in case of commitment will be possible.

  • PDF

R&D 투자 촉진을 위한 재정지원정책의 효과분석 (The Effectiveness of Fiscal Policies for R&D Investment)

  • 송종국;김혁준
    • 기술혁신연구
    • /
    • 제17권1호
    • /
    • pp.1-48
    • /
    • 2009
  • 최근 외환위기 이후 기업 R&D 투자의 실질증가율이 외환위기 이전의 절반에 가까운 평균 약 7.1%로 떨어지고 있으며, 대기업에 비해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의 R&D 투자 지원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데도 중소기업의 R&D 투자 비중은 줄어들고 있다. 또한 1990년대 중반부터 상위 3개 기업을 제외한 대기업 R&D 투자는 증가하지 않고 있어 대기업 간의 R&D 투자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기업의 R&D 투자 현상의 원인이 무엇인지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의 R&D 직접 보조금 정책이나 조세지원 정책의 당위성에 대해서 이론적으로나 현실적으로 그 필요성이 인정되더라도 정책의 효율성에 대해서는 검증해 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정부가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R&D 보조금 지원제도와 조세지원제도가 과연 효과가 있는지를 실증 분석을 통해 검증해 보려고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재정지원제도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에 차별적으로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기업 규모에 따른 정책 효과를 구분하여 분석한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에 이용한 개별 기업의 R&D 데이터는 2002년에서 2005년까지 기업의 연구개발 활동에 대해 서베이 한 "과학기술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의 기업별 원시 패널 데이터 중에서 활용한 불균형(unbalanced) 패널 데이터이다. 각 기업의 보조금과 관련한 데이터는 "과학기술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의 서베이 데이터를 사용했으며, 조세지원을 나타내는 사용자 비용에 관한 데이터는 이론적 모형에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패널 데이터 분석은 고정효과 모형을 대기업, 중소기업 및 모든 기업에 각각 적용했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부의 직접 보조금 지원은 대기업의 경우 R&D 투자를 늘리는 유인효과(crow이ng-in effect)를 보인데 반해, 중소기업은 R&D 투자를 줄이는 구축효과(crowding-out effect)가 나타났다. 그러나 대기업이나 중소기업 모두 정부의 보조금 지원정책에 대한 반응이 매우 비탄력적으로 추정되었기 때문에 R&D 보조금 지원정책이 기업의 R&D 투자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정부의 R&D 조세지원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R&D 투자를 유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의 R&D 촉진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세지원으로 사용자 비용이 1% 감소하면 대기업은 R&D 투자를 0.99% 증가시키고, 중소기업은 0.054%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서 시사하는 정부의 R&D 재정지원제도의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정부의 R&D 보조금은 기업의 R&D 투자를 구축하지 않도록 기업과 중복되지 않는 기초연구와 공공기술 지원에 국한해야 하며,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R&D 인프라 구축과 기술정보지원 등 R&D 서버스(extension service) 지원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대기업에 대한 R&D 조세지원은 한시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4개 연도의 기업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는데, 앞으로 정책의 효과를 장기간에 걸쳐 분석할 수 있는 거시 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의 보완이 필요하다. 또한 기업의 R&D 투자 촉진 외에도 일반 투자나 기타 목적을 위해 시행되고 있는 정부의 재정 정책들과의 대체 혹은 보완 관계의 여부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중소기업의 시설투자 세액 공제와 R&D 투자 세액공제 제도의 혜택은 단기투자와 장기투자를 선택해야 하는 기업의 의사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PDF

고정사업장의 과세에 관한 연구: 플랜트 건설.판매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axation of foreign corporation's Permanent Establishment)

  • 서정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9권3호
    • /
    • pp.71-96
    • /
    • 2010
  • 본 연구는 OECD모델조세조약과 UN모델조세조약에 나타난 고정사업장 개념을 국내 법인세법 규정과 비교 검토함으로서 고정사업장에 대한 개념과 판정기준을 고찰하였으며, 고정사업장에 귀속되는 국내원천소득금액의 결정과 관련하여 플랜트 건설 판매 외국법인을 사례기업으로 선정하여 고정사업장에 귀속될 국내원천소득의 결정방법과 범위 그리고 그 계산방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OECD회원국으로서 국제조세에 관한 분쟁을 해결하고 국내에 진출해 있는 외국기업에 대한 과세권을 정당하게 지키기 위하여 우리나라 법인세법상의 고정사업장 개념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건축 건설공사의 경우 6월을 초과하여 존속하는 경우에 고정사업장으로 판정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OECD기준에 따라 12월을 초과하는 현장만을 고정사업장으로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둘째로, 법인세법에서 고정사업장으로 간주되는 종속대리인의 범위를 계약체결대리인 뿐만 아니라 보관대리인, 주문대리인 및 보관대리인까지 종속대리인으로 규정하여 외국기업의 활동을 지나치게 제한하고 있는 것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 즉 OECD조세 조약에서와 같이 계약체결대리인만으로 한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로, 법인세법에서 고정사업장에 포함되지 않는 보조적 예비적 활동장소를 한정하여 규정하고 있어 외국기업들의 사업 활동의 범위를 제한하고 고정사업장의 범위를 확대적용하고 있는 바 이를 완화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로, 국내원천소득금액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기타 합리적인 방법으로 이익접근방법의 하나인 이익분할법을 규정하고 거래당사자의 상대적인 공헌도에 따라 이익을 분할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익배분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여 조세분쟁의 여지를 해소할 필요가 있다.

