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Culture

검색결과 1,439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iveness of endodontic retreatment using WaveOne Primary files in reciprocating and rotary motions

  • Patricia Marton Costa;Renata Maira de Souza Leal;Guilherme Hiroshi Yamanari;Bruno Cavalini Cavenago;Marco Antonio Hungaro Duarte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8권2호
    • /
    • pp.15.1-15.7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iciency of WaveOne Primary files (Dentsply Sirona) for removing root canal fillings with 2 types of movement: reciprocating (RCP) and continuous counterclockwise rotation (CCR).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mandibular incisors were prepared with a RCP instrument (25.08) and filled using the Tagger hybrid obturation technique. The teeth were retreated with a WaveOne Primary file and randomly allocated to 2 experimental retreatment groups (n = 10) according to movement type: RCP and CCR. The root canals were emptied of filling material in the first 3 steps of insertion, until reaching the working length. The timing of retreatment and procedure errors were recorded for all samples. The specimens were scanned before and after the retreatment procedure with micro-computed tomography to calculate the percentage and volume (mm3) of the residual filling material.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evaluated using paired and independent t-tests, with a significance level set at 5%.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timing of filling removal between the groups, with a mean of 322 seconds (RCP) and 327 seconds (CCR) (p < 0.05). There were 6 instrument fractures: 1 in a RCP motion file and 5 in continuous rotation files. The volumes of residual filling material were similar (9.94% for RCP and 15.94% for CCR; p > 0.05). Conclusions: The WaveOne Primary files used in retreatment performed similarly in both RCP and CCR movements. Neither movement type completely removed the obturation material, but the RCP movement provided greater safety.

탄성력 기반 안전벨트 프리텐셔너 설계 (Design of Seat Belt Pretensioner driven by Elastic Force)

  • 이용수;박세윤;이현은;김상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545-550
    • /
    • 2023
  • 차량 충돌 시 벨트를 잡아당겨 탑승자의 상해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장치인 프리텐셔너는 화약 폭발 방식으로 구동되므로 화재나 파편이 튀는 2차 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사고 발생 후 프리텐셔너 내부의 가스 발생기 뿐만 아니라 매니폴더를 포함한 연결 부품 모두를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안전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탄성력 기반 프리텐셔너를 제안한다. 기존 프리텐셔너의 작동 원리를 열역학적/동역학적 관점으로 분석한 후 프리텐셔너 전개를 위해 필요한 가스 폭발에너지를 탄성에너지로 변환하였다. 또한 비감쇠 진동해석을 통해 프리텐셔너 작동시간을 확인하였으며 폭발 압력과 전개 시간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스프링 강성을 선정하였다. 스프링 부착 위치에 따른 차량 내부 설치 규격을 고려하여 코일 스프링 형상 및 고정부를 설계하였으며 제작을 통해 탄성력 기반 프리텐셔너의 성능 검증을 수행하였다.

조직의 자율적 근로환경과 구성원 간 신뢰가 근로자의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Organization's Autonomous Working Environment and Trust among Members on Workers' Job Immersion)

  • 한은수;황종현;이동형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3-21
    • /
    • 2023
  • In the recent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any industries aim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products and services by introducing cutting-edge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In this situation, organizational culture is changing a lot due to the influx of the MZ generation with strong individualistic tendencies and the decreased face-to-face communication between members. However, active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is still essential to maximize performance, and the margins created by simplifying work processes and automating processes must be used for creating work performance. This requires cooperation and commitment through the job immersion of members who have an active attitude. This study analyzed how the organization's autonomous work environment and trust among members, which are creative work performance conditions, affect job immersion using raw data from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both the organization's autonomous working environment and trust among members significantly effected the members' job immersion. in order to achieve productivity and value improvement in companies, efforts are needed to increase workers' job immersion by building an autonomous working environment and trust among memb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search for ways to increase workers' job commitment to improve organizational productivity.

