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ccharomyces cerevisiae N4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19초

식혜주에 관한 연구 -3보. 시판식혜 올리고당주- (Studies on Sikhye Wine -3. Commercial Sikhye Wine-)

  • 안용근;김승겸;신철승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70-374
    • /
    • 1997
  • 시판 식혜에 Saccharomyces cerevisiae를 가해 29$^{\circ}C$에서 10일간 발효시켜서 식혜주를 제조하였다. TLC 및 HPLC 분석 결과 발효에 따라 수크로오스는 2일째부터 글루코오스와 프룩토오스로 가수분해되어 발효되었다. 수크로오스는 6일째에 완전히 없어지고, 8일째에는 글루코오스, 프룩토오스 모두 없어졌다. 에탄올은 6.6%를 나타냈다. 시판 식혜주의 아미노산 함량은 0.32$\mu$mol/ml, 단백질 함량은 226$\mu\textrm{g}$/ml을 나타냈다. pH는 3.21, 산도는 2.5ml를 나타냈다. 한계덱스트린은 1H-NMR로 분석 결과 시판 식혜와 구조상 차이가 없었다. $\alpha$-1,4- 결합에 대한 $\alpha$-1,6- 결합의 비율은 25:1을 나타냈다. 관능검사 결과, 맛은 와인과 비슷하였다.

  • PDF

Alcoho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Native Mulberry (Morus spp.)

  • Kim, Ok-Mi;Woo, Seung-Mi;Park, Yong-Kon;Jeong, Yong-J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166-170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optimum conditions for alcohol fermentation of the Korean native mulberry. The yeast strains of S. kluyveri DJ97, La parisienne (Saccharomyces cerevisiae, Netherlands) and Enoferm (Saccharomyces cerevisiae, Denmark) produced higher alcohol concentrations than other strains, and further study was therefore performed with these three species. The optimum additional water content for maximizing alcohol concentration was 250% (v/w). The alcohol concentrations were rapidly increased in the first 4 days under the optimum conditions and reached 13.8% for S. kluyveri DJ97, 14.0% for La parisienne and 14.0% for Enoferm, respectively. Residual sugar concentration was decreased steadily from the beginning of fermentation until 5 days, after which it maintained a constant level. The pH was decreased steadily in the log phase during further maturation. However, the pH underwent a slight decrease after 4 days and then was stabilized during further maturation. Methanol concentrations for the three species used were analyzed after 60 days maturation and were lower than the levels regulated by the food standard. Fusel oils such as n-propanol, iso-butanol, and iso-amyl-alcohol were produced as by-products with the highest production from Enoferm and the lowest from S. kluyveri DJ97.

Expression, Characterization and Regulation of a Saccharomyces cerevisiae Monothiol Glutaredoxin (Grx6) Gene in Schizosaccharomyces pombe

  • Lee, Jae-Hoon;Kim, Kyunghoon;Park, Eun-Hee;Ahn, Kisup;Lim, Chang-Jin
    • Molecules and Cells
    • /
    • 제24권3호
    • /
    • pp.316-322
    • /
    • 2007
  • Glutaredoxins (Grxs), also known as thioltransferases (TTases), are thiol oxidoreductases that regulate cellular redox state in a variety of organisms. In the budding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Grx1 and 2 are cytosolic dithiol Grxs, while Grx3, 4 and 5 are monothiol Grxs. A gene encoding a new monothiol Grx, Grx6, was cloned from the genomic DNA of S. cerevisiae by PCR. Its DNA sequence contains 1,080 bp, and encodes a putative protein of 203 amino acid residues containing Cys-Phe-Tyr-Ser at the active site. Grx6 is similar to other monothiol Grxs in the same organism and to Grx3 in the fission yeast Schizosaccharomyces pombe. and its predicted three-dimensional structure resembles that of S. pombe Grx3. S. pombe cells harboring plasmid pFGRX6 containing the Grx6 gene had about 1.3-fold elevated Grx activity in the exponential phase, and grew better than the control cells under some stressful conditions. Synthesis of ${\beta}$-galactosidase from a Grx6-lacZ fusion gene in S. pombe was enhanced by potassium chloride, aluminum chloride and heat ($37^{\circ}C$) treatment. S. pombe cells harboring plasmid pFGRX6 had elevated ROS levels whereas S. pombe cells harboring extra copies of Grx3 had reduced ROS levels.

