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WMM

Search Result 50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Runoff Analysis of Urban Watershed using MIKE SWMM Model (MIKE SWMM 모형을 이용한 도시유역 유출분석에 관한 연구)

  • Kim, Jong-Suk;Ahn, Jae-Hyun;Oh, Tae-Suk;Moon, Young-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11
    • /
    • pp.907-916
    • /
    • 2005
  • For an urban watershed modeling, the ILLVDAS and SWMM model were the popular rainfall-runoff models using in Korea. However, combined sewerage systems in urban area produce some problems when a flood event happens because of the surcharged precipitation amounts which drain to streams directly. Also, rack of pipe line data and difficulties of modeling yield inappropriate modeling results in urban runoff analysis. In addition, rainfall-runoff models in an urban which using channel routing could be inaccurate and complicated processes. In this paper, the MIKE SWMM model has been applied for a stable urban area runoff analysis. Watershed and pipe line data were established by using past inundated records, DEM data and numerical pipe line data. For a runoff modeling, the Runoff block was adapted to a basin and the Extran block using dynamic equation was applied for sewerage system. After a comparisons against existing models yield that the MIKE SWMM model produce reliable and consistence results without distorting parameter of the model.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Low Impact Development Practices in an Urban Area: Non-point Pollutant Removal Measures using EPA-SWMM (EPA-SWMM을 이용한 LID 기법의 비점오염 저감효과 분석)

  • Cho, SeonJu;Kang, MinJi;Kwon, Hyeok;Lee, JaeWoon;Kim, Sangd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 /
    • v.29 no.4
    • /
    • pp.466-475
    • /
    • 2013
  •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Korean water quality/watershed management. In recent years, Low Impact Development (LID) has emerged as an effective approach to control stormwater in an urban area. This study illustrates how to design and evaluate the effect of non-point pollutant management using EPA-SWMM LID module and suggests design parameters for modeling LID facilities. In addition, optimal installation locations of LID can be determined by a simple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by using SWMM for a long-term.

Runoff Characteristics Analysis for Interior Drainage Systems in Urban Basin -Application of SWMM- (도시유역의 내수배제시스템 설계를 위한 유출특성분석 -SWMM의 적용-)

  • Choi, Yun-Young;Lee, Yeong-Hwa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9 no.3
    • /
    • pp.193-199
    • /
    • 2000
  • This study is carried out the analysis of the runoff characteristics for the design of the interior drainage systems by SWMM in urbanization basin. The basin analyzed in this study is Bumuh-chun basin which is located in Susung-gu of Taegu city. Huff method is used for rainfall distribution analysis. The optimal rainfall duration in Bumuh-chun basin is analyzed as about 90 minutes decided from comparison of arrival time and critical duration. Flood flow variation pattern is proposed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results of peak flow and peak time analyzed by SWMM about pre-urbanization and post-urbanization of Bumuh-chun basin. It is known that the variation of arrival time caused by the rapid increase of pavement rate in the upper area shows about 20∼25 minutes faster than pre- urbanization. Therefore, the management of surface water for design of water supply and drainage, and channel alteration has to considered the variation of geological factors according to urbanization.

  • PDF

Flood Inundation Analysis using XP-SWMM Model in Urban Area (XP-SWMM모형을 이용한 도시지역의 침수해석)

  • Yeon, Ki-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689-693
    • /
    • 2010
  • 본 연구는 최근 기상이변에 따른 집중호우에 의해 도시지역에서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침수피해를 XP-SWMM모형을 이용하여 침수해석을 수행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대상유역의 강우분석을 선수행하고 하천 외수위 상승에 따른 배수구역의 10년, 20년, 30년, 50년 설계빈도별 침수해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거 하천 외수위 변화에 따른 내수배제 불량으로 인한 침수피해가 일어난 지역을 산정하고, 도시유역의 강우-유출해석과 하수관거 해석을 실시한다. 이를위해 XP-SWMM 모형을 이용하여 하수관망 시스템과 하천 외수를 연계 해석하여 장래 하천의 빈도별 홍수량에 대한 침수가능 여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유역 면적은 62.35ha, 총 관로연장 12,741m, 소유역 60개, 하수관로 175개로 모형을 구성 하였고, 유출해석결과 설계빈도 50년의 임계지속시간은 90분, 총 침수량은 $15,362m^3$, 침수면적은 $65,384m^2$였으며, 최대 침수심은 0.81m인것으로 산정되었다. 침수피해 경감효과로는 245세대, 585명의 피해경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 되었다.

