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gassum fulvellum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6초

국내산 다시마, 미역포자엽, 톳, 모자반 정제 fucoidan의 구성당 결합 특성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Purified Fucoidan from Laminaria religiosa, Sporophylls of Undaria pinnatifida, Hizikia fusiforme and Sagassum fulvellum in Korea)

  • 구재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8-131
    • /
    • 1997
  • 국내산 주요 갈조류인 미역, 다시마, 톳, 모자반 정제 fucoidan의 기본 결합 구조 및 황산기 결합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정제 fucoidan및 이를 methanolysis하여 얻은 고분자 획분을 각각 methylation 및 FT-IR 측정을 하였다. 다시마, 톳, 모자반, 미역포자엽 정제 fucoidan의 주 결합은 $(1\rightarrow3)$ linked fucose였으며 미역포자엽에는 $(1\rightarrow3)$ linked galactose도 상당량 존재하였다. 황산기의 대부분은 fucose와 galactose의 C-4의 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국내산 다시마, 미역포자엽, 톳, 모자반 fucoidan의 리올리지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Fucoidans from Laminaria religiosa, Sporophylls of Undaria pinnatifida, Hizikia fusiforme and Sagassum fulvellum in Korea)

  • 구재근;조길석;박진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29-333
    • /
    • 1997
  • 국내산 미역포자엽, 다시마, 톳, 모자반에서 추출한 부분 정제 fucoidan의 유동특성을 측정하였다. 겉보기 점도는 모자반, 다시마, 톳, 미역포자엽 순으로 높았으며 특히 전단속도 1,500 1/s에서 미역포자엽의 용액 $(5\%)$의 겉보기 점도는 2.2mPa.s로 매우 낮았다. 전시료 모두 유동지수 1이하의 의가소성 유체의 성질을 나타내었으며 시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의가소성이 증가하였다. 온도에 따른 활성화 에너지는 전단속도 1,500 1/s에서 톳 $8.269\times10^6$, 다시마 $7.498\times10^6$, 미역포자엽 $7.141\times10^6$, 모자반 $6.677\times10^6\;J/kg.mol$로 낮아 온도 의존성이 적었다. 또한 설탕 첨가시는 부분 정제 fucoidan의 점도가 증가한 반면에 소금 첨가시는 변화가 없었다.

  • PDF

미역 포자엽 fucoidan의 중금속 흡착 특성 (Biosorption of Lead and Cadmium by Fucoidan from Undariafinnatifida)

  • 구재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21-525
    • /
    • 2001
  • 국내에서 다량 생산되는 갈조류인 미역포자엽, 다시마, 톳, 모자반으로부터 fucoidan을 추출, 분획하여 Pb와 Cd의 흡착 특성을 조사하였다. 4종의 갈조류에서 추출한 fucoidan의 분획물 모두 Pb의 흡착량이 Cd보다 높았으며, 시료간에는 미역포자엽 분획물 (Fr-3.0)이 Pb와 Cd 모두 흡착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pH와 농도 변화에 따른 홉착력의 변화는 $C_f$ (잔류농도)가 50mg/L까지는 pH 간 차이가 없었으나, 농로가 증가함에 따라 pH 5.5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흡착량이 증가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얻은 Pb 와 Cd의 최대 흡착량은 pH 5.5에서 각각 94mg/g ($C_f$164mg/L), 64mg/g ($C_f$197mg/L)였으며 Langmuir sorption model을 통해 구한 최대 흡착량은 pH 5.5에서 각각 178mg/g, 122mg/g이었다. Cd 공존시 Pb 흘착량은 $C_f$가 낮을 범위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나 $C_f$가 증가함에 따라 공존 이온의 흡착 방해로 인하여 감소하였다.

  • PDF

물리화학적 가수분해에 의한 갈조류 바이오 에탄올 생산 (Production of Bio-ethanol from Brown Algae by Physicochemical Hydrolysis)

  • 이성목;김재혁;조화영;주현;이재화
    • 공업화학
    • /
    • 제20권5호
    • /
    • pp.517-521
    • /
    • 2009
  • 본 연구는 다양한 갈조류를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 생산을 실험하였다. 갈조류 다당류는 alginate와 laminara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단당류로 가수분해하면 바이오 에탄올을 생산 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열처리와 산 처리 이용하여 갈조류를 당화하고 이를 통한 바이오 에탄올 생산을 확인고자 한다. 에탄올 발효에는 Saccharomyces cerevisiae KCCM1129와 Pachysolen tannophilus KCTC 7937를 이용하였으며, 에탄올 발효효율은 모자반이나 톳보다 다시마에서 월등히 높았다. 다시마를 이용한 최적 전처리 조건에서의 발효 결과 Saccharomyces cerevisiae KCCM1129와 Pachysolen tannophilus KCTC 7937에서 각각 1.83 g/L, 1.96 g/L의 에탄올 생산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반면, 모자반과 톳에서의 최대 생산량은 0.22 g/L로 매우 낮았다.

Enhancement of Ethanol Production via Hyper Thermal Acid Hydrolysis and Co-Fermentation Using Waste Seaweed from Gwangalli Beach, Busan, Korea

  • Sunwoo, In Yung;Nguyen, Trung Hau;Sukwong, Pailin;Jeong, Gwi-Teak;Kim, Sung-K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3호
    • /
    • pp.401-408
    • /
    • 2018
  • The waste seaweed from Gwangalli beach, Busan, Korea was utilized as biomass for ethanol production. Sagassum fulvellum (brown seaweed, Mojaban in Korean name) comprised 72% of the biomass. The optimal hyper thermal acid hydrolysis conditions were obtained as 8% slurry contents, 138 mM sulfuric acid, and $160^{\circ}C$ of treatment temperature for 10 min with a low content of inhibitory compounds. To obtain more monosaccharides, enzymatic saccharification was carried out with Viscozyme L for 48 h. After pretreatment, 34 g/l of monosaccharides were obtained. Pichia stipitis and Pichia angophorae were selected as optimal co-fermentation yeasts to convert all of the monosaccharides in the hydrolysate to ethanol. Co-fermentation was carried out with various inoculum ratios of P. stipitis and P. angophorae. The maximum ethanol concentration of 16.0 g/l was produced using P. stipitis and P. angophorae in a 3:1 inoculum ratio, with an ethanol yield of 0.47 in 72 h. Ethanol fermentation using yeast co-culture may offer an efficient disposal method for waste seaweed while enhancing the utilization of monosaccharides and production of ethan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