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gittaria pygmaea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1초

혼합제초제(混合除草劑) 처리(處理)가 올미의 괴경형성(塊莖形成)과 방제(防除)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Herbicide Mixtures on Tuber Formation and Control of Sagittaria pygmaea Miq.)

  • 오용비;심이성;박석홍;배성호;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46-151
    • /
    • 1982
  • 호남지역(胡南地域)에서 논 다년생(多年生) 우점잡초(優占雜草)인 올미의 효과적(効果的)인 약제방제(藥鄭防除)를 위하여 혼합제(混合劑)인 Butachlor + Naproanilide, CG 113 + Naproanilide, Benthiocarb +Naproanilide를 공시(供試)하여 1982년(年)에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올미의 괴경(塊莖)은 토양중(土壤中)에서 10cm 이내(以內)에 92%가 분포(分布)되어 있었으며 이앙후(移秧後) 40 일(日)까지는 계속 발생개체수(發生個體數)가 증가(增加)하나 그 이후(以後)에는 減少(減少)하였다. 2. 올미의 방제효과(防除効果)는 perfluidone에 비(比)하여 Naproanilide 혼합제(混合劑) 처리(處理)에 의하여 발생개체수(發生個體數) 및 건물중(乾物中)이 적었으며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하여 95% 이상(以上)의 높은 방제율(防除率)을 나타냈고 일년생(一年生) 방제율(防除率)도 높았다. 3. 올미의 괴경형성수(塊莖形成數)는 각(各) 약제처리(藥劑處理) 모두 무처리(無處理)에 비(比)하여 적었으며 초기(初期)나 중기(中期) 처리(處理) 공(共)히 Naproanilide 혼합제(混合劑)에서 Perfluidone이나 2, 4-D보다 괴경형성수(塊莖形成數)가 적어 괴경형성억제(塊莖形成抑制) 효과(効果)가 컸다. 4. CG 113 + Naproanilide는 일(日)/인(印) 교잡계통(交雜系統)인 이리(裡里) 358 호(號)에서 최초(最初) 벽자(蘗子)의 엽선단(葉先端)이 엽초(葉効)에 붙어 만곡(彎曲)하는 약해(藥害) 징상(徵象)이 나타났으나 약(約) 10일(日) 이내(以內)에 회복(回復)되었다.

  • PDF

올미(Sagittaria pygmaea Miq.) 괴경(塊莖)의 재식밀도(裁植密度)가 수도(水稻)와의 근계경합(根系競合)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lanting Density of Sagittaria pygmaea tubers on the Root Competition with Rice Varieties)

  • 제제천;신재정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80-288
    • /
    • 1987
  • 논잡초 올미와 수도(水稻)와의 경합(競合)을 지하부(地下部)를 중심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통일형품종(統一型品種)인 중원벼와 일본형품종(日本型品種)인 상풍벼를 공시하여 포장실험을 수행 하였다. 표준재배한 수도(水稻)에 올미괴경을 완전방제구, 4개/$m^2$ 재식구, 8 개/$m^2$ 재식구 및 16 개/$m^2$ 재식구의 4개 밀도로 심고 이앙후(移秧後) 30일, 45일, 60일 및 75일에 경합양상을 조사하였다. 1. 올미괴경의 재식밀도(載植密度)가 증가함에 따라 중원벼와 상풍벼의 초장(草長), 분벽(分蘗) 및 수량(收量)은 감소하였으나 유의(有意)한 차이는 아니었다. 2. 올미괴경의 재식밀도(載植密度)가 증가함에 따라 통일형인 중원벼에서는 근수(根數)와 근중(根重)의 감소가 현저하였으나 일본형(日本型)인 상풍벼에서는 감소정도가 완만하여 중원벼의 경합력(競合力)이 상풍벼보다 작았다. 3. 올미의 뿌리는 이앙후(移秧後) 60일(日)까지에 토양 15cm 깊이에 분포하였으며 0~5cm 깊이에 전체의 64~80%, 5~10cm 깊이에 20~36%. 10~15cm 깊이에 6.7% 이하의 뿌려가 분포하였다. 그러나 출수기 이후에는 토양 0~10cm 깊이에만 분포하였다. 4. 중원벼와 경합한 올미는 이앙 후 45 일에 최대의 생육을 보인 후 근수와 근중이 크게 감소하였 으나 상풍벼와 경합한 올미의 근생육(根生育)은 이앙 후 60일에 최대에 달한 후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5. 올미의 근활력(根活力)은 중원벼보다 55%, 상풍벼보다 40%나 높았다. 6. 올미의 근생육(根生育)은 상풍벼보다 중원벼와 경합시 출수기 이후 크게 억제되었다.