  • PDF

Analysis of Parameter Estimates for Urban Planning Area Runoff Using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을 이용한 도시계획지역 유출량 분석을 위한 매개변수 산정)

  • Koo, Youngmin;Seo,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3-47
    • /
    • 2016
  • 대전 관평천 유역의 도시계획에 의해 개발된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우수 관거 최종 유출부에 설치한 모니터링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수의 강우사상에 대해 연속으로 유출량 자료를 획득하였다. 본 연구는 연속적으로 획득한 유출량 자료를 바탕으로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을 보정하고 최적의 수문학적 매개변수를 산정하는데 있다. SWMM의 수문학적 매개변수는 기본 침투식인 Curve Number, Horton 및 Green-Ampt를 바탕으로 각각의 경우에 맞는 유역의 조도계수 및 저류 깊이를 산정하였다. 현재 도시 개발에 따른 유출변화를 모의하는데 있어 국외에서 연구된 매개변수를 적용하고 있다. 번 연구에서 구한 매개변수는 향후 도시개발에 따른 유출 변화를 SWMM을 이용하여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Runoff in Dorim River Basin Using TUFLOW and XP-SWMM (TUFLOW와 XP-SWMM을 이용한 도림천 유역의 2차원 유출량 비교·분석)

  • Son, Hong Min;Lee, Jung Hwan;Hwang, Seong Hwan;Kang, Ho Yeong;Moon, You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71-571
    • /
    • 2016
  • 홍수예 경보를 통해 내수침수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강우­유출모형을 이용하여 정확한 내수침수 위험 구역을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미국 환경보건국에서 개발된 SWMM 1차원 모형은 도시 유출량과 도시배수관로시스템에서의 유량 흐름을 잘 모의할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2차원 모의의 경우 서로 다른 대상적용이나 대상범위가 다른 경우가 많아 이에 따른 모델의 추정결과가 서로 다른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침수로 인해 막대한 피해가 발생한 도림천 유역에서 XP-SWMM, TUFLOW 두 모형을 구축하여 유출량을 평가하고, 2차원 유출량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2차원 유출량 분석의 정확도를 높이는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Cause of Typhoon Chaba Using XP-SWMM (XP-SWMM모형을 이용한 태풍 차바 침수원인 분석)

  • Park, Jun Hyoung;Ji, Moon Hwan;Cho, Hong J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25-425
    • /
    • 2018
  •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우리나라의 강수량과 집중호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태풍의 빈도는 낮아졌지만 태풍의 강도가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02년 태풍 '루사', 2003년 태풍 '매미', 2006년 태풍 '에위니아' 그리고 2016년 태풍 '차바' 등에 의해 울산지역에서는 집중호우로 인한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2016년 태풍 '차바' 당시 300년 빈도를 초과하는 시간당 104.2mm의 강우가 발생했으며, 울산 시가지를 비롯한 전역에 막대한 침수피해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도시유출모형인 XP-SWMM모형을 이용하여 2016년 태풍 '차바' 당시에 울산 시가지 중심인 우정혁신도시를 비롯한 침수가 발생한 태화 우정시장 일대에 대한 침수원인 분석을 하였다. XP-SWMM모형을 이용하여 우수관거에 흐르는 홍수수문곡선을 산정하고 관거의 용량을 초과하여 범람한 유량은 2D 모델링을 통하여 침수분석을 하였다. 침수분석결과는 연구지역의 실제 침수심 및 CCTV자료 분석을 통한 침수심과 비교하였다.