Ethanol 발효를 위한 내열성 효모 균주의 Screening (Screening of Thermotolerant Yeast Strain for Ethanol Fermentation)

  • Ryu, Beung-Ho;Nam, Ki-Du;Kim, Hae-Sung;Kim, Dong-Seuk;Ji, Young-Ae;Jung, Soo-Ja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65-269
    • /
    • 1988
  • 고온 알코올 발효에 필요한 새로운 내열성 효모 균주를 개발할 목적으로, 당밀에서 분리하였다. 내열성 효모중 높은 온도에서 알코올 생산능을 검토하여 알코올 생산능이 우수한 3균주를 얻었다. 이들 균주는 pH5.0, 34$^{\circ}C$에서 알코올 발효를 하였을 때 기질로서 포도당을 함유한 합성배지에서 평균 75g/ι의 알코올을 얻을 수 있었다. 이들 균주는 Saccharomyces cerevisiae와 Kluveromyces marxianus로 동정되었다.

  • PDF

부식산 및 효모균 배양액 함유 액상비료 처리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인 흡수 및 생육 증대 효과 (Enhanced Phosphorous Uptake and Growth Improvement of Creeping Bentgrass after Application of Liquid Fertilizer Containing Humic acid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Broth)

  • 이가연;김영선;조성현;이긍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7권3호
    • /
    • pp.259-268
    • /
    • 2018
  • 본 연구는 부식산과 효모균(Saccharomyces cerevisiae) 함유 액비(LHS)의 시비에 따른 잔디의 생육과 품질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잔디의 가시적 품질, 엽록소 함량, 예지물량, 양분 함량 및 흡수량을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CF), LHS 1,000배 처리구(HS-1), LHS 500배 처리구(HS-2) 및 LHS 250배 처리구(HS-3)로 구분되었다. LHS 처리 후 토양 pH는 감소하여 약산성을 나타내었다. LHS 처리구와 대조구를 비교하였을 때, 가시적 품질, 엽록소 함량 및 양분 함량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잔디 예지물량이 증가되었고, 인 흡수량은 HS-2 처리구에서 각각 22%와 33%씩 증가하였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크리핑 벤트그래스에서 부식산과 효모균 함유 액비의 시비는 500배 희석액 처리 시 인의 흡수를 촉진하고, 잔디의 지상부 생장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spergillus Oryzae 및 Saccharomyces Cerevisiae를 첨가하여 제조한 맥주박 위주 발효사료의 발효 특성 및 영양학적 특성 (Fermentable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Brewery Meal-Based Fermented Feedstuffs Supple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 신종서;박병기;김병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97-306
    • /
    • 2005
  • 본 연구는 Aspergillus Oryzae (AO) 및 Saccharomyces cerevisiae (SC)를 첨가하여 제조한 맥주박 위주 발효사료의 발효특성 및 영양학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시험구 처리는 시험사료에 AO $1\%$를 첨가하여 제조한 발효사료 처리구(FFAO), SC $1\%$를 첨가하여 제조한 발효사료 처리구(FFSC) 및 AO $0.5\%$와 SC $0.5\%$를 첨가하여 제조한 발효사료 처리구(FFAS)로 나누었다. 48시간 발효에 따른 조단백질 함량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조지방 함량은 48시간 발효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FFAD, FFSC 및 FFAS구의 NDF 함량은 48시간 발효로 인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ADF 및 ADL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FFAO 및 FFAS구의 pH는 FFSC구에 비해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신속히 감소하였으나(p<0.05), 24시간 이후에는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Alcohol 함량은 FFAO구에서는 발효 15시간까지 증가하였고 FFSC 및 FFAS구에서는 발효 12시간까지 증가하였으며, FFAO, FFSC 및 FFAS구의 alcohol 함량은 발효 24시간 이후에는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FFAO, FFSC 및 FFAS구의 발효 48시간에 암모니아 함량은 각각 0.022, 0.073 및 $0.040\%$로 나타나 FFSC구가 FFAO 및 FFAS구에 비해 암모니아 함량이 2배 이상 높았다(p<0.05). Dextrose 함량은 FFAO구에서는 발효 6시간까지 증가하였으나 FFSC 및 FFAS구에서는 발효 6시간까지 급속히 감소하였다(p<0.05). Lactate 함량은 FFAO 및 FFfS구가 FFSC구에 비해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수분 함량이 높은 맥주박을 이용하여 발효사료 제조시 AO를 첨가하게 되면 조지방, alcohol 및 lactate 함량은 증가하지만, NDF 및 암모니아 함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AO의 첨가는 수분 함량이 높은 발효사료의 사료가치 및 보존성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Seibel 포도즙 알코올 발효 및 저장 중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 (Change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Seibel Grape Must during Alcohol Fermentation and Aging)

