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of seaweeds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6초

지역별 해조류의 중금속 함량 (A Study of Heavy Metals Contents of the Seaweeds at Various Area in Korea)

  • 최순남;이상업;정근희;고원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5-32
    • /
    • 1998
  • To measure the contents of several heavy metal elements (Cr, Mn, Ni, Cu, Zn, Cd, Hg, Pb) in Korean seaweed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food resources, various seawee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irteen to seventeen seaweed-producing district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experiment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ntent of heavy metal elements in seaweeds of individual sample ranged from 0.0005 to 25.0373 ppm. Their mean levels were as follows: laver, 0.0024∼3.9297 ppm; sea lettuce, 0.0011∼25.0373 ppm; sea mustard, 0.0005∼23.5071 ppm; sea tangle, 0.0006∼4.8550 ppm. The mean levels of Cd and Pb were specially low in the samples collected from the area II in Kangwon and area Ⅸ in Kyungbook. 2. The mean levels of heavy metal elements of collected samples ranged from 0.0117 to 4.4944 ppm. Laver showed the lowest level of Hg and sea lettuce showed the highest level of Mn. Their mean levels of elements were as follows: laver, 0.0117∼2.3339 ppm; sea lettuce,0.0232∼4.4944 ppm; sea mustard, 0.0129∼1.5139 ppm and sea tangle, 0.0182∼1.7410 ppm. 3. The mean levels of heavy metal elements from several locations ranged from 0.0085 ppm to 8.4148 ppm. The mean levels of heavy metal elements in sea mustard from area V of Kyungbook were the lowest, but the mean levels of heavy metal elements in sea lettuce from area Ⅷ of Kyungnam were the highest. The mean level of heavy metal elements were as follows: laver, 0.3613∼1.1124 ppm; sea lettuce, 0.1415∼8.4148 ppm; sea mustard, 0.0729-3.1182 ppm; sea tangle, 0.0085∼0.7587 ppm. 4. Generally the heavy metal elements were detected in the seaweed samples from all locations. The mean levels of heavy metal elements varied with locations and kinds of samples. The levels of heavy metals of the samples taken from all locations from the East Sea, the South Sea, and the West Sea areas showed 99% safety range.

  • PDF

미역의 8가지 품질기준 설정을 위한 양식산 및 자연산 미역의 비교 (Comparison of Aquacultured and Wild Undaria pinnatifida Thalli for Evaluation of Eight Quality Standards)

  • 강지영;박남희;;서만석;홍용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37-342
    • /
    • 2008
  • Eight quality standards of the brown seaweed, Undaria pinnatifida were designed and evaluated with dry products collected from aquacultured and wild areas. Contents of n-3 fatty acids (stearidonic acid and eicosapentaenoic acid), anti-edema activity, and total carbohydrate were measured as functional criteria. Total bacteria and molds were counted for safety conditions. Amounts of a brown pigment fucoxanthin, debris, and moisture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visible status of the products. When the seaweeds were tested in 1 g dry weight basis, they showed n-3 fatty acids in the range of approximately 0.2-2.8 mg, total carbohydrate of 0.39-0.71 g, total bacteria of $10^{4-6}$ cells, mold of $10^2$ cells, fucoxanthin of 0.4-1.5 mg, and debris of 10-24 mg. Anti-edema activity was 0.03-0.47 AU at 40 mg/mL extract. Moisture content was 11.4-12.6%.

해조류 유래 Fucoidan의 어류용 백신 항원보조제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고찰 (Potential of Fucoidan Extracted from Seaweeds as an Adjuvant for Fish Vaccine)

  • 민은영;김광일;조미영;정승희;한현자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3
    • /
    • 2019
  • Fucoidan(후코이단)은 주로 갈조류에서 추출되는 fucose를 함유한 함황 다당류의 일종으로, 항균, 항바이러스 및 항종양 효과와 함께 다양한 경로로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생리 기능성물질로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인체 백신 분야에서는 fucoidan의 백신 adjuvant(항원보조제)로서의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수산업 분야에서는, 보조사료로서의 fucoidan의 기능에 관한 연구는 보고되고 있으나, 수산용 백신 개발을 위한 adjuvant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동물세포에서 fucoidan의 adjuvant에 대한 긍정적인 검토와 함께 안전성을 증명한 연구는 많이 있지만, fucoidan을 어류 백신용 adjuvant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류에서도 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fucoidan의 분자량에 따라 세포 내 흡수율이 각기 다르다는 점과 병원체의 인위감염에 따른 항체 생성을 포함한 어류의 특이면역 반응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하다는 제약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가 뒷받침 된다면 안전하고 효과적인 adjuvant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fucoidan이 사람과 동물을 포함하여 어류의 면역자극 즉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검토하고, 수산업 분야에서 fucoidan의 사용과 어류 백신용 adjuvant로서의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해조류 5종의 아미노산 조성 및 계통 다양성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mino Acid Composition and Phylogenetic Diversity of Five Seaweed Species)

