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ebong No. 4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Breeding of New Ever-bearing Strawberry "Doha" Variety

  • Jong Nam Lee;Jong Taek Suh;Su Jeong Kim;Hwang Bae Sohn;Do Yeon Kim;Jung Hwan Nam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825-830
    • /
    • 2022
  • "Doha" is a new strawberry (Fragaria x ananassa Duch.) variety, which was released by the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in 2021. The "Doha" variety originates from a 2014 cross between "Saebong No. 3" and "Yeolha," both of which exhibited excellent ever-bearing characteristics, including continuous flowering and large fruits under long-day and high temperature conditions. This new cultivar was initially named "Saebong No. 13" after examining its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during summer cultivation between 2015 and 2018. After regional adaptability tests, "Doha" was selected from "Saebong No. 13" as an elite cultiva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oha" include spreading, elliptic leaves, and strong growth. The fruits are long and conical and of a red color. The plant height of "Doha" was similar to that of "Goha," but the number of leaves was lower. The number of flower clusters of "Doha" was 8.6, which was 2.8 fewer than that of the control variety, "Goha," with 11.4. The average fruit weight of "Doha" was 13.9 g, which was 4.9 g heavier than that of "Goha." The fruit hardness of "Doha" was 35.5 g·mm-2, which was 9.4 g·mm-2 harder than that of "Goha." The marketable yield of "Doha" was 26,971 kg·ha-1, 125% more than that of "Goha" with 21,479 kg·ha-1.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oha" is a hard fruit and high-yielding variety of ever-bearing strawberries that could increase farming income when distributing to farmers.

고당도 사계성 딸기 '장하' 육성 (Characteristics of New Ever-bearing Strawberry 'Jangha' Bred for High Soluble Solids Contents)

  • 이종남;김혜진;김기덕;권기범;서종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3호
    • /
    • pp.381-386
    • /
    • 2017
  • '장하'품종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에서 2014년도 육성한 사계성 딸기 신품종이다. '장하'는 '고하'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엘시뇨' 품종을 부본으로 2008년 교배하여, 고온장일조건에서 당도가 높고 화방이 연속적으로 출현되는 우수한 사계성 개체를 선발한 것이다. 고랭지의 여름재배 작형에서 2011년 생산력 검정, 2012년 특성검정을 거쳐 '새봉 6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13-2014년에는 2지역 적응성시험을 거쳐 '장하'로 명명하였다. '장하'의 초형은 반개장형이며, 엽형은 타원형이며, 초세가 중간이다. 과실모양은 원추형이며, 과색은 붉은 색이다. 엽수는 21.4매로 '플라멩고'의 55.8매 보다 34.4매 적다. '장하'의 당도는 8.9%로 '플라멩고'의 7.7%보다 1.2% 더 높다. '장하'의 평균과중은 11.7g으로 사계성 품종 중에서 중간크기에 속하는 편이고, 상품수량은 $19,013kg{\cdot}ha^{-1}$으로 '플라멩고' 품종보다 141% 더 많았다. '장하'는 식미가 좋아 생식용으로 적당한 사계성딸기 품종이다.

고경도 사계성 딸기 '미하' 육성 (Breeding of New Ever-bearing Strawberry 'Miha' with High Hardness)