  • 고경희;장우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91-499
    • /
    • 1999
  • A great variety of the volatile metabolic by-products was formed in yeast cell during alcohol fermentation. The seibel grape (Vitis labrasca) which was grown in the Southern Korea used for wine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during alcohol fermentation and aging at 12$^{\circ}C$.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Schizosaccharomyces pombe were inoculated and fermented in seibel grape must.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logarithmic, stationary and death phases were extracted, concentrated and identifi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 (GC/MS).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determined by a Hewlett-Packard 5890 II Plus GC which was equipped with Supelcowax 10 fused silica capillary column (60m$\times$0.32mm$\times$0.25${\mu}{\textrm}{m}$ film thickness) wall coated with polyethyleneglycerol. The scan detection method allowed the comparison of the spectrum from the chromatogram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to those in data Wileynbs base library. Among the volatile compounds collected by ether-hexane extraction method, the evolution of 20 main compounds, such as 9 esters (ethyl butyrate, isoamyl acetate, ethyl caproate, n-hexyl acetate, ethl caprylate, ethyl caprate, diethy succinate, ethyl hexadecanoate, 2-pheneethyl acetate), 4 alcohols (3-methyl-1-butanol, 1-hexanol, 1-heptanol, benzoethanol), 4 ketones and acids (2-octanone, caproic acid, caprylic acid, capric acid), 2 furan and phenol (2,6-bis(1,1-dimethyl ethyl)phenol, 2,3-dihydrobenzofuran) were observed during alcohol fermentation and aging. The production of the esters during alcohol fermentation with S. cerevisiae was higher than those of Sch. pombe. The sensory scores of the aged wine samples in aroma,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p<0.05).

  • PDF

Antimicrobial and Cytotoxic Activities of Some Malaysian Flowering Plants

  • Jasril, Jasril;Mohamed, S.M.;Mackeen, M.M.;Lajis, N.H.;Rahman, A.A.;Ali, A.M.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5권4호
    • /
    • pp.172-176
    • /
    • 1999
  • A total of 43 extracts from 21 species of Malaysian flowering plants were screened for antimicrobial and cytotoxic activities. Antimicrobial activity was tested against fungi, including yeast and candida, as well as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 and cytotoxicity was assayed using the CEM-SS and HT-29 cell lines. The methanol extracts of the roots and stems of Plumeria acutifolia showed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i.e. against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Candida lipolytica, and mostly moderate activity against the other microbes such as Aspergillus ochraceous and Saccharomyces lipolytica. Phyllanthus emblica also showed moderate activity especially that of the methanol extracts. The methanol extract of the roots of Plumeria acutifolia showed the strongest cytotoxic activity $(CD_{50}=\;3\;{\mu}g/ml)$. Most of Zingiberaceae species gave negative results for antimicrobial activity and showed low cytotoxic activity.

