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WAL-QOL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8초

정상노인의 삼킴관련 삶의 질(SWAL-QOL)이 노인의 전반적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전북 지역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SWAL-QOL on Overall Quality of Life in Normal Elderly People: Focusing on Jeonbuk Province)

  • 김세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88-297
    • /
    • 2014
  • 본 연구는 정상 노인들의 삼킴관련 삶의 질을 알아보고 삼킴관련 삶의 질이 노인의 전반적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전라북도 지역의 만 60세 이상 노인 140명을 대상으로 SWAL-QOL, SF-36, GQOL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윈도우용 SPSS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정상노인들의 일반적 특성 중 연령(F=7.76, p<.01)과 사레 유무(t=-4.44, p<.01)는 집단간 삼킴관련 삶의 질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사레유무만이 삼킴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SWAL-QOL은 SF-36(r=.39, p<.01)과 GQOL(r=.33, p<.01)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WAL-QOL은 SF-36(F=70.62, p<0.000)와 GQOL(F=46.44, p<0.000)에 각각 36%와 25% 정도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노인의 삼킴관련 삶의 질과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판 SWAL-QOL의 신뢰도와 타당도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the SWAL-QOL)

  • 김세연;차유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981-2988
    • /
    • 2014
  • 본 연구는 삼킴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판 SWAL-QOL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비디오 투시 영상을 통해 삼킴장애로 진단받은 환자 71명과 일반인 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판 SWAL-QOL의 문항내적일치도는 Cronbach's $\alpha$ 값이 .86~.96이었고, 급간내상관계수는 .80~.93으로 신뢰도가 높았다. 한국판 SWAL-QOL의 각 척도간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피어슨 상관계수는 .17~.74로 모든 척도간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p<.05). 삼킴장애군과 정상군간에 한국판 SWAL-QOL을 비교한 결과 모든 척도에서 정상군의 점수가 높았으며 두 그룹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관 식이 그룹은 관 식이를 하지 않은 그룹에 비해 모든 척도에서 점수가 낮았으며 수면척도를 제외하고 모든 척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식이단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식이 4단계 환자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식사욕구, 의사소통, 두려움 척도를 제외한 모든 척도에서 식이 단계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따라서 한국판 SWAL-QOL는 신뢰도와 임상타당도가 높기 때문에 임상에서 삼킴장애 환자의 삶의 질을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되는데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연하장애 환자의 삶의 질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Swallowing-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Dysphagia)

  • 김주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421-431
    • /
    • 2016
  • 본 연구는 연하장애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연하장애 환자의 우울, 사회적 고립감, 생의 의미와 삶의 질수준을 파악하고, 삶의 질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 소재한 종합병원과 재활병원 등 8개 기관에서 뇌졸중, 퇴행성 신경계 질환으로 인하여 연하장애가 발생한 환자 총8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2월부터 4월까지였으며, 연구도구는 CES-D, RULS, PIL, SWAL-QOL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이 있는 군은 대상자의 20.7%였고, 보통 이상의 사회적 고립감을 느끼는 군 92.0%, 실존적 공허상태에 있는 군이 64.4% 였다. 즉, 대다수의 대상자들이 사회적 고립감을 경험하고 실존적 공허상태에 있었으며, 삶의 질의 평균 점수는 158.89(35.97)점이었다. 연하장애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을 확인한 결과, 경관급식의 경우가 정상식이보다 삶의 질이 유의하게 낮았고(${\beta}=-0.57$, p<.001), 생의 의미가 낮아 실존적 공허상태에 있는 경우(${\beta}=0.19$ p=.014)가 삶의 질이 낮았다. 30-49세의 연령은 80세 이상보다 삶의 질이 높았으며(${\beta}=0.26$, p=.001), 대학교 수준 이상의 교육수준이 무학에 비해 삶의 질이 높았다(${\beta}=0.17$, p=.032). 이 중 연하장애 환자의 삶의 질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변수는 경관급식이었고 (${\beta}=-0.57$, p<.001), 이러한 4개의 변수는 연하장애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해 50.7%(F=28.84 p=.031)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그러므로 연하장애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생의 의미를 높일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경관급식 환자의 삶의 질이나 정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노인요양병원 입원환자들의 삼킴기능이 삶의 질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Swallowing Function on Swallowing-Quality of Life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of In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

