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V

검색결과 1,087건 처리시간 0.033초

PET-CT 검사에서 방사선 종사자 피폭선량 저감에 대한 방안 연구 (A Study of Decrease Exposure Dose for the Radiotechnologist in PET/CT)

  • 김빛나;조석원;이주영;유광열;박훈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8권1호
    • /
    • pp.23-30
    • /
    • 2015
  • 양전자 방출핵종은 511 keV의 감마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기존 140 keV의 99mTc에 비해 종사자의 방사선 피폭의 증가로 피폭선량 저감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환자에게로부터 일정거리에 따른 선량률 변화를 확인하고 차폐를 이용하여 외부선량률의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환자 주변의 외부선량 분포에 대한 영 향을 분석하여 방사선 종사자의 피폭 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10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연령은 $47.7{\pm}6.6$ 세였다. 환자의 키는 평균 $165.5{\pm}3.8cm$, 몸 무게 평균은 $65.9{\pm}1.4kg$으로 비슷한 몸무게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머리, 가슴, 복부, 무릎, 발끝 쪽의 위치에서 10 cm, 50 cm, 100 cm, 150 cm, 200 cm 위치에서 측정하였고 측정 후에 즉시 이동형 방사선 차폐체을 설치한 후 머리와 가슴, 복부 부분에서 100 cm, 150 cm, 200 cm 거리에서 선량률을 측정하였다. 거리에 따른 선량률 변화와 차폐 전, 후의 투과율을 구하였다. 평균 10 cm 거리에서는 머리 부분이 $105.40{\mu}Sv/h$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 부분에서 $15.85{\mu}Sv/h$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00 cm 거리에서는 머리, 가슴, 복부 부분에서 비슷한 선량률이 나타났다. 머리 부분에 서 차폐 전 100 cm에서 $9.56{\mu}Sv/h$, 150 cm에서 $5.23{\mu}Sv/h$, 200 cm에서 $3.40{\mu}Sv/h$로 나타났으며 차폐 후에는 100 cm, 150 cm, 200 cm 에서 각각 $2.24{\mu}Sv/h$, $1.67{\mu}Sv/h$, $1.27{\mu}Sv/h$로 측정되었다. 가슴 부분에 서 차폐 전 100 cm에서 $8.54{\mu}Sv/h$, 150 cm에서 $4.90{\mu}Sv/h$, 200 cm에서 $3.44{\mu}Sv/h$로 나타났으며 차폐 후에는 100 cm, 150 cm, 200 cm 에서 각각 $2.27{\mu}Sv/h$, $1.34{\mu}Sv/h$, $1.13{\mu}Sv/h$로 측정되었다. 복부 부분에 서 차폐 전 100 cm에서 $9.83{\mu}Sv/h$, 150 cm에서 $5.15{\mu}Sv/h$, 200 cm에서 $3.18{\mu}Sv/h$로 나타났으며 차폐 후에는 100 cm, 150 cm, 200 cm 에서 각각 $2.60{\mu}Sv/h$, $1.75{\mu}Sv/h$, $1.23{\mu}Sv/h$로 측정되었다. 투과율은 거리에 따라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거리가 멀어질수록 선량율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차폐를 하였을 경우 차폐를 하지 않았을 때보다 1 / 4 정도 더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검사를 진행하는 근무자는 환자와의 거리를 멀리 할 수 없기 때문에 방사선 피폭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적절한 차폐를 한다면 방사선 종사자의 방사선 피폭을 줄 일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 그리드를 위한 샘플 값들의 트래픽 발생 방안 (Traffic Generation Method of Sampled Values for Smart Grid)

  • 황성호;박경원;박정도;송한춘;박제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225-23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시뮬레이터 ns-3의 에뮬레이션 기능과 실제 통신장비를 결합하여, IEC 61850 SV(Sampled Values)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방안을 제시한다. SV 트래픽 발생과 수신은 네트워크 시뮬레이터 ns-3의 에뮬레이션 기능을 이용하고, 통신망은 실제 통신장비인 스위치들을 사용한다. 그리고 Wireshark를 이용하여 발생한 SV 트래픽 프레임들을 분석하였고, SV 트래픽 프레임들이 정확히 발생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SV 트래픽 발생 방안은 실제 변전소 환경하에서 다양한 SV 트래픽들을 발생시킬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갑상선암의 고용량 $^{131}I$ 치료 시 입원기간의 최적화방안 연구 (A Study on Ways to Optimize the Period of Hospitalization During High-Dose $^{131}I$ Treatment of the Thyroid Cancer)