  • PDF

외국인투자기업의 국제이전가격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및 기업요인 (Factors Affecting International Transfer Pricing of Multinational Enterprises in Korea)

  • 전태영;변용환
    • 중소기업연구
    • /
    • 제31권2호
    • /
    • pp.85-102
    • /
    • 2009
  • 기업환경의 국제화 및 세계화에 따라 국내에 진출하는 다국적기업의 수는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데, 그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은 별로 연구되고 있지 않은 것 같다. 다국적기업의 국제이전가격은 정교하게 설정되어 조세부담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다국적기업의 행태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진출한 외국인 기업의 특성 및 환경적 요인이 국제이전가격의 설정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2004년 현재 우리나라에 미화 100만불 이상의 직접투자를 수행하고 있는 외국인 투자기업 861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121개 기업이 응답하여 이를 본 연구의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종속변수로는 국제이전가격설정방법이 시장기준 혹은 원가기준에 의거하였는지의 여부를 묻는 2원적변수를 채택하였다. 시장기준방법의 경우 객관성이 높아 세무당국이 선호하는 방법임에 비해 원가기준은 경영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될 소지가 많아 객관성이 떨어진다는 점에서 구분되기 때문이다. 독립변수로는 법인세, 관세, 세무당국과의 관계, 세무조사가능성, 현지투자자의 지분율, 내부거래비중, 매출액 및 제품수명주기가 채택되었고, 통제변수로는 중소기업여부 및 투자자의 국적이 더미변수의 형태로 포함되었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세무변수로는 법인세와 관세가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그 중요도가 높을수록 경영자에게 재량권이 있는 원가기준이전가격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세무당국과의 관계를 중요하게 평가할수록 시장기준이전가격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현지 정부는 객관성이 높은 시장기준을 가장 선호하기 때문에 기업의 입장에서 이 점을 고려한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제품 수명주기의 성숙도가 높을수록 원가기준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제품의 성숙도가 높을수록 경쟁 때문에 현지자회사가 시장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게 되므로 이를 지원하는 수단으로 원가기준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GTAP모형을 이용한 RCEP 발효가 한국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분석 (A GTAP Model Analysis of the Effects of RCEP on the Korean Manufacturing Business)

  • 계영걸;정윤세
    • 무역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147-160
    • /
    • 2022
  • This study aim to use the GTAP model to analyze the impact of RCEP Fermentation in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by quantifying the RCEP tariff commitment table. The research results show RCEP has boosted output in all sub-manufactures except wood and printed matter due to increased export volumes. Wood products, on the other hand, are more reliant on imports due to lower production due to lower domestic sales or overall exports. After RCEP came into effect, the import and export scale of Korea's manufacturing industry expanded effectively. Among them, the positive impact on the intensive low-tech manufacturing industries such as clothing and leather products, wood products and printing products, and food, beverage and tobacco products is greater than the positive impact on the technology-intensive medium and high-tech and high-tech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found that the growth rate of Korea's manufacturing trade is basically proportional to the tax reduction rate of RCEP. Finally, in order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some suggestions are put forward that need the government's policy support and strengthen the regional cooperation with RCEP member countries.

A Study on the Management Efficiency Effect Factor of Korean Ocean Carriers

  • Hong, Sog-Min;Ahn, Ki-Myung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9-127
    • /
    • 2020
  •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e of management efficiency of ocean carriers in Korea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m were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nhance global competitiveness of ocean carriers by presenting suggestions that can improve management efficienc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measurement of management efficiency was made using the DEA model. The results of testing the adequacy of the input and output variables used are as follows. Appropriate inputs are total assets, cost of goods sold, charter expenses, sales and general management expenses, and interest expenses. Appropriate variables are sales, operating income, and operating cash flow.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e DEA model by these variables, inefficient carriers (78%) are nearly four times more than efficient carriers(22%). However, container carriers have the most improved management efficiency compared to 2016 and 2017. According to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the charter rate has the greatest negative impact on efficiency (CRS), and the debt rate has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Thus, it appears that reducing the charter size and the debt-to-sale rate facilitate improvement of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ocean carriers. Additionally, the pre-sales tax return rate, value added rate, total asset turnover rate, and the scale variable and interest coverage rate have a positive (+) effect. Thus ocean carriers should restore their global competitiveness by improving management efficiency by securing stable cargoes increasing sales profitability from the cost management perspective, increasing productivity, and enhancing the efficiency of their total assets through efficient fleet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