상시처짐을 이용한 공용중인 고속철도 PSC BOX교의 긴장력 손실 예측 (Prediction of Jacking Force Loss for Serviced High Speed Railway PSC BOX Bridge Using Constant Deflection)

  • 최정열;김태근;정지승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549-555
    • /
    • 2023
  • 공용중인 고속철도의 PSC Box 교량의 긴장력 관리는 교량 성능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능으로 교량 유지관리시 세밀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열차(활하중) 재하시험 없이 측정한 상시처짐 결과를 이용하여 PSC Box girder 내부의 긴장력 감소 수준과 긴장력 손실에 다른 재긴장 예측 시기를 연구하고자 한다. PSC Box 거더의 긴장력 감소에 따른 재긴장 시기 예측결과, 준공 이후 약 17년 이전에서는 긴장력 감소(Jacking force loss) 곡선이 완만한 것으로 나나낫다. 그러나 17년 이후에서는 긴장력 감소 곡선이 급격하게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용연수 증가에 따라 긴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구조물의 노후화가 진행될수록 긴장재의 손신을 더 급격하게 증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공용중인 PSC Box 교량중에서 준공 이후 18년 이상 경과된 구조물의 경우 긴장재 및 주변 손상에 대한 정밀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탈선방지 가드레일의 구조안전성과 유지보수 상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Safety and Maintenance of Derailing Prevent Guard Rail)

  • 최정열;박현요;정지승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593-599
    • /
    • 2023
  • 곡선부에는 차량-궤도의 하중불균형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한 탈선의 위험이 내재 되어있어 도시철도에서는 탈선방지 가드레일을 설치, 운영하고 있다. 앵글형 탈선방지 가드레일은 가드앵글을 포함한 다양한 부품으로 구성되어 탈선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탈선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구성품에서 다양한 손상이 발생하고 있어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손상현황을 조사하여 손상 빈도가 높은 앵글형 탈선방지 가드레일의 구성품을 분류하였으며, 다양한 손상의 발생 조건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손상원인을 공학적으로 분석하고자 정밀 3차원 수치모델을 이용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은 열차의 탈선하중을 해석적으로 모사하고자 정적상태의 극한하중조건으로 적용하였으며, 앵글형 탈선방지 가드레일, 레일, 차륜의 실제도면을 이용하여 모델링하였다. 손상현황조사와 수치해석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구성품의 손상에 대하여 공학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근전전동의수의 파지력 및 내구성 시험 표준 개발 (Development of gripping force and durability test standard for myoelectric prosthetic hand)

  • 차국찬;최기원;이석민;박상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393-399
    • /
    • 2023
  • 상지 절단 장애인은 미관 목적과 기능적 필요성에 의하여 상지 의지를 착용하며, 특히 양손 절단자인 경우 잡는 동작 즉 파지동작이 가능한 근전 전동의수의 착용이 필수적이다. 잔존 근육의 근전도 신호에 의하여 작동하는 근전 전동의수는 산업재해보상보험의 공적보험 급여 품목이며, 사용자의 안전과 제품 성능의 유효성에 대한 시험 방법 표준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지 전동의수의 잡는 힘 즉 파지력을 로드셀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반복 동작으로 인한 내구성을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시험하기 위한 내구성 시험 장치를 개발하고 그 시험 방법의 표준을 제안한다. 아직까지 국제 표준화 기구 ISO(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의 시험 표준이 제정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향후 전동의수 시험 표준 분야에서 한국의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모달시험기법을 이용한 자갈궤도의 침목지지조건평가 (Evaluation of Sleeper Supporting Condition for Railway Ballasted Track using Modal Test Technique)