  • PDF

다시마의 산 가수분해와 에탄올 발효 특성 (Characteristics of Acid-hydrolysis and Ethanol Fermentation of Laminaria japonica)

  • 나춘기;송명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1호
    • /
    • pp.141-148
    • /
    • 2012
  •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한 대체 바이오매스 자원으로 갈조류인 다시마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산 가수분해와 에탄올 발효 특성을 검토하였다. 산 가수분해는 발효 가능한 당류의 생산량을 증가시켜 에탄올 생산량을 크게 증가시켰다. 최대 환원당 생산량은 묽은 황산(1.0 N)을 이용하여 $130^{\circ}C$에서 6시간 가수분해하는 조건에서 다시마 건조무게 기준 135 mg/g이었다. Saccharomyces cerevisiae(ATCC 24858)는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및 만노오스와 같은 $C_6$-당을 에탄올로 발효시킬 수 있지만 아라비노오스나 자일로오스와 같은 $C_5$-당은 에탄올 발효기질로 이용하지 못하였다. 최적 발효시간은 글루코오스 48시간, 갈락토오스 72시간, 만노오스 96시간으로 단당류에 따라 달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 cerevisiae를 이용하여 $35^{\circ}C$에서 96시간 발효를 통해 가수분해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에탄올 생산량은 가수분해물 중의 총환원당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이론적 생산량에 비해 4배 정도 높은 다시마 건조무게 기준 242 mg/g에 달하였다. 이는 가수분해물에 용존되어 있는 비환원당과 올리고당류들이 에탄올 발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가수분해 용액 대비 다시마의 주입비율을 1에서 5%(w/v)로 증가시킴에 따라 에탄올 농도는 2.4에서 9.2 g/L로 증가하는 반면 단위무게당 에탄올 생산량은 242에서 185 mg/g으로 감소하였다. 다시마의 에탄올 생산성은 대략 7,400~9,600 kg/ha/year 정도로 평가되어 다시마가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한 바이오매스 자원으로 매우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산 및 효소 가수분해를 이용한 홍조류로부터 바이오 에탄올 생산 (Production of Bio-ethanol from Red Algae by Acid Hydrolysis and Enzyme Treatment)

  • 최수정;이성목;이재화
    • 공업화학
    • /
    • 제23권3호
    • /
    • pp.279-283
    • /
    • 2012
  • 화석연료로 인한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원료를 이용하여 바이오 에탄올 생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해조류 중에 홍조류는 agar, carrageenan, porphyran으로 구성되어 있어 산 처리를 통해 바이오에탄올 생산에 유용한 바이오매스로 전환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홍조류의 가수분해물을 이용하여 바이오에탄올 생산의 최적 조건을 찾으려고 한다. 바이오에탄올 생산하기 위해 전처리 된 우뭇가사리에 Saccharomyces cerevisiae KCCM112를 접종해 발효하였다. 우뭇가사리 가수분해의 최적조건은 1.5% $H_2SO_4$$121^{\circ}C$에서 30 min 반응시켰을 때 7.04 g/L의 galactose와 1.94 g/L의 glucose가 생산되었다. 그리고 $CH_3COOH$의 경우 2.0%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galactose 0.75 g/L가 생산되었다. 이와 반대로 도박에서는 $H_2SO_4$1.5%를 처리하였을 때 galactose를 6.38 g/L 생산하였으며, $CH_3COOH$을 처리했을 때 0.368 g/L이 생산되었다. 우뭇가사리에서 에탄올 생산은 1.0% $H_2SO_4$$121^{\circ}C$에서 30 min 간 처리하였을때 가장 높았으며, 96 h 배양하였을 때 3.77 g/L의 에탄올을 생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