  • 이종남;서종택;김수정;손황배;김기덕;김혜진;최미자;김율호;홍수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7-92
    • /
    • 2024
  • 여름재배용 사계성 딸기 '미하'(Fragaria x ananassa Duch.) 품종은 2019년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에서 육성되었다. 2014년 경도가 높고 대과성인 중일성 딸기 품종 '몬테레이'를 모본으로 하고, 경도가 높고 고온에 강한 사계성 딸기 계통 '새봉3호'를 부본으로 하여 교배하였다. 2015년 파종 후 육묘하여 4월 정식하였다. 정식 후 사계성, 과실크기, 경도, 당도 등을 조사하여 사계성이며, 경도가 높고 수량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는 1개체를 실생선발하였다. 본 계통을 여름작형에서 2016년 우수계통 선발, 2017년 생산력검정, 2018년 특성검정, 2019년 지역적응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경도가 높고 대과성으로 품종육성 목표에 가장 근접한 이 계통을 '새봉 12호(15-28-57)'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2019년 직무육성 품종 선정위원회에서 신품종으로 선정되어 '미하(Miha)'로 명명되었다. '미하'의 초형은 반개장형이며, 초세가 강하다. 과실 모양은 원추형이며, 과색은 진홍색이다. '미하'의 엽수는 21.9매로 대조품종인 '고하'의 28.1매보다 6.2개 적었다. 그러나 '미하'의 화방당 화수는 대조품종인 '고하'와 비슷하였다. '미하'의 평균과중은 13.4 g으로 '고하'의 9.1 g보다 4.3g 더 무거운 대과성 품종이다. 또한 경도는 36.2 g·mm-2로 '고하'보다 10.1g·mm-2 더 단단하다. '미하'의 상품수량은 37,393 kg·ha-1로 '고하'의 23,970 kg·ha-1보다 156% 증수되었다. 따라서 신품종 사계성 딸기 '미하'는 단단하여 수출용 또는 제과용 시장에서 큰 인기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열대 및 아열대 지역 재배용 사계성 딸기 '복하' 육성 (Characteristics of New Ever-bearing Strawberry 'Bokha' Bred for Tropical and Subtropical zone Cultivation)

  • 이종남;김혜진;최미자;서종택;남정환;홍수영;김수정;손황배;김기덕;김율호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00-304
    • /
    • 2018
  • '복하'품종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소에서 2016년도 육성한 사계성 딸기 신품종이다. '복하'는 '고하' 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새봉3호' 품종을 부본으로 2011년 교배하여, 고온장일조건에서 당도가 높고 꽃대가 연속적으로 출현되는 우수한 사계성 개체를 선발한 것이다. 대관령의 여름재배 작형에서 2014년 생산력 검정, 2015년 특성검정을 거쳐 '새봉 8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16년에 지역적응성 시험을 거쳐 '복하'로 명명하였다. '복하'의 초형은 반개장형이며, 엽형은 타원형이며, 초세가 강하다. 과실모양은 원추형이며, 과색은 연한 붉은색이다. 엽수는 32.7매로 '고하'의 22.8매 보다 9.9매 더 많다. '복하'의 당도는 9.2%로 '고하'의 9.0% 보다 0.2% 더 높다. '복하'의 평균과중은 9.5 g으로 사계성 품종 중에서 큰 크기에 속하는 편이고, 상품수량은 $27,701kg{\cdot}ha^{-1}$으로 '고하' 품종보다 72% 더 많았다. 신품종 사계성 딸기 '복하'는 수량 및 품질이 좋아 열대 및 아열대지역의 고원지대에서 재배가 가능한 사계성 딸기 품종이다.

관상용 사계성 딸기 '관하' 육성 (Characteristics of New Ever-bearing Strawberry 'Gwanha' Cultivar for Ornamental Horticulture)

  • 이종남;김혜진;김기덕;유동림;서종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6호
    • /
    • pp.784-787
    • /
    • 2012
  • '관하(Gwanha)'는 2007년 '수캄보디아베리(Sucambodiaberry)' 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셀바(Selva)' 품종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고온장일조건에서 분홍꽃이 피고 화방이 계속 출현되는 우수한 사계성 개체를 선발한 것이다. 고랭지의 여름재배 작형에서 2009-2011년 생산력 검정, 특성검정을 거쳐 '새봉 4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고, '관하'로 명명하였다. '관하'의 초형은 개장형이며, 엽형은 타원형이며, 초세는 중 정도이다. 과실모양은 쐐기형으로 길지 않으며, 과색은 홍색으로 관상용 딸기품종 중 유일하게 식용이 가능하다. '관하'의 화색은 분홍색으로 화방이 많이 발생한다. '관하'의 평균 과중은 7.8g이고, 상품수량은 낮은 상품률 때문에 비교적 낮다. 병해저항성은 시듦병에 저항성이다. '관하'는 고온장일 조건에서도 화방이 연속으로 출뢰하여 관상용으로 적당한 사계성딸기 품종이다.

