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M

검색결과 491건 처리시간 0.03초

CAM Zirconia 완전도재 구조물의 정밀 적합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RECISE FIT OF THE CAM ZIRCONIA ALL-CERAMIC FRAMEWORK)

  • 전미현;전영찬;정창모;임장섭;정희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11-621
    • /
    • 2005
  • State of problem: Zirconia all-ceramic restoration fabricated with CAM system is on an increasing trend in dentistry. However, evaluation of the marginal and internal fits of zirconia bridge seldomly have been reported. Purpose: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t of margin and internal surface in posterior 3-unit zirconia bridge framework fabricated with CAM system(DeguDent, Germany). Material and Method: Preparations of secondary premolar and secondary molar on artificial resin model were performed for fabrication of 3-unit posterior bridge framework. Fits of 5 zirconia bridge framework were compared with 5 precious ceramo-metal alloy framework(V-GnathosPlus, Metalor, Switzerland), and prepared margins were designed to chamfer and shoulder finishing line. Each framework was cemented to epoxy resin model with reinforced glass ionomer(FujiCEM, GC Co., Japan), embedded in acrylic resin and sectioned in two planes, mesio-distal and buccolingual. Samples were divided into six pieces by sectioning and had two pieces of each surface(i.e mesial, distal, buccal and lingual surface) per abutment, so there were eight measuring points in each abutment. External gap was measured at the margin and internal gaps were measured at the margin, axial and occlusal surface. Gaps were observed under the measuring microscope(Compact measuring microscope STM5; Olympus, Japan) at a magnification of $\times100$. T-test were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 significance of the different gaps between zirconia and metal framework. Results and Conclusion: 1. External and internal marginal gaps of zirconia and metal framework were in clinically acceptable range. External marginal gaps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between zirconia$(81.9{\mu}m)$ and metal $(81.3{\mu}m)$ framework and internal marginal gaps of zirconia $(44.6{\mu}m)$ were smaller than those of metal framework $(58.6{\mu}m)$. 2. Internal axial gaps of zirconia framework$(96.7{\mu}m)$ were larger than those of metal frame-work$(78.1{\mu}m)$ significantly and adversely, internal occlusal gaps of zirconia frame-work$(89.4{\mu}m)$ were smaller than those of metal framework $(104.9{\mu}m)$ significantly.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ternal and internal marginal gaps between chamfer and shoulder finish line when zirconia frameworks were fabricated.

하악 후퇴술과 전진 이부성형술이 시행된 III급 부정교합자의 초진 시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 특성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initial lateral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mandibular setback surgery only versus mandibular setback surgery with advancement genioplasty)

  • 김재식;김정일;강승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1-51
    • /
    • 2008
  • III급 부정교합의 악교정수술을 통한 치료 시 하악 후퇴술만을 시행하는 경우와 하악 후퇴술에 전진 이부성형술이 추가로 시행되는 경우에 있어 초진 시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상의 특성차이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올담치 과병원 구강외과에서 III급 부정교합을 하악후퇴술을 통하여 치료한 33명을 대상으로 하여 하악 후퇴술만을 시행한 21명과 하악 후퇴술과 전진 이부성형술을 시행한 12명으로 나누어 초진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상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B군에서 N-Me, ANS-Me이 더 길었으며 교합평면의 각도가 더 컸다. 구개평면에서 상악중절치까지의 거리, 하악평면에서 하악 절치 및 제1대구치까지의 거리가 B군에서 더 길었으며, 상악 중절치는 더 설측경사를 보였다. B군에서 Sn-Stms는 더 길고 연조직 Pog은 덜 돌출되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하악 후퇴술과 더불어 전진 이부성형술이 시행될지 여부를 예측하는데 초진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상의 위 계측항목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수술전 발치교정을 시행한 경우가 있다는 것과 외과의의 심미안, 해부학적 구조등이 이부성형술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것은 본 연구의 한계로 생각된다.