  • 백성민;고성진;김창수;김정훈;강세식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3권3호
    • /
    • pp.269-276
    • /
    • 2010
  • 본 연구는 고용량 방사성옥소 치료환자의 선량률을 거리와 시간대별로 산출하여 방사성옥소 치료를 위한 입원기간의 최적화와 개선방안을 제한 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100 mCi 고용량 옥소치료환자의 24시간 후에 배꼽에서 $1,035{\mu}Sv/hr$, 50 cm에서 $109{\mu}Sv/hr$, 100 cm에서 $33{\mu}Sv/hr$로 감쇠 되었다. 150 mCi 고용량 옥소치료환자의 24시간 후에 배꼽에서 $637{\mu}Sv/hr$, 50 cm에서 $100{\mu}Sv/hr$, 100 cm에서 $40{\mu}Sv/hr$로 감쇠 되었다. 180 mCi 고용량 옥소치료환자의 24시간 후에 배꼽에서 $1,251{\mu}Sv/hr$, 50 cm에서 $140{\mu}Sv/hr$, 100 cm에서 $56{\mu}Sv/hr$로 감쇠 되었다. 퇴원기준을 미국 원자력 규제위원회 고시에 $70.4{\mu}Sv/hr$이므로 본 연구 결과보다 빠른 퇴원이 가능하다. 치료 환자들의 계속적인 증가 추세로 볼 때 치료병실의 부족을 해소 할 수 있다.

폐암 영상유도방사선 치료 시 CBCT와 4D-CBCT를 이용한 흡수선량 및 유효선량에 관한 선량 평가 (Absorbed Dose and Effective Dose for Lung Cancer Image Guided Radiation Therapy(IGRT) using CBCT and 4D-CBCT)

  • 김대용;이우석;구기래;김주섭;이상현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7-64
    • /
    • 2016
  • 목 적 : 폐암 환자의 CBCT와 4D-CBCT를 이용한 영상촬영 시 인접 장기에 미치는 방사선량을 비교 평가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본 실험을 진행하기 위해 인체모형팬텀(Anderson Rando Phantom, USA)을 이용하였고, 선량측정 위치는 주요 장기가 위치하는 단면에 광유도발광선량계(Opitcally Stimulated Luminescent Dosimeter, OSLD) 1~6개를 부착하였다. 인체내부의 주요 장기를 표현하기 위해 전산화단층촬영(Lightspeed GE, USA)을 하였다. 선형가속기(CL-IX)와 선형가속기(Truebeam 2.5) thorax 모드에서 인체모형팬텀 폐 하부 기준으로 CBCT 방사선량을 측정하였고, 추가적으로 선형가속기(Truebeam 2.5) thorax 모드에서 4D-CBCT 방사선량을 측정하여 기존 CBCT와 비교 하였다. 각각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얻었다. 결 과 : CBCT로 촬영한 평균 흡수선량 측정치는 CL-IX의 경우 폐 2.505 cGy, 심장 2.595 cGy, 간 2.156 cGy, 위 1.934 cGy, 피부에 2.233 cGy 이었으며, Truebeam의 경우 폐 1.725 cGy, 심장 2.034 cGy, 간 1.616 cGy, 위 1.470 cGy, 피부에 1.445 cGy 이었다. 4D-CBCT 촬영 시 폐 3.849 cGy, 심장 4.578 cGy, 간 3.497 cGy, 위 3.179 cGy, 피부에3.319 cGy 이었다. 조직 가중치와 방사선 가중치를 고려한 평균 유효선량 값은 CBCT의 경우 CL-IX에서 폐 2.164 mSv, 심장 2.241 mSv, 간 0.136 mSv, 위 1.668 mSv, 피부 0.009 mSv 이었고 Truebeam의 경우 폐 1.725 mSv, 심장 1.757 mSv, 간 0.102 mSv, 위 1.270 mSv, 피부에 0.005 mSv 이었다. 4D-CBCT에서는 폐 3.326 mSv, 심장 3.952 mSv, 간 0.223 mSv, 위 2.747 mSv, 피부에 0.013 mSv 이었다. 결 론 : 폐암 환자의 CBCT 촬영 시 Truebeam보다 CL-IX 장비에서 받는 선량이 1.3배 정도 더 높게 나왔으며, Truebeam 장비에서 CBCT 보다 4D-CBCT에서 환자가 받는 선량이 2.2배 정도 높게 나왔다. 하지만 4D-CBCT는 환자의 움직임이 큰 경우나 호흡동조 영상유도방사선치료 시 좀 더 정확한 방사선 치료를 할 수 있어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타당 할 것이다.