봄감자 재배기간이 가을감자 품종의 생육, 수량 및 가공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pring Potato Cultivation Period on Growth, Yield and Processing Quality of Autumn Potato Cultivars)

  • 이규빈;최장규;권도희;이재연;이희태;진용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49-160
    • /
    • 2024
  • 국내에서 감자는 주로 반찬이나 부식으로 이용해 왔지만 최근에는 칩이나 프렌치프라이 등 스낵이나 간식으로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가공원료용 생감자를 사용하여 감자를 가공하는 것에 대한 수요는 높지만 감자를 2기작으로 특히 가을에 재배하였을때 가공품질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봄감자 재배기간을 달리하여 가을감자를 재배하였을 때 생육과 수량 및 가공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봄감자 파종 후 수확을 70일, 80일, 90일, 100일 총 4번에 거쳐 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각각 강릉과 서천 지역에서 가을재배를 수행하였다. 지상부 출현율은 봄감자 재배기간이 짧은 씨감자를 가을재배 했을 때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경장은 봄재배 기간이 80일 및 90일인 씨감자를 강릉 지역에서 가을재배했을 때 47.2~48.9로 다른 처리에 비해 컸다. 재배기간에 따른 경수와 엽색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수확시기에 따라 괴경수, 괴경무게, 수량 및 상서수량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 품종에 따른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괴경 무게는 강릉에서는 새봉 품종이, 서천에서는 은선 품종이 우수하였다. 전분 함량은 봄에 80일간 재배한 씨감자를 강릉 지역에서 가을재배 했을 때 7.9%로 함량이 높았으며, 서천 지역에서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Glucose 함량은 재배기간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봄감자 재배기간이 긴 씨감자를 가을재배에 이용할 경우 그 함량이 높아졌다. 감자를 2기작으로 재배 시 봄감자 재배기간이 괴경의 생육, 수량 및 가공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한 결과, 재배기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고, 품종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였다. 은선 품종은 가을재배 시 지상부 생육 및 수량이 뛰어났고, 가공품질은 새봉 품종이 우수하였다.

Quantity and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Potatoes for Chipping during Autumn Cultivation by Harvest Time

  • Gyu Bin Lee;Jang Gyu Choi;Do Hee Kwon;Jae youn Yi;Young Eun Park;Yong Ik Jin;Gun Ho Jung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25-25
    • /
    • 2023
  • As the demand for processing potatoes increases, imports of raw potatoes and potato products are increasing, so it is necessary to expand potato production as raw materials for processing in Korea. Potato varieties for processing that can be grown in fall have been developed, but research on cultivation technology and processing quality management technology to improve chip processing quality is very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al harvest time by investigating the quantity and chipping characteristics of potato chips during autumn cultivation. As the test varieties, the chip processing varieties "Saebong", "Eunsun", and "Geumnaru" were used, and the potato cultivation site was the Seocheon-gun Test field (214 Gaeya-ri) of the Chungcheongnam-do. The test treatment was at harvest time after spring cultivation, and the potatoes were harvested at 70, 80, 90, and 100 days after sowing based on the sowing time. The investigation items were potato productivity (total yield, yield of standard processing, and number of tubers) and chip-processing characteristics (chip color, dry matter content, glucose content, etc.).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yiel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harvest tim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found according to the treatment. The total yield (ton/ha) was 27.5 to 30.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ime of 70 to 100 days after harvest. The standard quantity for processing (yield of 81-250g potatoes per unit) also showed a similar trend. In chipp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harvest tim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high in specific gravity and glucose content. The specific gravity was highest at 1.077 at 70 days after harvest, and the glucose (mg/dL) content was the lowest at 37.5 at 80 days after harves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recognized, but chip color (L value) was the highest at 64.4 at 70 days after harvest.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optimal harvesting time for chip processing is 70 to 80 days after sow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