  • 백지영;오근배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67-177
    • /
    • 2013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s of swallowing function on quality of life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of in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elderly patients over the age of 65, 50 people in geriatric hospital of gwangju and jeonnam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wallowing function score of the subjects is $29.90{\pm}5.27$, SWAL-QOL score is $158.12{\pm}33.36$, ADL score is $80.40{\pm}22.91$. Second, swallowing function, SWAL-QOL details and ADL details of each other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hird, the items of swallowing function affecting on quality of life are 'oral cavity in residue', 'to eat solid food', and 'phlegm obstructs the throat'.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swallowing function of in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quality of life and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Therefore, futur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the improvement of swallowing function is requir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in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

중풍으로 유발된 연하 장애 환자에 대한 전침 치료의 임상 효과 (Efficacy of Electroacupuncture with Dysphagia Caused by Stroke -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 김민경;여서원;조승연;정우상;문상관;박정미;고창남;조기호;박성욱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6-40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on swallow function in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The purpose was to determine whether electroacupuncture could improve swallow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dysphagia caused by stroke. A pilot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esign was used Methods: A total of 17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were recruited to this study, 8 assigned to the swallowing electroacupuncture (SE) group and 9 to the control group. Swallowing electroacupuncture was assessed for 5 Hz electrical or sham stimulation for 20 min duration 3 times a week. Outcome measurements were DOSS, 14-item questionnaire from the SWAL-QOL, NIHSS and MBI. Assessment was carried out for baseline, 2 weeks and 4 weeks Results: In the 2 weeks follow up data, the study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DOSS and SWAL-QOL compared with the baseline. The study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DOSS and SWAL-QOL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imilarly in the 4 weeks follow up data, the study group showed improvement tendency in DOSS and SWAL-QOL compared with baseline and also with the control. The NIHSS and MBI scores return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swallowing electroacupuncture was well tolerated in all cases with no serious adverse effects. Conclusions: The findings from the pilot study indicated that electroacupuncture has significant effects on improvement in swallowing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With both inpatients and outpatients, further larger and longer-term follow-up study is needed to confirm this suggestion.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연하재활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Swallowing Rehabilitation Program among Elderly In Geriatric Hospitals)

  • 하주영;이수민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05-618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swallowing rehabilitation program for elderly on the stage of dysphagia, nutritional status, and swallowing-quality of life.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Pretest-Posttest Nonequivalent Groups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85 elderly patients hospitalized at geriatric hospitals between August 23rd and October 25th in 2012. Eighty five research subjects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42 patients) and control (43 patients) groups. The rehabilitation program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5 days per week for 8 weeks. The effects were evaluated by measurement of Mid-upper Arm Muscle Circumference (MAMC), Total Lymphocyte Counts, albumin, Total Cholesterol, and Swallowing Quality of Life (SWAL-QO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x2-test and independent t-test using PASW WIN 18.0. Results: Changes in the stage of dysphagia were not significant (p>.05). In nutrition status, the degree of MAMC poi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in the control group (t=2.36, p=.021). In swallowing quality of life, the score of SWAL-QOL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articularly burden (t=3.34, p=.002), frequency (t=2.68, p=.011), fear (t=2.44, p=.019), mental health (t=2.47, p=.018), and sleep (t=2.08, p=.044).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wallowing rehabilitation program for elderly would be helpful in promoting their nutritional status and swallowing-QOL in geriatric hospitals.

연하장애환자의 후두기능 및 연하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치료적 노래부르기 중심 음악중재사례 (Therapeutic Singing-Based Music Therapy for Patients With Dysphagia: Case Studies)

