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helmet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33초

아두이노를 이용한 스마트 안전모 (Smart Safety Helmet Using Arduino)

  • 이동건;김원범;김중수;임상근;공기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77-83
    • /
    • 2019
  • 산업 재해의 주요 원인에는 추락사고, 가스 누출 등이 있다. 기존의 안전모와 스마트 디바이스 결합 제품들은 편의성에 초점을 맞춰져 있어 위와 같은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기능이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추락사고 인지와 가스 누출 감지 기능에 중점을 둔 스마트 안전모 개발을 다루었다. 또한 효율적으로 근로자를 관리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의 핵심 기능은 근로자의 위험 상태를 감지하여 관리자에게 전달하고 근로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다. 실험을 통해 가연성 가스 측정 능력의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하지만 보드와 센서의 지속적인 동작으로 인해 상당한 전력 소모가 발견됨에 따라 대용량 배터리로 교체하는 등의 대응 방안이 요구된다는 점도 발견하였다.

개인형 이동수단별 헬멧 착용 유무가 두부 손상에 미치는 영향: 일개 권역응급의료센터에 교통사고로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The effect of wearing a helmet on head injury risks among personal mobility vehicle riders: A study of patients who visited a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due to traffic accidents)

  • 안소연;김용준;심경율;이경열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7-17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head injuries among drivers of personal mobility devices and provide insights into safety perceptions.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analyzed data of 221 trauma patients obtained from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the 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NEDIS) over one year, from August 1, 2021, to July 31, 2022. The patients, all in their 20s and 30s, presented to a single emergency medical center following personal mobility device accidents (motorcycles, electric scooters, and bicycles). Results: Among motorcycle riders, 18.2% were not wearing helmets, while the percentage of e-scooter riders not wearing helmets was 87.5%. Wearing a helmet was associated with a 71.2% lower likelihood of head injuries (OR=0.288, CI=0.163 to 0.509, p=0.000). Of the personal mobility devices, motorcycles had a 0.431 times lower odds ratio for head injury compared to e-scooters (p=0.009),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scooters and bicycles (p=0.776). Conclusion: It is imperative to strengthen safety regulations by mandating helmet use for riders of personal mobility devices. A system to enhance driving enforcement for electric scooters, which are increasingly popular among young adults, should also be established.

안전모의 충격전달에 관한 이론적 고찰 (A theoretical study on the shock-absorbing characteristic of safety helmet)

  • 김연우;박경수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9-33
    • /
    • 1990
  • The need for the protection of workers in many industrial workstations has long been recognized, and many type of protective equipment have been devised. In many protective equipment designs, this study set limits to the safety helmet. The direct closed head impact problem was idealized as a linear-damped spring model. This study concerns what properties of helment should afford optimal protection in a direct closed head impact problem. The solution to the problem was achieved through analytic method and numerical computation. The answer was found in terms of 4 parameters : 1) rigidity of shell, 2) viscosity of shell, 3)rigidity of harness, 4) viscosity of harness. The choices are as follows 1) to reduce the rigidity value of harness as small as possible 2) to increase the viscosity value of harness as large as possible. 3) to select the rigidity value of shell sufficient for preventing a breakage.

  • PDF

Technology Trends for Developing Helmet Patents

  • Kwon, JuYoun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01-517
    • /
    • 2015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chnology trend on developing helmets based on the analysis of Korean, US, European and PCT patents. Background: The usage of th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uch as the safety helmet would be essential for preventing injuries and reducing the severity of inju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activity and the exposed environment. Method: Database of WIPSON was used for searching the patents. The objects were the Korean, US, European and PCT patents registered or opened from January 2011 to December 2014. The keyword to investigate was helmet, and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IPC) was used for investigating the technology trend of the patents. Results: The cases of US patents annually increased, but the cases of European patents decreased. US patents belonged to all sections but Korean and European patents and PCT patents did not. The largest number of IPC, to which four areas' patents belonged, was 'Headwear' and the second largest one was 'Hygiene'. In the subgroup level, the most common largest subgroups were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and '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Korean patents had the lowest ratio of single_IPC at 11%, but the ratios of single_IPC for US and European patents were 52%, respectively. 'Human necessities', 'Mechanical engineering', 'Physics', and 'Electricity' were used as a single_IPC, but lower levels of 'Performing operations', 'Chemistry', 'Textiles' and 'Fixed constructions' were used as multi_IPC. Most main applicants had patents which belonged to 'Human necessities'. Conclusion: The cases of US patents annually increased unlike others. The common technologies for creating the helmet were Parts of helmets under Headwear and Shields for welders under Hygiene. Many Korean patents tended to be categorized as multi_IPC, different from others. Application: To know the technological characteristic of patents would be helpful to initial stage developers.

Man-Machine Interface Device for Dismantling Factory

  • Yi, Hwa-Cho;Park, Jung-Whan;Park, Myon Woong;Nam, Taek-Jun
    • 청정기술
    • /
    • 제23권3호
    • /
    • pp.248-255
    • /
    • 2017
  • In dismantling factories for recycling, it is important to input actual working data to a personal computer (PC) in order to monitor the work results and related recycling rate of the inputs. This should be performed with a keyboard, a mouse, or other devices. But when a worker is working in the factory, it could be bothersome or time consuming to go to the PC. Especially, workers who works at dismantling factories have a generally low education level are scared to use a PC, which could be used as a pretext for not using the PC. In some cases, data input is performed by a worker after the day's job. In this case, it could take additional time, the worker can make more mistakes, and the data could be unreliabl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an-machine interface (MMI) device using a safety helmet. A joystick-like device, pushbuttons, and a radio frequency (RF)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is equipped in a safety helmet. This MMI device has functions similar to a PC mouse, and it has a long communication distance. RF is used because it consumes less battery power than Bluetooth. With this MMI device, workers need not go to a PC to input data or to control the PC, and they can control the PC from a long distance. The efficiency of PCs in a factory could be increased by using the developed MMI system, and workers at the dismantling factories could have less reluctance in using the PC.