  • PDF

토양온도(土壤溫度)가 올방개, 가래 및 올미의 출아(出芽)와 초기생장(初期生長)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Temperatures on Emergence and Early Growth of Eleocharis kuroguwai, Potamogeton distinctus, and Sagittaria pygmaea)

  • 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25-129
    • /
    • 1984
  • 본(本) 실험(實驗)은 올방개, 가래, 율미를 공시(供試)하여 토양온도구배장치(土壤溫度勾配裝置)(Daiki-830)를 이용(利用)하여 토양온도(土壤溫度)를 10, 14, 18, 22, 26, $30^{\circ}C$로 처리(處理)하여 출아상태(出芽狀態)와 초기생장(初期生長)을 조사(調査)하였다. 1. 올방개는 토양온도(土壤溫度) $14^{\circ}C$ 이상(以上)에서 출아(出芽)가 시작 되었으며 $26^{\circ}C$에서 출아율(出芽率)이 가장 높았고 $30^{\circ}C$는 발아율(發芽率)이 다소 감소(減少)되었다. 2. 가래의 출아율(出芽率)은 토양온도(土壤溫度) $10^{\circ}C$에서 매우 낮았고 $14^{\circ}C$ 이상(以上)의 온도(溫度)에서 출아율(出芽率)이 높았으며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출아속도(出芽速度)가 빨랐다. 3. 올미의 출아율(出芽率)은 파종후(播種後) 10일(日)까지 토양온도(土壤溫度)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增加)하였으며 모든 토양온도(土壤溫度)에서 최종출아율(最終出芽率)은 100%를 나타내었다. 4. 토양온도(土壤溫度)가 올라감에 따라 모든 공시(供試) 초종(草種)에서 80%출아(出芽) 소요일수(所要日收)는 크게 단축(短縮)되었으며 올미는 비교적 짧았으나 가래는 긴편이었고 올방개는 가장 길었다. 5. 출아(出芽)까지의 적산토양온도(積算土壤溫度)는 올방개가 가장 높고 가래, 올미 순(順)으로 낮았다. 6. 올방개, 가래, 올미의 초기생장(初期生長) 최적온도(最適溫度)는 올방개 $26^{\circ}C$, 가래 $18\sim22^{\circ}C$, 올미는 $18\sim26^{\circ}C$이었다.

  • PDF

올미와 벗풀 지방수집종(地方蒐集種)들의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 및 그들의 지리적(地理的) 분화(分化)에 관한 연구(硏究)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Local Collections of Sagittaria pygmaea Miq. and Sagittaria trifolia L. and Their Geographical Differentiation)