  • PDF

의료기관 방사선 종사자의 직무별 개인피폭선량에 관한 연구 (Medical Radiation Exposure Dose of Workers in the Private Study of the Job Function)

  • 강천구;오기백;박훈희
    • 핵의학기술
    • /
    • 제15권2호
    • /
    • pp.3-12
    • /
    • 2011
  • 본 연구는 방사성동위원소의 의학적 이용도가 증가함에 따라 의료기관 핵의학과 방사선관계종사자의 직무별 방사선 이용에 대한 개인 방사선피폭선량의 실태를 파악하여, 방사선 위험에 대해 경각심을 고취시키고, 방사선 관계종사자들에게 안전관리와 합리적인 피폭선량 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분석하였다. 2010년 1월 1일부터 2010년 12월 31일까지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방사선종사자로 분류되어 개인 방사선피폭선량 측정을 정기적, 연속적으로 1년간 조사 관리된 540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부서별, 선량영역구간별, 근무기간별, 직무별 관련업무를 파악하여 심부선량에 대하여 연간평균피폭선량을 각각 분석하였다. 분석법으로는 빈도분석과 ANOVA를 시행하였다. 의료기관 방사선종사자의 부서별 연간피폭선량은 핵의학과 4.57 mSv로 가장 높았으며, 심장혈관중재술실 2.09 mSv, 마취통증의학과 1.42 mSv, 영상의학과 1.10 mSv, 구강악안면 방사선과 0.59 mSv, 방사선종양학과 0.50 mSv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선량영역별 분포는 핵의학과, 심장혈관중재술실에서 5.01~19.05 mSv의 높은 선량영역분포를 보였으며, 부서별 방사선사의 연간피폭선량은 핵의학과 7.14 mSv로 가장 높은 피폭선량을 보이고 있으며, 심장혈관중재술실 1.46 mSv로 높았고, 영상의학과 0.97 mSv, 구강악안면방사선과 0.66 mSv, 방사선종양학과 0.54 mSv 순으로 나타났다. 세부업무에 따른 직무별 연간평균피폭선량은 싸이크로트론 관련 합성 업무 17.47 mSv로 가장 높은 피폭선량을 보였으며, Gamma camera 영상실 7.24 mSv, PET/CT 영상실 업무가 7.60 mSv로 높게 나타났고, 인터벤션 2.04 mSv, 심혈관중재술실 1.46 mSv, 일반촬영 1.21 mSv, Primart 치료실 0.90 mSv, 구강악안면방사선과 일반촬영 0.66 mSv 순으로 나타났다. 근무기간별, 선량영역별에 따른 연간평균피폭선량은 구강악안면방사선과에서는 10~14년 종사자가 1.01~3.00 mSv로 높은 평균선량을 보였고, 방사선종양학과는 모든 근무기간에 따라 0.00~1.00 mSv 의 낮은 선량영역구간에서 분포를 보였으며, 심혈관중재술실은 10~14년, 15~19년 근무에 따라 각각 1.01~3.00 mSv 선량영역구간에서 분포하였으며, 영상의학과에서는 1~4년, 5~9년 종사자가 각각 1.01~8.00 mSv의 가장 높은 선량영역구간에서 분포를 보였고, 핵의학과에서는 1~4년, 5~9년 종사자가 각각 3.01~19.05 mSv 의 가장 높은 선량영역구간에서 분포를 보였으며, 10~14년, 15~19년 종사자에서도 각각 3.01~15.00 mSv의 높은 선량영역구간에서 분포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방사선관계종사자의 대부분이 현재의 방사선 안전관리가 실효성 있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직무특성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체계적 교육과 합리적인 피폭량 관리를 위한 체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A combination of postmortem ageing and sous vide cooking following by blowtorching and oven roasting for improving the eating quality and acceptance of low quality grade Hanwoo striploin

