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TT(Speech-to-Text)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Subtitle Highlighting System for Video Streaming using Speech Interface STT (Speech to Text) (음성 인터페이스 STT(Speech to Text)를 활용한 동영상 스트리밍 자막 강조 시스템)

  • Lee, Kang-Chan;Cho, D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567-568
    • /
    • 2021
  • 자막은 자막을 볼 수 있는 모든 사람들의 정보전달,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사용 되고 있지만 자막은 평범한 텍스트로 있어 자막에서 강조된 부분, 감정 등을 전달 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청각 장애인들은 해당 컨텐츠의 감정, 강조 되는 부분을 알 수 없어 대화의 숨은 의미가 다른 방향으로 이해 할 수 있다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STT(Speech To Text)를 이용하여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과 동시에 강조하는 부분까지 개발하여 청각장애인 입장에서 기존 자막보다 효율적인 시각적 효과를 주는 미디어 접근을 위한 동영상 스트리밍 자막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for STT Engine Accuracy based on Korean Characteristics (한국어 특성 기반의 STT 엔진 정확도를 위한 정량적 평가방법 연구)

  • Min, So-Yeon;Lee, Kwang-Hyong;Lee, Dong-Seon;Ryu, Dong-Yeop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7
    • /
    • pp.699-707
    • /
    • 2020
  • With the development of deep learning technology, voice processing-related technology is applied to various areas, such as STT (Speech To Text), TTS (Text To Speech), ChatBOT, and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In particular, the STT is a voice-based, relevant service that changes human languages to text, so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IT related services. Recently, many places, such as general private enterprises and public institutions, are attempting to introduce the relevant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in contrast to the general IT solution that can be evaluated quantitatively, the standard and methods of evaluating the accuracy of the STT engine are ambiguous, and they do no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quantitative evaluation standard.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guide to an evaluation of the STT engine conversion performan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so that engine manufacturers can perform the STT convers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while the market could perform a more accurate evaluation. In the experiment, a 35% more accurate evaluation could be performed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s.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peech Recognition and Synthetic Application for Hearing-Impairment

  • Kim, Woo-Lin;Ham, Hye-Won;Yun, Sang-Un;Lee, Won Jo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6 no.12
    • /
    • pp.105-110
    • /
    • 2021
  •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n Android mobile application that helps hearing impaired people communicate based on STT(Speech-to-Text) and TTS(Text-to-Speech) APIs and accelerometer sensor of a smartphone. This application provides the ability to record what the hearing-Impairment person's interlocutor is saying with a microphone, convert it to text using the STT API, and display it to the hearing-Impairment person. In addition. In addition, when a hearing-impaired person inputs a text using the TTS API, it is converted into voice and told to the interlocutor. When a hearing-impaired person shakes their smartphone, an accelerometer based background service function is provided to run the application. The application implemented in this paper provides a function that allows hearing impaired people to communicate easily with other people when communicating with others without using sign language as a video call.

The Impact of Speech-To-Text-based Class on Learners' Cognitive Abilities

  • HyunMin Kang;SunKwan Ha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9 no.1
    • /
    • pp.287-293
    • /
    • 2024
  • This research studied the cognitive impact of class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n aviation technical school students. First, we developed a class consisting of a class based on traditional presentation materials and a class composed of speech-to-text (STT)-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materials. A 133 students from an aviation education institution participated in two types of classes. We measured students' cognitive load and Mind Wandering test results before and after class, and conducted an achievement evaluation. As a result of the test analysis, we confirmed that extraneous cognitive load was reduced, content concentration increased, and achievement improved. In the future, we hope that AI-based STT classes will be widely used in schools that teach technology.

Analysis of Speech-To-Text (STT) Based Voice Memo Service (STT(Speech-To-Text)를 이용한 음성메모장 서비스 분석)

  • Gi-Hwan Oh;Sung Jin Kim;Young Hyun Yoon;Jai Soon 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265-26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음성메모 기능을 통해 스마트폰에서 메모를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제안은 취약 계층을 포함한 다양한 사용자들이 스마트폰을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음성메모를 통해 중요한 정보를 빠르게 기록하고, 필요할 때 언제든지 액세스할 수 있으며, 기억력에 의존하지 않고 안정적인 방식으로 정보를 보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취약 계층을 위해 스마트폰 사용의 장벽을 낮추어 정보 접근과 활용의 평등성을 증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구 결과는 스마트폰 기술과 사용자 경험 분야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고하고, 향후 관련 연구와 개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Lecture Summarization Application Using STT (Speech-To-Text) and ChatGPT (STT(Speech-To-Text)와 ChatGPT 를 활용한 강의 요약 애플리케이션)