  • 성기영;권용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9-136
    • /
    • 1983
  • 전국적(全國的)으로 많이 발생(發生)하는 최근(最近) 논의 5대(大) 문제다년생(問題多年生) 잡초(雜草)중 올미, 벗풀에 대해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을 밝히고자 1981년에 올미는 수원, 이리, 전주에서, 벗풀은 춘천, 수원, 밀양에서 영양번식체(營養繁殖體)를 수집(蒐集)하여 서울대 농대 실험답(實驗畓)에서 증식(增殖)한 후(後), 1982년(年)에 5월(月)20일(日), 6월(月)20일(日), 7월(月)5일(日)의 4 시기(時期)에 각각 재식(栽植)하여 재식시기(栽植時期)에 따른 형태(形態), 개화(開花), 생장(生長) 및 번식반응(繁殖反應)을 관찰(觀察), 조사(調査)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 1) 올미 : 개화기(開花期)는 5월(月)20일(日) 재식시(栽植時) 6월(月) 20일(日)~6월(月)23일(日), 7월(月) 5일(日) 재식시(栽植時) 7월(月)31일(日)~8월(月)9일(日)이었고 초장(草長), 분주수(分株數)는 각각 5월(月)20일(日) 재식시(栽植時) 8.5 - 11 cm, 625-875 본(本)/$m^2$, 7월(月)5일(日) 재식시(栽植時) 8-11.5cm, 250-625 본(本)/$m^2$이었고 주당(株當) 지하경수(地下莖數)는 5월(月)20일(日) 재식시(栽植時) 1.26-1.79개(個), 7월(月)5일(日) 재식시(栽植時) 1.76-2.67개(個)이었다. 2) 벗풀 : 개화기(開花期)는 5월(月)20일(日) 재식시(栽植時) 7월(月)13일(日)-7월(月)17일(日), 7월(月)5일(日) 재식시(栽植時) 8월(月)20일(日)-9월(月)6일(日)이었으며 초장(草長)은 5월(月)20일(日) 재식시(栽植時) 65-70cm. 7월(月)5일(日) 재식시(栽植時) 30-40cm 지하경수(地下莖數)는 5월(月)20일(日) 재식시(栽植時) 15-40개(個), 7월(月)5일(日) 재식시(栽植時) 5-20개(個)이었 다. 2. 형태적(形態的) 특성(特性) 올미는 화서(花序)가 3단으로 형성(形成)된 것이 발견(發見)되었다, 벗풀에서 엽폭은 보풀과 갈이 좁았으며 그 정도는 1.0-2.5cm 이었다. 또한 춘천, 수원의 것이 밀양의 것보다 넓었다. 암꽃 화경(花梗)의 길이와 초장(草長)은 춘천의 것이 밀양, 수원의 것에 비해 작았다. 3. 생장(生長) 및 번식능력(繁殖能力) 차이(差異) 1) 올미 : 이리, 전주의 것이 수원의 것보다 분주수(分株數)가 많았으며 주당지하경수(主當地下莖數)는 수원의 것이 이리, 전주의 것에 비해 많았다. 또한 이러한 능력(能力)은 재식시기(栽植時期) 지연에 따라 감소(減少)하고 있다. 2) 벗풀 : 춘천의 것이 수원, 밀양의 것에 비해 초장(草長)이 작았으며 지하경수(地下莖數)는 밀양의 것이 춘천, 수원의 것보다 적었다. 또한 이러한 능력(能力)은 재식시기(栽植時期) 지연에 따라 감소(減少)하고 있다. 4. 올마, 벗풀의 지방수집종(地方蒐集種)들은 형태(形態) 및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의 차이(差異)가 현저하여 각각(各各) 다른 새태종(生態種)으로 간주되며 초장(草長), 지상부(地上部) 생체중(生體中), 주당지하경수(主當地下莖數) 등 생육량(生育量)에서 작물(作物_에 대한 경합능력(競合能力)이 서로 다르므로 금후 그의 실용적(實用的)에 관한 연구(硏究)가 필요(必要)하다.

