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juarissuk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수집종 쑥(Artemisia princeps. Pamp.)의 생육특성, 사료가치 및 수량성 비교 (Comparison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Quality and Productivity in Local Collections of Mugwort (Artemisia princeps. Pamp.))

  • 신정남;고기환;김종덕;이정훈;김광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77-282
    • /
    • 2017
  • 본 시험은 2014년부터 2015년까지 경북 성주에서 수집종 쑥의 생육특성, 수량성 및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수집종을 처리로 한 24처리 3반복으로 배치하였다. 쑥은 2014년 3월 17일에 재식하였고, 수확은 2014년에는 9월 13일, 2015년에는 1차로 5월 25일, 2차로 9월 9일에 실시하였다. 개화기는 Sajabalssuk이 8월 29일로 빨랐고 나머지는 9월 6일부터 13일이었다. 2년간 수행된 24개의 수집종 중에서 건물수량이 Seongju B.(2)보다 높은 6종과 낮은 (p<0.05) 18종 중에서 Sajabalssuk을 포함시킨 7종의 2년간 건물수량은 2014년에 Dalsung(1), Seongju B.(1), Dalsung(2) 및 Sajuarissuk이 각각 17.3, 16.8, 16.7 및 16.7톤/ha으로 나머지 3점의 수집종보다 높았으며 (p<0.05) 3점의 수집종 간에는 Sajabalssuk이 가장 낮았다 (p<0.05). 2015년에는 Dalsung(1), Dalsung(2), Seongju B.(1) 및 Sajuarissuk이 각각 19.5, 19.3, 18.4 및 18.4톤/ha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나머지 3점의 수량보다 높았으며 (p<0.05), 이들 3점 간에는 Sajabalssuk이 가장 낮았다 (p<0.05). DDM 함량범위는 58.4~60.8%로 Sajabalssuk이 60.8%로 Seongju B.(1)을 제외하고 가장 높았으며 (p<0.05) Seongju B.(1)의 58.8%는 Seongju B.(2)의 56.4%보다 높았고(p<0.05) Dalsung(2) 58.1%, Dalsung(1) 58.4%, Sajuarissuk 57.7%, Yeongcheon 56.9%,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본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수집종 쑥 24점 중 건물수량과 DDM 수량이 높은 Dalsung(1), Dalsung(2), Sajuarissuk 및 Seongju B.(1)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ntiallergic Effect of Two Variant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 Shin, Yong-Wook;Bae, Eun-Ah;Lee, Bo-Mi;Min, Sung-Won;Lee, Jin-Hee;Baek, Nam-In;Ryu, Su-No;Chung, Hae-Gon;Kim, Nam-Jae;Kim, Dong-Hyu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2권2호
    • /
    • pp.67-73
    • /
    • 2006
  • Antiallergic activities of two variant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SJ-1 (named as Sajabalssuk) and SS-1 (named as Sajuarissuk) cultivated in Ganghwado, which contain high content of eupatilin compared to those cultured by other places,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as inhibitors against allergic diseases. Ethanol and supercritical fluid extracts of SJ-1 and SS-1 inhibited the release of ${\beta}-hexosaminidase$ from RBL-2H3 cells, although their water extracts were inactive. These extracts potently inhibited lipopolysaccharide-induced NO production of RAW264.7. However, these extracts almost did not scavenge free radicals. Oral administration of these extracts to mice inhibited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reaction induced by IgE, and acute dermatitis induced by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However, these extracts did not inhibit chronic dermatitis. Scratching behaviors, vascular permeability, and writhing syndromes were weakly inhibited by these extract at a dose of 50 mg/kg. Based on these findings, we believe that SJ-1 and SS-1 can improve IgE-induced allergic diseases such as rhinitis and asthma.

식용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XVII. 싸주아리쑥(Artemisia princeps PAMPANINI, Sajuarissuk) 지상부의 화학성분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XVII. Chemical Constituents from the Aerial Part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Sajuarissuk))

  • 유종수;방면호;안은미;송명종;정해곤;정태숙;이경태;최명숙;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1호
    • /
    • pp.53-56
    • /
    • 2007
  • 싸주아리쑥 지상부를 80% MeOH 용액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H_2O$로 용매 분획하였다. 이중 EtOAc 분획으로부터 silica gel과 ODS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5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MS 및 IR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friedelin (1), ${\beta}$-amyrin (2), ${\beta}$-amyrin acetate (3), camphanediol (4), hispidulin (5)으로 동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싸주아리쑥에서는 처음 분리되었다.

Steroids from the Aerial Part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 Yoo, Jong-Su;Ahn, Eun-Mi;Bang, Myun-Ho;Song, Myoung-Chong;Yang, Hye-Joung;Kim, Dong-Hyun;Lee, Dae-Young;Chung, Hae-Gon;Jeong, Tae-Sook;Lee, Kyung-Tae;Choi, Myung-Sook;Baek, Nam-In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273-277
    • /
    • 2006
  • Three stigmastane-type sterols and one ergostane-type sterol were isolated from the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of the aerial part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ini (Sajuarissuk). From the results of physico-chemical data including NMR, MS and IR,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compounds were determined as $stigmasta-5,22-dien-3,{\beta}-ol (stigmasterol, 1),stigmast-5-en-3{\beta}-ol({\beta}-sitosterol,2), 5{\beta},8{\beta}-epidioxy-5{\beta},8{\beta}-ergosta-6,22-dien-3{\beta}-ol(ergosterol peroxide, 3),\;and\;{\beta}-sitosterol\;3-O-{\beta}D-glucopyranoside(daucosterol,4)$.

수집약쑥의 휘발성 향기성분 패턴분석 (Pattern Analysis of volatile Components for Collected Mugwort (Artemisia spp.))

  • 류수노;양종진;이동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200-203
    • /
    • 2005
  • 약쑥의 식물종 판별을 위해 SAW센서가 부착된 GC로 구축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였다. 사용된 재료는 별도의 전처리 과정없이 분석되어 15초 이내에 분석된 크로마토그램을 $VaporPrint^{TM}$ 이미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패턴화 하였으며 패턴인식을 통하여 비교한 결과, 싸주아리쑥과 사자발쑥, 인진쑥의 패턴 차이를 조사하였다. 1. 싸주아리쑥, 사자발쑥, 인진쑥의 휘발성분의 분석을 통해 polar derivative패턴이 확연히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용매추출과 같은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전처리의 과정없이 20초간의 Vapor성분 분석만으로도 쑥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었다. 2.쑥의 보존기간별 향의 변화를 측정해 본 결과, 수확당년의 시료에 비해 해가 갈수록 성분들의 양이 줄어듦이 확인되었고 2년 이후의 시료들에서는 그 변화가 적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4분대의 특정향기성분의 경우에는 오히려 그 양이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