  • 손승원;이혜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45-152
    • /
    • 2024
  • 해조류는 풍부한 필수 영양소 공급으로 인해 귀중한 해양 자원으로 여겨지며 특히 단백질과 아미노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한국에서는 500종 이상의 해조류가 서식하며 그 중 50종 이상이 식품용으로 이용되어 일상 식단의 중심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가장 흔히 섭취되는 해조류 5종(매생이, 톳, 김, 다시마, 미역; Capsosiphon fulvescens, Hizikia fusiforme, Porphyra yezoensis, Saccharina japonica, Undaria pinnatifida)의 단백질 구성 아미노산을 분석하였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알라닌, 류신이 가장 풍부한 아미노산 성분임을 알 수 있었다. 주성분 분석에서는 이 다섯 종류의 해조류가 아미노산 구성에 따라 세 개의 군집으로 분류될 수 있었고, 이는 부분적으로 계통 분류 결과와 일치하였다. 다양한 아미노산 중에서도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알라닌이 구분을 주도하는 주요 아미노산이였다. 특히, 가까운 계통적 근접성을 보이는 Undaria pinnatifida와 Capsosiphon fulvescens는 뚜렷하게 유사한 아미노산 프로필을 나타내었다. 그에 비해 Porphyra yezoensis와 Saccharina japonica는 계통적 관계를 공유하더라도 다른 아미노산 구성을 보였다. Hizikia fusiforme는 두 분석 모두에서 독특한 군집으로 나타났다.

해중림초 주변의 감태 포자확산 특성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Ecklonia cava Spores around Marine Forest Reefs)

  • 김용관;이진영;곽인실;김종규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3-102
    • /
    • 2020
  • 본 연구는 해중림초 주변에서의 감태 포자의 확산 특성에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대상해역에서의 현장관측과 EFDC를 활용하여 수치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앞선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해역에 설치된 해중림초 중 3개종(정삼각뿔형어초, 이중돔형어초, 날개부를가진어초)에 대하여 Flow-3D를 이용한 수치모형실험을 실시하여 실해역 흐름 재현을 통한 포자이동 방향 및 최대 이동거리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정삼각뿔형어초와 이중돔형어초의 경우 포자의 최대 안착지점은 북서쪽 방향으로 10 m, 서쪽방향으로 6 m로 나타났다. 날개부를가진어초의 경우 포자가 해중림초 주변 4m지점에서 최대 안착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해중림초 설치시 감태 포자의 확산특성을 고려하여 배치하였을 경우 포자의 이동에 따른 해조류의 부착기질로서의 기능에 대한 효과가 증대될 것으로 판단된다.

물 제트를 이용한 소형선박제작 시편의 선체부착생물 제거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Removal of Biofouling from Specimens of Small Ship Constructions Using Water Jet)

  • 서대원;오정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078-1085
    • /
    • 2022
  • 선박에 부착된 수중생물은 선체에서 성장하면서 선박의 저항을 크게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부착생물이 배와 함께 이동하면서 지역의 해양 생태계 교란을 야기시키기도 한다. 이에 따라 국제해사기구에서는 선체부착생물의 이동을 막기 위해 선체부착생물 제거 및 청소성능 평가 논의를 시작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형선박에 사용되는 FRP(Fiber Reinforced Plastic),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재료의 시편을 격포항(전락북도)에 약 80일간 양생시킨 후 물 제트 노즐을 이용하여 부착생물 제거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김과 같은 해조류는 노즐과 시편과의 거리가 1.8cm, 100bar 일 때 제거되었지만, 따개비의 경우 200 bar 이상은 되어야 청소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화장품 소재연구를 위한 해조류의 발효 공정 확립 (Establishment of Seaweed Fermentation Process for Cosmetic Material Research)

  • 이충우;김현아;윤혜련;전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14-1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감태, 파래, 서실, 대황, 청각, 불등가사리, 세모가사리, 참도박,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의 발효공정을 확립함으로써 해양 생물의 화장품 소재로의 사용 가능성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해조류의 효과적인 발효를 위해 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균주를 선정하였고, 첨가제로 전지 분유를 사용하였다. 해조류 분쇄물 2.0 % 와 전지분유 1.0 % 를 투입하고, 이후 $40^{\circ}C$ 까지 방랭하여 준비 한 후 락토바실러스 사케아이 유산균 1.0 % 를 접종 하였다. 발효물을 냉각하고 여과한 후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등과 방부 역할을 할 수 있는 1, 2-헥산다이올 등을 첨가하여 혼합 후 제품을 완성하였다. 10 종의 해조류 중 감태, 청각, 미역, 다시마의 발효 효율이 좋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화장품에 적용 가능한 발효물의 함량을 결정 하였고, HET-CAM (The Hen's egg test-Chorioallantoic membrane) 법을 이용하여 원료의 안전성을 확인 하였다.