Effects of Secondary Tasks on Vehicle Speed and Distance during Driving and Brake Response Time during Unexpected Situation

  • Lee, Su-Jeong;Yang, Jae-Woong;Kim, Ji-Hye;Choi, Mi-Hyun;Kim, Han-Soo;Choi, Jin-Seung;Min, Byung-Chan;Tack, Gye-Rae;Chung, Soon-Cheol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03-40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econdary tasks such as sending text message(STM) and searching navigation(SN) on vehicle speed and distance during driving and brake response time during unexpected situation using a driving simulator. The participants included 19 college students; 9 males aged $25.2{\pm}1.0$ with $2.4{\pm}2.0years$ of driving experiences and 10 females aged $21.4{\pm}0.5$ with $1.3{\pm}0.5years$ of driving experiences. All subjects were instructed to keep a certain distance(30m) from the car ahead and a constant speed(100km/h). Average speed and average following distance were measured during 10 seconds before unexpected situation. Also, brake response time after unexpected situation was measured. Average speed was more decreased and average following distance was more increased during the driving with secondary tasks than driving only. Male maintained the assigned speed and distance better than female. The brake response time was faster during driving only than the driving with secondary tasks. And the brake response time of male was shorter than that of female.

Carbon-induced reconstructions on W(110)

  • 김지현;;;김재성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09년도 제38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362-362
    • /
    • 2010
  • Today, vast attention has been paid to periodic arrays of nanostructures due to their potential for applications such as memory with huge storage density. Such application requires large-scale fabrication of well ordered nano-sized structure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methods for the ordered nanostructures is lithography. This top-down process, however, has the limit to reduce size. Here the promising alternative is the self-organization of ordered nano-sized structures such as large scale 2d carbon-induced reconstructions on W(110). In the present study, we report on the first well-resolved atomic resolution STM studies of the well-known R($15{\times}3$) and R($15{\times}12$) carbon induced reconstruction of the W(110). From the atomic image of R($15{\times}3$) for different values of tunneling gap resistance, we can tell there are no missing atoms in unit cells of R($15{\times}3$) and some atomic displacements are substantial from the clean W(110), even though not all the imaged position of atoms correspond to tungsten, but may include those of carbon. We are considering two cases; First case is related to lattice deformation, or top layer of W(110) is deformed in the process of relief of strain caused by random inserting of carbon atoms possibly in the interstitial position. In the second case, R($15{\times}3$) unit cell results from a coincidence lattice between clean W(110) substrate and tungsten carbide overlayer which has rectangular atomic arrangement and giving R($15{\times}3$) coincidence lattice. beta-W2C showing rectangular unit cell should be a candidate. Further, we report on new reconstructions. Unlike the well-known R($15{\times}12$) consisting of two parts, two inner structures between two "Backbone" structures. The new reconstruction, which we found for the first time, contains more parts between the "Backbone"s. Sometimes we can observe the reconstruction consists of only inner parts without "Backbone" parts. Thus, the observed reconstruction can be built by constructing of two types of "Lego"-like block. Moreover, the rectangle shape of "Backbone" transform to parallelogram-like shape over time, the so-called wavy-R($15{\times}12$). Adsorption of hydrogen can be the reason for this transformation.

  • PDF

국내 오픈액세스 학술지 특성에 관한 연구 - KCI 등재지를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Open Access Journals in Korea: Focused on KCI Journals)

  • 정경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73-391
    • /
    • 2011
  • 본 연구는 KCI 등재지 1,438종을 대상으로 오픈액세스 학술지를 식별해내고, 이들 학술지의 원문공개 채널, 분야별 차이, 발행기관별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등재지의 21%는 상용DB를 통한 서비스를 하지 않는 오픈액세스 학술지였으며, 34%는 무료공개와 상용DB를 통한 원문서비스를 동시에 하고 있었으며, 나머지 34%는 오직 상용DB에서만 원문서비스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오픈액세스 학술지의 48%는 무료원문 DB를 통하여, 52%는 발행기관 홈페이지를 통하여 원문을 공개하고 있었다. 원문공개 채널은 분야별로 차이가 있었다. 즉, 인문, 사회과학 분야 학술지는 주로 발행기관 홈페이지, 과학기술 및 의학 분야 학술지는 주로 무료DB에 원문을 공개하고 있었다. 전체 오픈액세스 학술지 중 약 30%는 의학 분야 학술지였으며, 사회과학 분야 학술지도 25%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분야별 분포로 볼 때 사회과학과 인문학 분야 학술지의 오픈액세스 비율은 약 15%정도에 불과하였다. 이에 비해 의학 분야의 경우 약 60%가 오픈액세스 학술지였으며, 자연과학과 공학 분야도 각각 33%, 24%가 오픈액세스 학술지였다.