  • 최정열;윤태정;정지승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537-542
    • /
    • 2023
  • 최근 도심지 주변으로 집중되는 신축구조물 및 공동구 확장 등과 같은 인접굴착공사로 인해 운영중인 철도 구조물의 변형이 발생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구조물에 대한 구조검토 및 보수보강에 집중되고 있으며 궤도에 대한 검토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토공노반 상 자갈궤도의 경우 노반과 도상자갈이 강결된 구조가 아니므로, 미소한 수준의 변형으로도 도상자갈 이완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침목 지지조건이 불안정한 조건으로 유도될 수 있으므로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해야한다. 또한 불안정한 지지조건으로 열차탈선의 위험이 매우 높은 궤도형식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반 변형에 따른 자갈궤도의 변형특성과 궤도지지성능의 상관관계를 실험 및 해석적으로 입증하고, 자갈궤도의 상태 및 궤도지지강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커넥티드 카 고객 리뷰의 감성 분석: 국내-해외 브랜드간 UX 요인 비교를 중심으로 (A Sentiment Analysis of Customer Reviews on the Connected Car using Text Mining: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UX Factors between Domestic-Overseas Brands)

  • 신유정;최준호;김성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517-528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자동차 브랜드의 커넥티드 카 서비스의 사용자 감성 경험 요인들을 비교 분석하여 차이점을 도출하고 스마트 카 UX의 기획 방향성을 도출하는 것이다. 텍스트 마이닝 방법론을 활용하여, 국내외 브랜드 간 사용자 고객 리뷰의 경험 요인별 긍정-부정 감성 지수를 비교하였다. 현대차 그룹 브랜드 리뷰 12만 건과 해외 브랜드(테슬라, BMW, 벤츠) 리뷰 19만 건을 수집하여 전처리 과정을 수행한 후, 추출된 키워드를 연결 시스템, 정보, 서비스 차원에서 모두 11개의 경험 요인으로 분류하여 국내-해외 브랜드를 비교 분석하였다. 국내 커넥티드 카의 고객 리뷰 분석 결과, 가장 높은 감성 지수가 도출된 경험 요인은 '안전성'이었다. 해외 브랜드의 감성 지수 분석 결과, '오락성'이 가장 긍정적인 경험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교 급식의 우리 농축산물 이용 실태 및 이에 대한 영양사의 인식 (Using Status of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in School Food Service and Dieticians' Perception)

  • 양일선;이보숙;이소정;이해영;정현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2-153
    • /
    • 2006
  • This study was plann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using status of agricultural products in school food service both produced in Korea and imported from other countries and the dieticians' perception on using those. A total of 723 dieticians of 442 elementary schools and 381 middle high schools were surveyed in July, 2003 to perform the purposes of the study. A high using rate (93.4%) for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was investigated. As for meat such as pork and chicken except beef and eggs, the using rate of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was high. Almost 100% of vegetables and fruits, except tropical fruits such as banana, kiwi, orange and pineapple supplied for school food service were also Korean products. As for nuts and edible oil, the rate of using for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was comparatively lower than those of other food items due to the price gap. Most dieticians rated the quality of the products produced in Korea higher than that of the imported products in the aspects of their freshness, taste, and safety. But they found no difference in the package condition of the products produced in Korea and of those imported from other countrie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package system should be improved for the agricultural products produced in Korea.

경로당 노인의 식습관 및 영양지식과 신체건강기능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utritional Habit, Nutritional Knowledge, Functional Health Status of the Aged People in the Hall for the Aged in Sungnam Area)

  • 강남이;추수경;유장학;이승훈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78-78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basic materials needed for nutrition and health programs for aged people. In order to set up these programs, the nutritional habit, nutritional knowledge and functional health status (mobility, functional assessment, and falls efficacy) of the aged were measured, and their relationships were determined. Data was collected on 57 aged individuals that participated in the 'Exercise Program for the Aged' conduct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These 57 subjects were interviewed and tested by direct measurement prior to conducting the program.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13.0 Packag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nutritional habit ranged from 24-50 out of 50, and the average was 37.2, which was above the middle level. The average nutritional knowledge was of 4.02 out of 5, which was considered reasonably high. Especially, more than half of these subjects were uneducated, but they had a high interest in nutrition. The average mobility was determined to be 9.2 seconds and the falls efficacy was 64.2 out of 100. In addition, subjects answered that they had a fear of falling due to low confidence, which indicates that safety education for the prevention of falls should be provided to aged individuals in the future. The results showed that notable counter-relations between nutritional habit and functional health status exi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