  • Jin-Woong Kim;Bo-Sung Geum;Tae-Kook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297-298
    • /
    • 2023
  • COVID-19 가 사실상 종식됨에 따라 대학 강의가 비대면 온라인 강의에서 대면 강의로 전환되었다. 온라인 강의에서는 다시 보기를 통한 복습이 가능했지만, 대면강의에서는 녹음을 통해서 이를 대체하고 있다. 하지만 다시 보기와 녹음본은 원하는 부분을 찾거나 내용을 요약하는데 있어서 시간이 오래 걸리고 불편하다. 본 논문에서는 강의 내용을 STT(Speech-to-Text) 기술을 활용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ChatGPT(Cha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로 요약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Automatic sentence segmentation of subtitles generated by STT (STT로 생성된 자막의 자동 문장 분할)

  • Kim, Ki-Hyun;Kim, Hong-Ki;Oh, Byoung-Doo;Kim, Yu-Seop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559-560
    • /
    • 2018
  • 순환 신경망(RNN) 기반의 Long Short-Term Memory(LSTM)는 자연어처리 분야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모델이다. 음성을 문자로 변환해주는 Speech to Text (STT)를 이용해 자막을 생성하고, 생성된 자막을 다른 언어로 동시에 번역을 해주는 서비스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STT를 사용하여 자막을 추출하는 경우에는 마침표가 없이 전부 연결된 문장이 생성되기 때문에 정확한 번역이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영어자막의 자동 번역 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텍스트를 문장으로 분할하여 마침표를 생성해주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때, LSTM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학습시킨 후 테스트한 결과 62.3%의 정확도로 마침표의 위치를 예측했다.

  • PDF

A Voice-enabled Chatbot Mobile Application (음성지원 챗봇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 Choi, In-Kyung;Choi, Yun-Jeong;Lee, Ye-R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438-439
    • /
    • 2019
  • 사회적 문제와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로 챗봇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그 결과 TTS(Text to Speech) 및 STT(Speech to Text) 기술을 기반으로 한 보조형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이 다양한 모바일 환경에서 진행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문자를 소리로 변환해주는 TTS(Text to Speech) 기술과 소리를 문자로 변환해주는 STT(Speech to Text) 기술을 사용하여 음성지원 챗봇 시스템을 제작하고 이를 안드로이드 기반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한 '음성지원 챗봇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하고, 이와 관련하여 관련 기술 및 기대효과에 대해 소개한다.

Keywords-based Video Summary System using FastText Algorithm (FastText 알고리즘을 이용한 사용자 지정 키워드 기반 동영상 요약 시스템)

  • Kyungmin Kim;Seungmin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693-694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FastText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사용자 지정 키워드 기반 동영상 요약 시스템을 제안한다. 사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하면 시스템은 해당 키워드와 관련된 단어들을 FastText를 통해 추출하며, 이를 STT (Speech-to-Text)로 변환된 동영상에서 타임 스탬프 기반으로 인식한다. 인식된 키워드와 관련된 내용은 클립 형식으로 요약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숏폼 콘텐츠 환경에서 효과적인 콘텐츠 추출 및 제공을 통해 사용자 경험과 정보 제공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제안된 시스템은 사용자 지정 키워드에 맞춰 다양한 동영상 플랫폼에서 효율적인 영상 요약을 제공함으로써 온라인 동영상 환경에서 큰 혁신을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Speech-to-text Services for the Deaf People (난청인을 위한 문자통역서비스 제도화 연구)

  • Chun, Dong-Il;Seo, Jeong-M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4
    • /
    • pp.53-63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way that speech-to-text (STT) services are used at present, and to explore measures to institutionalize such services for ease of communica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following: 1) 17.8% of those surveyed had experience of using STT services, with younger individuals showing a higher rate of use; and 2) In terms of organizations providing STT services,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followed by civic groups (18.3%) and public organizations (18.3%). The following institutional measures are needed for STT services. First, STT services should be actively promoted as one of the reasonable conveniences defined in the 'Act on the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Disabled Persons, Remedy Against Infringement of Their Rights, etc.' Second, STT services should be additionally listed as one of the clauses of the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particula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system for those with hearing impairments should serve as a catalyst for integration with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welfare services. If STT services for face-to-face contacts can be improved or further enhanced using ICT, it will not only open the way for a new influx of disabled workers to join vocational rehabilitation, but also help to improve quality of life for the hearing impa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