해조류와 해조류가공품의 중금속 오염실태 및 위해성평가 (A Study on Heavy Metal Contamination and Risk Assessment of Seaweed and Seaweed Products)

  • 이지연;이명진;정일형;조영선;성진희;백은진;이은빈;김혜진;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47-453
    • /
    • 2019
  • 본 연구는 2018년 경기도내 대형마트, 온라인에서 유통 중인 해조류 및 해조류가공품 80건을 대상으로 중금속 4종(납, 카드뮴, 비소, 수은)의 오염도를 모니터링하고, 해조류 섭취에 따른 위해도를 평가하였다. 현재 해조류에 설정된 중금속 기준은 납의 경우 미역(미역귀 포함)에만 0.5 mg/kg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며, 카드뮴은 김(조미김 포함)과 미역(미역귀 포함)에 0.3 mg/kg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검사 결과 기준이 설정된 제품은 모두 기준치 이내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금속 중 특히 비소의 경우 대부분의 해조류에서 대체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유기비소와 달리 독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무기비소의 함량이 다소 높은 톳과 모자반을 함유한 가공식품에 무기비소 기준을 신설하여 2018년부터 시행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톳 제품은 시행일 전에 제조되어 기준 적용 대상은 아니었지만, 건조 톳 8건 중 4건은 수산물, 4건은 기타수산물가공품으로 분류되어 있어 명확한 유형 분류 기준이 먼저 필요할 것이다. 노출량에 따른 위해도는 안전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섭취하는 해조류의 종류에 비해 중금속 기준이 설정이 되어있는 해조류는 미비하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해조류의 중금속 관리 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강릉지역 시판 튀김음식의 지방산조성 및 산패에 관한 연구 (Fatty Acid Composition and Lipid Oxidation of Commercial Deep-fat Fried Foods in Kangreung)

  • 황재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245-253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tty acid composition and the rancidity of commercial deep-fat fried foods in Kangreung. the 7 kinds of samples were purchased form snack corners in 3 markets at AM 10 and PM 6 o'clock. The acid value, peroxide value and TBA value of the deep-fat fried foods were determined and the fatty acid composition were analyzed. The range of acid value was 0.45∼1.79, that of peroxide value was 1.24∼8.64meq/㎏,and that of TBA value was 12∼140 in all sampl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most of all samples by purchasing time and kinds of samples. But there was not specific tendency by purchasing times in each sample. Most of the acid value, peroxide value and TBA value of the samples fried with meats or sea foods showed higher value than the that of samples fried with vegetables or seaweeds.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total lipids in the deep-fat fried foods were similar to one another. The major fatty acids were linoleic acid(C18 : 2) , oleic acid(C18 : 1) in order of content. Minor fatty acids were palmitic acid(C16 :0), linolenic acid(C18 : 3), stearic acid (C18 : 0) in order of content. the P/S ratio was the range of 2.12/1∼4.71/1 and the that of the samples fried with meats was the highest among samples. so there was the same tendency in this result between the chemical properties(acid value, peroxide value, TBA Value) and fatty acid composition. As a result of acid value and peroxide value in this study, the commercial deep-fat fried foods in Kangreung was safety.

  • PDF

Antiviral Activity of Seaweed Extracts against Feline Calicivirus

  • Kim, Kyoung-Lan;Lee, Dae-Sung;Park, Mi-Sun;Eom, Sung-Hwan;Lim, Keun-Sik;Kim, Jong-Soon;Lee, Dong-Ho;Kang, Chang-Keun;Kim, Young-Mog;Lee, Myung-Su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3권2호
    • /
    • pp.96-101
    • /
    • 2010
  • Norovirus, which causes gastroenteritis in humans, is an important food-borne pathogen worldwide. In an effort to discover an antiviral substance against norovirus, extracts from several seaweeds were evaluated for antiviral activity against feline calicivirus (FCV), which was used as a surrogate. The methanolic extract of Undaria pinnatifida exhibited the most significant antiviral activity and virucidal efficacy against FCV. The concentrations of the extract that reduced viral replication by 50% ($EC_{50}$) and resulted in the death of 50% of the host cells ($CC_{50}$) were 0.05 mg/mL and 1.02 mg/mL, respectively. The selectivity index, calculated from the ratio of the $CC_{50}$ and $EC_{50}$ was 20.4. No FCV infection of host cells occurred following a 1-h incubation in the presence of 12.50 mg/mL U. pinnatifida extract, indicating that the virus was completely inactivated by the extract treatment.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natural antiviral substance that will prevent food-borne disease caused by norovir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