  • PDF

올미의 출아(出芽) 및 방제(防除)에 미치는 환경요인(環境要人)의 영향(影響) (Effect of Varous Factors on Emergence and Control of Sagittaria pygmaea Miquel)

  • 한성수;양환승;근내성등;죽송철부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5-42
    • /
    • 1985
  • 볏짚시용량(施用量)과 토양경도(土讓硬度)의 차이(差異)에 따른 올미의 출아상태(出芽狀態) 및 미치는 몇가지 환경요인(環境要人)의 영향(影響)에 대하여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볏짚시용량((施用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동일심도내(同一深度內) 공시(供試)한 올미괴경(塊莖)의 전출아일수(全出芽日數)가 길어지거나 동일자(同日字)에 출아(出芽)되는 수(數)에 차이(差異)가 있었다. 2. 토양(土壞)의 경(硬) 연(軟)에 관련(關聯)없이 1~3cm치상(置床)에서는 출아일수(出芽日數)의 차이(差異)가 있었다. 5~7cm심도(深度)에서는 무진압구(無鎭壓區)에서 출아일수(出芽日數)가 길었고 동일자(同日者)의 출아수(出芽數)도 적었다. 3. butachlor - naproanilide 합제(合劑)의 제초효과(除草效果)는 2~3kg prod./10a 처리약량(處理藥量)에서는 올이괴경(塊莖)이 클수록 떨어지는 경향(傾向)이었다. 그러나 4kg prod./10a 약량(藥量)에서는 올미괴경(塊莖)의 크기에 관계없이 높은 방제율(防除率)을 나타냈다. 4. 동일약량수준(同一藥量水準)에서 올미에 대한 본(本) 합제(合劑)의 제초효과(除草效果)는 발생심도(發生深度)가 깊을수록 그리고 온도(溫度)가 낮을수록 떨어졌다. 5. 2~3kg prod./10a 약량(藥量)에서는 처리시기(處理時期)가 늦을수록 butachlor-naproanilide 합제(合劑)의 올미방제효과(防除效果)가 떨어지고 괴경형성수(塊莖形成數)로 증가(增加)하였으나 4kg prod./10a 약량(藥量)에서는 처리시기(處理時期)에 관계(關係)없이 올미 7~7.5 엽(葉)까지 효과(效果)의 차이(差異)가 없었다. 6. butachlor - naproanilide의 올미 방제효과(防除效果)는 2~4cm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보다 0cm 6cm 담수조건(湛水條件)에서 떨어졌다.

  • PDF

Naproanilide의 벼와 잡초간(雜草間) 선택성(選擇性) 기작(機作)에 관한 연구(硏究)- II. 벼와 잡초(雜草)에서 Naproanilide의 흡수(吸收) 및 이행(移行) (Selective Mode of Action of Naproanilide in Rice and Paddy Weeds- II. Uptake and Translocation of Naproanilide in Rice and Paddy Weeds)

  • 최종명;변종영;김용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9-113
    • /
    • 1990
  • Naproanilide의 선택성(選擇性) 작용기작(作用機作)을 구명(究明)하기 위한 실험(實驗)의 일환으로 $^{14}C$-Naproanilide를 공시(供試)하여 벼, 강피, 올미 및 너도방동사니를 대상으로 흡수(吸收) 및 이행실험(移行實驗)을 수행(遂行)하였다. 1. 올미나 너도방동사니는 벼와 강피에 비하여 더 많은 양(量)의 $^{14}C$-Naproanilide를 흡수(吸收)하였으며 경엽부(莖葉部)로의 이행량(移行量)도 많고 이행속도(移行速度)도 빠르게 나타났다. 또한 올미나 너도방동사니는 괴경(塊莖)에도 30~40%의 방사능(放射能)이 존재(存在)해 많은 양(量)의 $^{14}C$-Naproanilide가 괴경(塊莖)으로부터도 흡수(吸收)되는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2. $^{14}C$-Naproanilide에 24시간 흡수(吸收)시킨 후 Kasugai 영양액(營養液)에서 재배(栽培)하였을 때 시간이 경과(經過)됨에 따라 식물체내(植物體內)에서 방사능(放射能)은 올미나 너도방동사니의 경우 벼나 강피에 비해 감소(減少)하는 정도는 심하였으나 최종적으로 올미나 너도방동사니의 경엽부(莖葉部)에 더 많은 양(量)의 방사능(放射能)이 존재하였다.