Protocol Monitor System Between Cortex M7 Based PLC And HMI

  • Kim, Ki-Su;Lee, Jong-Chan;Ha, Heon-Se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7-23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자동화 설비 장비의 HMI와 PLC간 RS232 통신 시에 발생하는 실시간 데이터 프레임의 수집을 위하여, 별도의 HMI 혹은 PLC의 수정 없이 MCU를 통하여 실시간 정보 데이터 프레임을 스니핑 함으로서, 사용자가 PLC, HMI 시스템의 수정 작업에 종속되지 않고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사용자는 스니핑 데이터로부터 파싱작업을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스니핑 프레임을 목적지로 송신함으로서 본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유지한다. RS232 통신규격으로 MCU의 UART통신 인터페이스 회로를 물리적으로 설계하고, 더불어 MCU내부 DMA장치를 사용함으로서 인터럽트기반 시스템 보다 효율을 개선한다. 또한 환형큐를 사용하여 DMA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의 작업과 메인 스레드의 작업을 논리적으로 분리함으로서 데이터 프레임 IO 작업 처리를 수행한다. 이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는 RS232 규격으로 HMI, PLC간 스니핑 데이터 프레임을 수신하고 PLC와 HMI 간의 프레임 전송이 원래의 목적지에 정상적으로 도착하며 PLC와 HMI의 추가적인 수정 없이 데이터 프레임을 스니핑 함으로서 사용자 시스템에 정상적으로 도착함을 확인할 수 있다.

NB-IoT를 활용한 발열 제어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Heat Control System using NB-IoT)

  • 신동근;김형진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35-141
    • /
    • 2019
  • 사물인터넷이 활성화 되면서 많은 센서 디바이스들이 늘어나고 있다. 센서들은 네트워크 유선망을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이동통신망을 사용할 수 있다. 이동통신망은 전송률 관점에서 볼 때 크게 고속 통신과 저속통신 두 가지로 분류 할 수 있다. 이동 통신망에서 수억 개의 센서들의 경우 고속 통신을 사용하기에는 자원 낭비가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자원을 낭비하지 않고 전송 속도를 줄이고 자원을 적절히 할당하여 이용할 수 있는 통신이 필요하다. 최근 이동통신에서 저전력 기술 중 하나인 협대역 인터넷(NB-IoT)이 여러 기업에서 각광받고 있다. 현재 NB-IoT 또는 기타 저전력 통신들만이 빠르게 늘어나는 센서 디바이스들을 인터넷에 연결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화웨이 NB-IoT 통신 모듈을 이용한 히터 제어 장치, 제어 장치의 정보를 수집하는 서버, 장치에 기본 설정을 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이 시스템의 주요 기능은 온도 및 히터 상태 수집하여 서버에 주기 보고, 서버에서의 히터 제어, 히터가 자동으로 동작하기 위한 파라미터 설정이 있다. 본 시스템은 히터뿐만 아니라 도로 정보, 스마트 농업, 소규모 저수지 등 유선 통신이 구축 되지 않은 곳에 응용할 수 있다.

KCI 등재지의 CCL 적용 현황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Adoption of Creative Commons Licenses in Korean Citation Index Journals)

  • 정경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33-249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의 CCL 적용 여부와 그 유형을 파악하여 국내의 오픈액세스 현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2,097종의 홈페이지에 공개된 CCL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한 후 DOAJ 학술지 및 선행연구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등재지의 18%(377)가 CCL을 적용하고 있었고 이중 90%(337)는 STM 및 농수해양학 분야였으며 인문사회 분야에서 CCL을 적용한 학술지는 거의 없었다. 둘째, 등재지가 채택한 CCL 유형은 NC 계열이 90%, 특히 CC BY-NC가 85%로 가장 많았다. 해외의 DOAJ 학술지에서 CC BY 또는 CC BY-SA를 적용한 학술지가 52%인 것과 큰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DOAJ 학술지와 스페인어 학술지에 비하면 ND 유형의 라이선스를 적용한 학술지는 더 적었다. 셋째, CCL을 적용한 학술지 377종의 44%(167)는 공공DB에서는 무료로 공개되는 동시에 상용DB에서는 유료로 판매되고 있었고, 33%(125)는 공공DB에서 무료로 공개되고 있었으며, 9%(33)는 상용DB에서 판매되고 있었다.