  • PDF

A Predict Outflow and Water Quality of Yongbong-Chun Drainage District by using SWMM (SWMM을 이용한 용봉천 배수구역의 유출 및 수질모의)

  • Park Sung Chun;Oh Chang Ryol;Lee Youn Gil;Jung Chu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333-1337
    • /
    • 2005
  • 본 연구는 강우로 인한 도시 배수구역에서의 유출량 및 수질을 예측하기 위하여 영산강 유역의 도시하천이며 합류식 배수계통을 갖는 용봉천을 대상으로 SWMM 모형을 적용하였다. SWMM 모형의 매개변수 최적화 및 검증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강우시 2회에 걸쳐 조사하였으며, 매회 시료 채취 주기는 강우유출이 발생하기 전부터 시작하여 첨두유출량이 발생때까지 $1\~2$시간 간격으로 채취한 후 강우 종료 후 유출량 변화가 없을 때까지 $9\~12$단계로 세분하여 유출량과 pH, DO, BOD, COD, SS, T-N, T-P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모형의 입력자료는 국립지리원의 지형도, 환경부의 환경지리정보, 농업과학기술원의 정밀토양도 등을 기초로 각 배수구역의 소유역을 분할하여 물리학적$\cdot$수리학적 매개변수에 해당하는 입력자료를 산출하였으며 그림1과 같다. 모형의 보정자료는 2004년 6월 17일에 실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침투능 계수 및 축적계수와 지수, 쓸림계수를 보정하였고, 검증자료로는 2004년 7월 7일에 실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자료로 사용하였다. SWMM 모델을 적용해서 강우유출에 의한 hydrograph와 pollutograph를 도출하여 부하량을 산정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Integration of Watershed and Stream Models for Impact Assessment of Urban Development on Water Environment (도시개발에 따른 수환경 변화 예측을 위한 소수계 유역·하천 통합 모델 연구)

  • Kang, You-Sun;Park, Seok-So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3 no.4
    • /
    • pp.153-164
    • /
    • 2004
  • An integration study of time-variable small watershed and stream models (USEPA's SWMM and WASP5) was performed for impact assessment of urbanization on water environment. The study area, the Kyoungan Stream, the tributary of Paldang Lake, was divided into 111 subbasins, based on the topographic condition, land use, and drainage system. RUNOFF block of SWMM was applied to estimate runoff flow and quality. EXTRAN block computed daily and hourly flow according to simulated runoff flow, water supply, and drainage data. SWMM was connected to WASP5 by transforming output file of SWMM into input file of WASP5. The nonpoint source loads and flow data of SWMM were imported to WASP5. The stream was divided into 45 segments based on the watershed delineation. The study included three water quality parameters, BOD, TN, and TP. The validate models were used to examine the impact of urbanization on stream flow and water quality.

Assessment of Flood Inundation Analysis Applicability of XP-SWMM Model in Urban Area (도시치역의 침수해석을 위한 XP-SWMM 모형 적용성 평가)

  • Yu, Yeong Uk;Park, Ki Doo;Song, Tae Jung;Jung, Young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02-302
    • /
    • 2020
  • 최근 우리나라의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인한 홍수피해 규모가 대형화 추세를 보이며, 그에 따른 도시침수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도시침수로 인한 피해는 파손보다는 침수가 대부분이고, 도시의 규모가 클수록 침수의 비중이 크게 나타난다. 그로 인한 피해는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 이외에 여러 가지 피해를 유발하며 도시기능 마비가 일어난다. 이러한 도시지역의 침수피해는 넓은 불투수층으로 인해 홍수 도달시간이 감소하고,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건물, 이외에 하수 관망에 미치는 영향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하여 침수해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XP-SWMM 모형으로 도시지역의 불투수층의 면적비율, 건물의 영향 등을 고려하여 침수해석을 하고자 하였다. 또한 XP-SWMM 모형의 2차원 TUFLOW엔진을 기반으로 하는 2D 지표 유출 계산을 이용하여 대상 지역의 침수 취약지역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송도국제도시 개발이 이루어진 인천광역시 연수구를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도시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XP-SWMM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대상지역의 도시침수 피해를 입은 강우사상을 선정하여 분석을 수행하였고, 유출량 및 침수면적을 산정하여 침수흔적도와 비교 및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지역 하수도 관거의 성능 및 도시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여러 강우 빈도를 이용해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지역 및 침수면적 등 침수피해를 예측하여 수해 예방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