  • PDF

2-(1-Anilinobutylidene)-5,5-dimethyl-3-hydroxy-2-cyclohexen-1-ones의 합성과 제초활성 (Synthesis and Herbicidal Activity of 2-(1-anilinobutylidene)-5,5-dimethyl-3-hydroxy-2-cyclohexen-1-ones)

  • 하현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6호
    • /
    • pp.522-525
    • /
    • 1994
  • 2-Butanoyl-5,5-dimethyl-3-hydroxy-2-cyclohexen-1-one과 여러 가지의 치환 아닐린의 축합반응으로 14가지의 2-(1-anilinobutylidene)-5,5-dimethyl-3-hydroxy-2-cyclohexen-1-ones들을 좋은 수율로 합성하였다. 이들 화합물들을 여섯 가지의 다른 담수조건 잡초들에 대하여 제초활성을 검색하였다. 대부분의 화합물들은 벼의 생육에 지장을 주지 않는 우수한 선택성을 가지면서 피(Echinochloa crus-galli)와 올미(Sagittaria pygmaea)에 대하여 우수한 제초활성을 보였다.

  • PDF

Naproanilide의 벼와 잡초간(雜草間) 선택성(選擇性) 기작(機作)에 관한 연구(硏究)- I. 벼와 잡초간(雜草間) Naproanilide의 선택성(選擇性) (Selective Mode of Action of Naproanilide in Rice and Paddy Weeds- I. Selectivity of Naproanilide between Rice and Paddy Weeds)

  • 최종명;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3-108
    • /
    • 1990
  • Naproanilide의 선택성(選擇性) 작용기작(作用機作)을 구명(究明)하기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로서 이용하고자 발아실험(發芽實驗), 수경재배실험(水耕栽培實驗)과 폿트실험(實驗)을 수행하였다. 1. Naproanilide는 발아실험(發芽實驗)에서 벼나 강피에 비해 올챙고랭이, 올미, 너도방동사니의 생장(生長)을 더 심하게 억제(抑制)시켰으며 줄기보다는 뿌리의 생장억제정도(生長抑制程度)가 심하였다. 2. Naproanilide는 수경재배실험(水耕栽培實驗)에서 $20{\mu}M$ 이상의 고농도(高濃度)에서는 전(全) 초종(草種) 심한 생육억제현상(生育抑制現象)을 보였으나 올미는 $1{\mu}M$, 너도방동사니는 $10{\mu}M$의 농도(濃度)에서 심한 억제현상(抑制現象)을 나타냈다. 3. Naproanilide는 폿트실험(實驗)에서 대조구(對照區)에 비해 벼의 초장(草長), 분얼수(分蘖數) 및 지하부(地下部) 건물중(乾物重)과 강피의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 및 잔존(殘存) 잡초본수(雜草本數)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으나 올챙고랭이, 사마귀풀 및 물달개비 등의 일년생잡초(一年生雜草)는 15g/a에서, 올미 및 너도방동사니 등의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는 30g/a에서 잔존본수(殘存本數) 및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의 급격한 감소(減少)를 보였다.