  • 여명선;김수지
    • 재활복지
    • /
    • 제22권1호
    • /
    • pp.169-194
    • /
    • 2018
  • 본 연구는 세 명의 연하장애환자들을 대상으로 후두관련기능의 개선을 목표로 한 치료적 노래부르기 중심의 음악중재를 시행하고, 각 사례 별로 관찰된 변화를 기술한 개별 사례연구이다. 중재는 개별 세션의 형태로 매 회기 30분, 주 3회씩 총 12회기 동안 진행되었으며, 시행된 프로그램은 호흡근 이완, 구강근육운동, 후두상승 유지를 위한 발성과 치료적 노래부르기 등의 순서로 구성되었다. 대상자들의 연하 및 말하기 기능, 삶의 질 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매 회기 후두교호운동속도, 최대발성시간, 음성 질 관련 항목 등을 측정하였고, 중재 전후로 설문을 통해 삶의 질을 평가하였다. 중재 과정에서 대상자의 기능적 특성에 따라 구분되는 변화의 양상이 관찰되었고, 중재 후에는 모든 대상자의 후두교호기능 및 음성 질 지표 측정값에 변화가 있었으며, 연하관련 삶의 질 평가점수도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치료적 노래부르기 중심의 음악중재프로그램이 다양한 원인에 의한 연하장애환자들의 후두관련기능 및 삶의 질 영역에 공통적으로 혜택을 줄 수 있다는 점과, 중재 시 대상자의 기능적 특성에 따라 고려해야 할 부분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신경인지재활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연하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무작위 임상연구 (Effects of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Treatment on the Swallowing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김연화;김환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75-83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the swallowing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s. METHODS: Thirty patients were selected and randomly allocated into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15 minutes of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treatment combined with 15 minutes of traditional treatment. For the control group, patients received 30 minutes of traditional dysphasia treatment.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30 minutes a day, fiv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New VFSS and SWAL-QOL were administrated to evaluate the outcomes. RESULTS: Swallowing function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 < .0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 and post-interventional swallowing between the groups (p > .05). The quality of life was also significantly improved (p < .05) for both groups,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 > .05). Third, a correlational analysis between swallowing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revealed a moderate correlation between New VFSS and SWAL-QOL (p < .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wallowing therapy through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gram could be helpful for improving swallowing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from traditional rehabilitation therapy, training in recognizing the senses in the oral cavity and external environment through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can be applied as one of the treatment options.

혀 근력 및 정확도 훈련이 삼킴장애가 있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혀 근력, 삼킴기능,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ongue Strength and Accuracy Training on Tongue Strength, Swallowing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Chronic Stroke Patients with Dysphagia)

  • 문종훈;김희진;강민규;원영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605-613
    • /
    • 2016
  • 본 연구는 삼킴장애가 있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혀 근력 및 정확도 훈련이 혀 근력, 삼킴기능,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하였다. 삼킴장애가 있는 만성 뇌졸중 환자 18명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9명씩 무작위 배정되었다. 두 군은 전통적 삼킴장애 치료를 수행하였고, 실험군은 혀 근력 및 정확도 훈련을 추가적으로 수행하였다. 혀 근력 및 정확도 훈련은 아이오와 구강수행기구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최대 등척성 혀 근력의 50%, 75%, 100%로 설정하여 수행하였다. 두 군은 8주간 주 5회 치료를 받았다. 결과측정은 혀 근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아이오와 구강수행기구를 사용하여 최대 등척성 혀 근력을 평가하였으며, 삼킴기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삼킴기능 검사로 평가하였다. 삼킴과 관련된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삼킴-삶의 질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두 군 간 변화량 비교에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혀 앞 뒤쪽의 근력과 삼킴기능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05). 삶의 질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혀 근력 및 정확도 훈련은 삼킴장애가 있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혀 근력과 삼킴기능에 효과적인 중재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직접 삼킴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삼킴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rect Feeding Intervention on Swallowing Function and Life Quality of Stroke Patients)

  • 박진주;오명화;정현애;정상미;정복희;김승일
    • 재활복지
    • /
    • 제20권4호
    • /
    • pp.283-299
    • /
    • 2016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삼킴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직접 삼킴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삼킴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삼킴 장애 진단을 받은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간접 삼킴 치료를 중재한 대조군과 직접 삼킴 치료를 중재한 실험군에 5명씩 배치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는 주 5회, 회당 30분씩, 총 8주 동안 연구를 실시하였다. 삼킴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는 VFSS를 이용한 CDS, PAS를 중재 전과 4주 후, 8주 후에 평가하였고, 삼킴과 관련된 삶의 질은 SWAL-QOL을 중재 전과 중재 후 2회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는 삼킴 기능의 집단 내 비교에서는 적용 기간에 따라 대조군은 CDS(p<.05)에서만, 실험군은 CDS, PAS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1), 집단 간 비교에서도 CDS, PAS 모두 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집단 내 비교에서는 두 군 모두 적용기간에 따라 삶의 질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p<.05), 집단 간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이상의 결과를 통해 뇌졸중으로 인한 삼킴 장애 환자에게 중재한 직접 삼킴 치료가 삼킴 기능증진에는 간접 삼킴 치료 보다 더욱 효과적이었지만, 삼킴 장애 환자의 삶의 질은 직접 삼킴 치료와 간접 삼킴 치료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