  • Jwa, Seung-Hoon;Kim, Yong-An;Hoa, Van-Ba;Hwang, In-H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8호
    • /
    • pp.1339-1351
    • /
    • 2020
  • Objective: It is well recognized that beef cuts from a low quality grade are usually associated with tougher, drier and less flavorful. Thus, the present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combined effects of postmortem ageing and sous vide (SV) cooking followed by oven roasting or blowtorching on the eating quality of low quality grade Hanwoo beef striploins. Methods: Hanwoo beef striploins (quality grade 3) obtained from 36 month-old Hanwoo steers were used, and the samples were chiller aged for 0 and 14 d at 4℃. After ageing, the samples were prepared into 2.5-cm steaks which were then SV cooked at 55℃ for 5 h and then raised to 60℃ for 1 h, and thereafter the SV-cooked the steaks were further roasted in oven for 20 min (SV+OV) or blowtorched (SV+TC) for 2 min. The cooked samples were analyzed for microbiological quality, browning index, Wanrner-Bratzler shear force (WBSF), aroma flavor compounds and sensory properties. Results: The SV cooking significantly reduced the WBSF values in beef samples (p<0.05). Blowtorching after SV cooking led to a browner surface of the beef steaks (p<0.05). The samples treated with SV+OV or SV+TC exhibited higher levels of Maillard reaction-derived aroma flavor compounds such as; pyrazines and sulfur-containing compounds compared to those just SV cooked. More especially, the SV+OV- or SV+TC- treated samples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compared to those just SV cooked (p<0.05). Ageing beef for 14 d significantly improved the tenderness by reducing the WBSF and increasing the tenderness scores. Conclusion: Thus, the combination of postmortem ageing and SV cooking followed by additional treatments (blowtorching or oven roasting) could be used to improve the eating quality especially tenderness and flavor as well as overall acceptability of low grade Hanwoo beef.

고에너지 방사선치료 시 치료변수에 따른 광중성자 선량 변화 연구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photoneutron production out of the high-energy photon fields at linear accelerator)

  • 김연수;윤인하;배선명;강태영;백금문;김성환;남욱원;이재진;박영식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57-264
    • /
    • 2014
  • 목 적 : 고에너지 광자선을 이용한 방사선치료 시 발생되는 광중성자는 치료대상인 종양 주위의 인접한 정상조직에서 2차적인 암의 발생에 기인 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치료계획 시에 고려할 수 있는 변수 중 치료방법, 선속평탄여과판, 선량률, 갠트리 각도들을 변환시켰을 때 발생된 광중성자의 선량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실험에는 TrueBeam $ST{\time}TM$(Ver.1.5, Varian, USA)치료기를 사용하였다. 광중성자 측정 장비는 조직등가비례계수기(Tissue Equivalent Proportional Counter : TEPC)인 KTEPC를 이용하였으며, 치료대의 세로 방향으로 조사야 중앙 하단 6cm 지점에서 측정을 실시하였다. 치료방법, 선속평탄여과판의 사용유무, 선량율에 따른 광중성자 선량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하여 모든 환자에 대하여 전산화치료계획시스템(Eclipse Ver 10.0, Varian, USA)으로 방사선치료계획을 각각 수립하였다. 치료방법으로는 세기변조방사선치료와 용적변조회전방사선치료로 구분하였으며, 선량율은 400MU/min, 1,200MU/min 및 2,400MU/min에 따른 차이를 평가하였다. 또한 방사선의 입사방향에 따른 광중성자 선량을 측정하였다. 결 과 : 치료방법의 차이에 따라 세기변조방사선치료와 용적변조회전방사선치료로 조사하였을 때 산란 광중성자 평균선량은 각각 $449.7{\mu}Sv$, $2940.7{\mu}Sv$로 측정되었다. 선속평탄여과판의 사용 유무에 따라 Flattening Filter(FF)모드와 Flattening Filter Free(FFF)모드에서의 산란 광중성자 평균선량은 $2940.7{\mu}Sv$, $232.0{\mu}Sv$로 측정되었다. 400, 1200, 2400 MU/min으로 선량률을 변환시켜 조사하였을 때 CASE I은 $3242.5{\mu}Sv$, $3189.4{\mu}Sv$, $3191.2{\mu}Sv$로, CASE II는 $3493.2{\mu}Sv$, $3482.6{\mu}Sv$, $3477.2{\mu}Sv$로, 그리고 CASE III에서 $4592.2{\mu}Sv$, $4580.0{\mu}Sv$, $4542.3{\mu}Sv$로 측정 되었다. $0^{\circ}$부터 $315^{\circ}$까지 $45^{\circ}$간격으로 갠트리 각도를 변환시켰을 때 산란 광중성자 선량은 10MV 광자선에 대하여 최소 $3.2{\mu}Sv$, 최대 $14.7{\mu}Sv$이었으며, 갠트리 각도가 $180^{\circ}$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15MV 광자선의 경우 최소 $369.6{\mu}Sv$ 최대 $448.0{\mu}Sv$이었으며, 역시 갠트리 각도가 $180^{\circ}$일 때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결 론 : 치료방법의 차이에 따른 실험은 용적변조회전방사선치료가 세기변조방사선치료 보다 산란된 광중성자 선량이 측정점에서 평균 6.5배 높게 측정되었다. 선속평탄여과판의 사용 차이에 따른 실험에서 선속평탄여과판을 사용하였을 때 12.7배 높게 측정되었다. 선량률을 변환에 따른 차이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갠트리 각도에 따른 산란 광중성자 선량 측정에서는 광자선이 치료대를 지나는 각도인 $135^{\circ}$, $180^{\circ}$, $225^{\circ}$에서 산란 광중성자 선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rueBeam $ST{\time}TM$을 이용한 FFF 모드와 세기변조방사선치료를 한 경우 산란 광중성자가 적게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속적으로 더 많은 변수에 대한 실험을 계획하고 광중성자 측정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보다 환자들에게 안전한 방사선치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ose evaluation of workers according to operating time and outflow rate in a spent resin treatment facility