  • PDF

논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 올미의 경합생태(競合生態)에 관한 연구(硏究) (Study on Competition Ecology of a Perennial Weed Sagittaria pygmaea Miquel in Paddy Field)

  • 이한규;구자옥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14-121
    • /
    • 1982
  • 매년(每年) 발생량(發生量)이 증가(增加)되고 분포면적(分布面積)이 확대(擴大)되어 수도(水稻)에 많은 피해(被害)를 주고 있는 논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 올미의 괴경형성(塊莖形成)에 미치는 요인(要因)과 경합생태(鏡合生態)를 구명(究明)하고자 시험(試驗)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結果을 얻었다. 1. 성묘이앙답(成苗移秧畓)에서보다 추묘기계이앙답(推苗機械移秧畓)에서 올미의 발생량(發生量)과 괴경형성량(塊莖形成量)이 많았다. 2 수도(水稻)가 올미에 의해서 경합(競合)이 가장 심(甚)했던 시기(時期)는 이앙후(移秧後) 31일(日)부터 37일(日)까지였다. 3. 올미와 수도(水稻)가 경합(競合)하는 조건(條件)에서 쇠털골의 증가(增加)에 따라 올미수(數)가 현저(顯著)히 감소(減少)되었다. 4. 크기가 작은 괴경(塊莖)은 토심(土深)이 깊었을 경우 큰 괴경(塊莖)에 비하여 신괴경형성량(新塊莖形成量)이 현저(顯著)히 적었다. 5. 올미는 이식밀도(移植密度)를 높여감에 따라 종내경합도(種內競合度)가 점증(漸增)되었다. 6. 높은 시비수준(施肥水準)에서 올미(數), 괴경형성수(塊莖形成數)의 증가(增加)가 현저(顯著)하였다. 7. 수도재배조건(水稻栽培條件)에서 올미개체당(個體當) 3~4개(個)의 괴경(塊莖)을 형성(形成)하였다. 8. 올미의 괴경형성(塊莖形成)에는 질소(窒素) 또는 인산(燐酸)이 가리(加里)보다 더 많이 관여(關與)하였다. 9. 토양유기물함량(土壤有機物含量) 2.0% 이상(以上)에서는 괴경형성수(塊莖形成數)의 증가폭(增加幅)이 적었다. 10. 토양수분(土壤水分) 100% 조건(條件)에서 올미괴경(塊莖)은 담수조건(湛水條件)과 대등(對等)한 괴경(塊莖)의 출아율(出芽率) 및 출아일수(出芽日數)를 보였으나 괴경형성수(塊莖形成數)에서 50% 정도(程度) 감소(減少)되었다.

  • PDF

이앙답에서 몇가지 식생분석방법들의 비교 (Comparison of Some Methodologies for Vegetation Analysis in Transplanted Rice)

  • Kim, Soon-Chul;Keith Moody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10-318
    • /
    • 1983
  • 본 시험은 식생분석법(vegetation analysis)에 많이 이용되는 4가지 분석방법 즉, List quadrat 방법, Clip quadrat방법, Point quadrat방법, Line intercept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1. 분석 방법별로 얻어지는 초종수에 있어서는 List quadrat방법이 14종으로 가장 많았고, Line intercept방법이 8종으로 가장 적었다. 한편 Clip quadrat방법과 Point quadrat방법은 다같이 12종씩 기록되었다. 2. Clip quadrat방법은 여뀌바늘(Ludwigia prostrata Roxb), 벗풀(Sagittaria trifolia L.)등과 같이 수분함량이 비교적 적은 초종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높은 우점도(Importance value)를 보이는 경향이며 반면 올미(Sagittaria Pygmaea Miq.) 또는 물달개비〔Monochoria vaginalis(Burm. f)〕와 같은 수분함량이 높은 초종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낮게 우점도를 나타내는 경향이었다. 한편 Line intercept 방법은 벗풀(S. trifolia)와 가래(Potamogeton distinctus Benn.)등과 같이 넓은 잎을 가진 초종에 대해 높은 우점도를 나타내는 경향이었다. 3. 본 시험에 사용된 4가지 방법중에서 어느 방법을 선택하더라도 별다른 큰 문제점을 야기 시키지는 않았으나 작업과정중의 노력절감, 시간절약 또는 우점초종의 초종수 및 우점순위 등을 종합적으로 볼 때 Point quadrat방법이 가장 바람직하였고, Line intercept방법이 가장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