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 Radiation Exposure Dose of Workers in the Private Study of the Job Function

의료기관 방사선 종사자의 직무별 개인피폭선량에 관한 연구

  • Kang, Chun-Goo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Health System) ;
  • Oh, Ki-Baek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Health System) ;
  • Park, Hoon-Hee (Department of Radiology, Shingu University)
  • 강천구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 핵의학과) ;
  • 오기백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 핵의학과) ;
  • 박훈희 (신구대학교 방사선과)
  • Received : 2011.06.28
  • Accepted : 2011.07.05
  • Published : 2011.11.05

Abstract

Purpose: With increasing medical use of radiation and radioactive isotopes, there is a need to better manage the risk of radiation exposure. This study aims to grasp and analyze the individual radiation exposure situations of radiation-related workers in a medical facility by specific job, in order to instill awareness of radiation danger and to assist in safety and radiation exposure management for such worker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1, 2010 December 31, 2010, medical practitioners working in the radiation is classified as a regular personal radiation dosimetry, and subsequently one year 540 people managed investigation department to target workers, dose sectional area, working period, identify the job function-related tasks for a deep dose, respectively, the annual average radiation dose were analyzed. Frequency analysis methods include ANOVA was performed. Results: Medical radiation workers in the department an annual radiation dose of Nuclear and 4.57 mSv a was highest, dose zone-specific distribution of nuclear medicine and in the 5.01~19.05 mSv in the high dose area distribution showed departmental radiation four of the annual radiation dose of Nuclear and 7.14 mSv showed the highest radiation dose. More work an average annual radiation dose according to the job function related to the synthesis of Cyclotron to 17.47 mSv work showed the highest radiation dose, Gamma camera Cinema Room 7.24 mSv, PET/CT Cinema Room service is 7.60 mSv, 2.04 mSv in order of intervention high, were analyzed. Working period, according to domain-specific average annual dose of radiation dose from 10 to 14 in oral and maxillofacial radiology practitioners as high as 1.01~3.00 mSv average dose showed the Department of Radiology, 1-4 years, 5-9 years, respectively, 1.01 workers~8.00 mSv in the range of the most high-dose region showed the distribution, nuclear medicine, and the 1-4 years, 5-9 years 3.01~19.05 mSv, respectively, workers of the highest dose showed the distribution of the area in the range of 10 to 14 years, Workers at 15-19 3.01~15.00 mSv, respectively in the range of the high-dose region were distributed.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dical radiation workers working in Nuclear Medicin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of the majority of the current were carried out in the effectiveness, depending on job characteristics has been found that many differences. However, this requires efforts to minimize radiation exposure, and systematic training for them and for reasonable radiation exposure management system is needed.

본 연구는 방사성동위원소의 의학적 이용도가 증가함에 따라 의료기관 핵의학과 방사선관계종사자의 직무별 방사선 이용에 대한 개인 방사선피폭선량의 실태를 파악하여, 방사선 위험에 대해 경각심을 고취시키고, 방사선 관계종사자들에게 안전관리와 합리적인 피폭선량 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분석하였다. 2010년 1월 1일부터 2010년 12월 31일까지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방사선종사자로 분류되어 개인 방사선피폭선량 측정을 정기적, 연속적으로 1년간 조사 관리된 540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부서별, 선량영역구간별, 근무기간별, 직무별 관련업무를 파악하여 심부선량에 대하여 연간평균피폭선량을 각각 분석하였다. 분석법으로는 빈도분석과 ANOVA를 시행하였다. 의료기관 방사선종사자의 부서별 연간피폭선량은 핵의학과 4.57 mSv로 가장 높았으며, 심장혈관중재술실 2.09 mSv, 마취통증의학과 1.42 mSv, 영상의학과 1.10 mSv, 구강악안면 방사선과 0.59 mSv, 방사선종양학과 0.50 mSv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선량영역별 분포는 핵의학과, 심장혈관중재술실에서 5.01~19.05 mSv의 높은 선량영역분포를 보였으며, 부서별 방사선사의 연간피폭선량은 핵의학과 7.14 mSv로 가장 높은 피폭선량을 보이고 있으며, 심장혈관중재술실 1.46 mSv로 높았고, 영상의학과 0.97 mSv, 구강악안면방사선과 0.66 mSv, 방사선종양학과 0.54 mSv 순으로 나타났다. 세부업무에 따른 직무별 연간평균피폭선량은 싸이크로트론 관련 합성 업무 17.47 mSv로 가장 높은 피폭선량을 보였으며, Gamma camera 영상실 7.24 mSv, PET/CT 영상실 업무가 7.60 mSv로 높게 나타났고, 인터벤션 2.04 mSv, 심혈관중재술실 1.46 mSv, 일반촬영 1.21 mSv, Primart 치료실 0.90 mSv, 구강악안면방사선과 일반촬영 0.66 mSv 순으로 나타났다. 근무기간별, 선량영역별에 따른 연간평균피폭선량은 구강악안면방사선과에서는 10~14년 종사자가 1.01~3.00 mSv로 높은 평균선량을 보였고, 방사선종양학과는 모든 근무기간에 따라 0.00~1.00 mSv 의 낮은 선량영역구간에서 분포를 보였으며, 심혈관중재술실은 10~14년, 15~19년 근무에 따라 각각 1.01~3.00 mSv 선량영역구간에서 분포하였으며, 영상의학과에서는 1~4년, 5~9년 종사자가 각각 1.01~8.00 mSv의 가장 높은 선량영역구간에서 분포를 보였고, 핵의학과에서는 1~4년, 5~9년 종사자가 각각 3.01~19.05 mSv 의 가장 높은 선량영역구간에서 분포를 보였으며, 10~14년, 15~19년 종사자에서도 각각 3.01~15.00 mSv의 높은 선량영역구간에서 분포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방사선관계종사자의 대부분이 현재의 방사선 안전관리가 실효성 있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직무특성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체계적 교육과 합리적인 피폭량 관리를 위한 체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