  • Byun, Jaehoon;Choi, Woo Nyun;Kim, Hee Reyou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3권11호
    • /
    • pp.3824-3836
    • /
    • 2021
  • Workers' safety from radiological exposure in a 1 ton/day capacity spent resin treatment facility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times and outflow rate due to process related leakages. The conservative annual dose based on the operating times of the workers exceeded the dose limit by at least 7.38E+01 mSv for close work. The realistic dose range was derived as 1.62E+01 mSv-6.60E+01 mSv. The conservative and realistic annual doses for remote workers were 1.33E+01 mSv and 3.00E+00 mSv respectively, which were less than the dose limit. The MWR was identified as the major contributor to worker exposure within the 1 h period required for removal of radioactive materials. The dose considering both internal and external exposures without APF was derived to be 1.92E+01 mSv for conservative evaluation and 4.00E+00 mSv for realistic evaluation. Furthermore, the dose with APF was derived as 7.27E-01 mSv for conservative evaluation and 1.51E-01 mSv for realistic evaluation. Considering the APF for leakage from all parts, the dose range was derived as 1.25E+00 mSv-2.03E+00 mSv for conservative evaluation and 2.61E-01 mSv-4.23E-01 mSv for realistic evaluation. Hence, it was confirmed that radiological safety was secured in the event of a leakage accident.

광자극발광선량계와 열형광선량계를 이용한 핵의학과 선량 측정비교 (Comparison on the Dosimetry of TLD and OSLD Used in Nuclear Medicine)

  • 이왕희;김성철;안성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329-334
    • /
    • 2012
  • 방사선작업종사자의 개인피폭선량 측정에는 필름뱃지, 열형광선량계, 유리선량계 등이 이용되고 있었으며,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광자극발광선량계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일부에만 적용되고 있으며, 연구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기존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던 열형광선량계와 광자극발광선량계를 핵의학과 작업종사자 및 작업구역에서 3개월간 누적선량을 비교해 보았으며, 그 결과 평균 표층선량은 열형광선량계가 1.27mSv, 광자극발광선량계가 2.12mSv로 0.85mSv의 차이가 있었으며, 평균 심부선량은 열형광선량계가 1.33mSv, 광자극발광선량계가 2.06mSv로 0.73mSv의 차이를 보였다. 광자극발광선량계가 표층선량 및 심부선량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5) 높게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형 구내 방사선촬영기로 촬영한 치근단 방사선사진의 흡수선량 및 유효선량 평가 (Absorbed and effective dose from periapical radiography by portable intraoral x-ray machine)

  • 조정연;한원정;김은경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7권3호
    • /
    • pp.149-156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absorbed dose and to calculate the effective dose for periapical radiography done by portable intraoral x-ray machines. Materials and Methods: 14 full mouth, upper posterior and lower posterior periapical radiographs were taken by wall-type 1 and portable type 3 intraoral x-ray machines. Thermoluminescent dosemeters were placed at 23 sites at the layers of the tissue-equivalent ART woman phantom for dosimetry. Average tissue absorbed dose and radiation weighted dose were calculated for each major anatomical site. Effective dose was calculated using 2005 ICRP tissue weighted factors. Results: On 14 full mouth periapical radiographs, the effective dose for wall-type x-ray machine was 30 Sv; for portable x-ray machines were 30 Sv, 22 Sv, 36 Sv. On upper posterior radiograph, the effective dose for wall-type x-ray machine was 4 Sv; for portable x-ray machines doses were 4 Sv, 3 Sv, 5 Sv. On lower posterior radiograph, the effective dose for wall type x-ray machine was 5 Sv; for portable x-ray machines doses were 4 Sv, 4 Sv, 5 Sv. Conclusion: Effective doses for periapical radiographs performed by portable intraoral x-ray machines were similar to doses for periapical radiographs taken by wall type intraoral x-ray machin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