다중 센서를 이용한 위험 상황 감지 안전모 (Risk Situation Detection Safety Helmet using Multiple Sensors)

  • 최우용;김효상;고동현;이장훈;이승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226-127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산업 재해의 주요 원인인 추락 및 낙상 사고와 가스 누출에 중점을 둔 위험 상황 감지 안전모를 다루었다.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중력 가속도 측정을 통해 추락 상황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그 결과 80%의 추락 및 낙상 감지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가스 센서를 통해 위험 가스 농도를 측정하여 시리얼 모니터를 통해 188 이상의 디지털 값이 출력될 경우 가스 위험 상황으로 판단하였다, 앱 인벤터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제작한 스마트폰 어플을 통해 추락 및 낙상 상황 경고 메시지와 가스 경고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Construction Site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ZigBee Communication)

  • 이창호;김강희;김지원;최상방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4권3호
    • /
    • pp.39-51
    • /
    • 2017
  • 최근 대규모 또는 소규모 건설 현장을 살펴보면 추락, 충돌 등의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사고는 인명 피해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크나큰 손실을 가져온다. 대규모 건설 현장의 경우 안전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산업 재해를 줄이고 있지만, 소규모 건설 현장의 경우 호환성 및 설치 비용 등의 문제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소규모 건설 현장의 경우 보호 장비만 착용해도 산업 재해를 줄 일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소규모 건설 현장뿐만 아니라 대규모 건설 현장에서도 사용 할 수 있는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안전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 모듈, 중계기 및 게이트웨이,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스마트 모듈은 안전모에 탈 부착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중계기 및 게이트웨이를 통해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중계기는 스마트 모듈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게이트웨이로 재전송하며, 게이트웨이는 중계기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모니터링 시스템은 스마트 모듈로부터 온도, 고도, 조도,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아 현시함으로써 관리자에게 사용자의 상태를 알려준다. 관리자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상태 파악 및 위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하게 조치 할 수 있다.

영상 처리를 이용한 IoT 기반 웨어러블 스마트 안전장비 (IoT based Wearable Smart Safety Equipment using Image Processing)

  • 홍현기;김상율;박재완;길현빈;정목동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67-175
    • /
    • 2022
  • With the recent expansion of electric kickboards and bicycle sharing services, more and more people use them. In addition, the rapid growth of the delivery business due to the COVID-19 h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use of two-wheeled vehicles and personal mobility. As the accident rate increases, the rule related to the two-wheeled vehicles is changed to 'mandatory helmets for kickboards and single-person transportation' and was revised to prevent boarding itself without driver's license. In this paper, we propose a wearable smart safety equipment, called SafetyHelmet, that can keep helmet-wearing duty and lower the accident rate with the communication between helmets and mobile devices. To make this function available, we propose a safe driving assistance function by notifying the driver when an object that interferes with driving such as persons or other vehicles are detected by applying the YOLO v5 object detection algorithm. Therefor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safer driving assistance by reducing the failure rate to identify dangers while driving single-person transportation.

아두이노를 이용한 스마트 LED 자전거 헬멧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LED Bicycle Helmet using Arduino)

  • 안성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148-1153
    • /
    • 2016
  •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로 인해 레저 및 교통수단으로 사이클링을 즐기는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전거 이용자 급증으로 자전거 안전사고도 함께 증가하여 사회 문제로 대두되는 상황에 착안하여 사이클링 시에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자전거 헬멧을 제작한다. 이를 위한 기본 아이디어는 헬멧에 LED를 부착 후 LED 발광상태를 변경함으로써 주변에 자전거의 주행 방향 및 상태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것이다. LED의 상태는 아두이노 보드를 통하여 제어하며, 자전거의 움직임 정보는 스마트폰의 가속도 및 GPS 센서값을 추출하여 표현된다. 스마트폰에서 아두이노로 자전거 움직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아두이노 보드에 별도의 블루투스 모듈을 부착하고 스마트폰과 연결을 유지한다.

다구찌 설계법을 이용한 주름댐퍼를 갖는 헬멧안전의 감쇠효과에 관한 연구 (On the Damping Effects of Helmet Safety with a Corrugation Damper using Taguchi's Optimization Design)

  • 김청균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4-40
    • /
    • 2008
  • FEM과 다구찌의 설계기법을 이용하여 헬멧의 주름댐퍼에 걸리는 수직방향 변위량, von Mises 응력, 변형률 에너지를 주름댐퍼의 돌출길이와 두께, 주름댐퍼의 상단코너반경과 하단코너반경의 함수로 각각 분석하였다. 주름댐퍼의 형상에 대한 최적의 설계요소는 헬멧에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력에 의해 형성되는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감쇠용량, 즉 변형률 에너지를 높여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다구찌 설계법에 기반한 최적설계는 주름댐퍼의 돌출길이 L = 20 mm, 두께 t = 2 mm, 상단코너반경 $R_1=4\;mm$, 하단코너반경 $R_2=3\;mm$로 계산되었다. 주름댐퍼의 설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소는 주름댐퍼의 두께와 돌출길이고, 이들 설계요소는 헬멧의 충격에너지 흡수용량을 나타내는 변형률 에너지 증가에 대한 기여도가 높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