Flow Cytometry에 의한 개 신선정액과 동결정액의 생존성 분석 (Viability Assessment of Fresh and Frozen-thawed Dog Spermatozoa by Flow Cytometry)

  • 홍유미;김용준;유일정;지동범;김명순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8권3호
    • /
    • pp.167-172
    • /
    • 2004
  • 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개 정자의 생존율 평가를 수행하고자 2-4세의 수캐 5두가 이용되었고, 분석을 위해 PI염색을 실시하였다. Flow cytometry를 이용한 개 신선 정액의 생존율 평가는 생존 정자와 죽은 정자의 비율을 1:0, 1:1, 1:3으로 조성하여 이를 flow cytometry로 평가하고 광학현미경검사, CFDA/PI 염색검사, HOS test에 의한 생존율과 비교하여 flow cytometry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개 정액을 동결하여 응해 후의 개 정자의 생존율 평가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신선 정액에서 생존 정자와 죽은 정자의 비율이 1:0, 1:1, 1:3 모든 경우에서 flow cytometry를 이용한 생존율은 HOS test에 의한 생존율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p<0.01). 신선 정액에서 생존 정자와 죽은 정자의 비율이 1:0과 1:3일 때 광학현미경적 검사에 의한 생존율은 flow cytometry 분석에 의한 생존율과 유의 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p<0.05), 1:1 비율의 경우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신선 정액에 생존 정자와 죽은 정자의 비율이 1:0과 1:1일 때 CFDA/PI 염색 검사에 의한 생존율은 flow cytometry분석에 의한 생존율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01), 1:3 비율에서는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p<0.05). 동결 및 응해 후의 개 정자의 생존율 평가에서 HOS test 결과는 flow cytometry분석에 의한 생존율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p<0.01), 광학현미경적 검사를 통한 생존율은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p<0.05), CFDA/PI 염색 검사결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flow cytometry는 신선정액 및 동결 융해 후 개 정자에 대한 생존율 검사에 정확한 평가 방법 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Tris-buffer에 첨가되는 당의 종류가 동결.융해정자의 첨체 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gar Kind Added in Tris-buffer on Acrosome Damage of Post-thaw Spermatozoa in Canine)

  • 유대중;공일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1-96
    • /
    • 2003
  • 본 연구는 개의 동결정액제조 시 동결보호 희석액 내에 첨가되는 당의 종류와 조합이 동결융해 후 정자 두부의 첨체의 손상과 생존율 및 운동성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당의 종류에 따른 정자의 첨체손상 정도는 정상 정자비 율은 Fru+Tre, 처리구가 Fructose, Trehalose, Fru+Tre+Xyl, Fru+Xyl, Tre+Xyl, Xylose구에 비해 가장 높았다(83.0$\pm$5.6%, 82.3 $\pm$3.1%, 81.7$\pm$2.1%, 81.0$\pm$5.6%, 80.3$\pm$4.5%, 76.7$\pm$3.8%, 72.0$\pm$2.0%;(P<0.05). Fru+Tre처리구에서 CASA 분석 후 운동성이 Fru +Tre+Xyl, Tre+Xyl, Fru+Xyl, Xylose, Trehalose, Fructose구에 비해 가장 높았다. (79$\pm$6 vs 75$\pm$3, 74$\pm$8, 71$\pm$11, 70$\pm$4, 66$\pm$15, 63$\pm$12%; P< 0.05). 전진운동율은 Fru+Tre 처리구가 Fru+Tre+Xyl, Tre+Xyl, Fru+Xyl, Xylose, Trehalose, Fructose구에 비해 가장 높았다(67$\pm$7, 64$\pm$3, 62$\pm$6, 61$\pm$8, 60$\pm$2, 57$\pm$13, 53$\pm$10%; P<0.05). 본 연구결과 70 mM Fru+Tre (two combination) 가 첨체 손상정도가 낮았으며 가장 높은 운동성 및 전진 운동율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